한문놀이터/한문과 교육과정

2022 개정 - 한문과 교육과정②

건방진방랑자 2023. 1. 2. 08:46
728x90
반응형

2.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 내용 체계

 

 

한문()

 

(1) 한자와 어휘

 

핵심 아이디어 한자는 모양뜻을 지니고 있다.
단어를 구성하는 의미 요소들 사이에는 일정한 결합 관계가 있다.
성어는 삶의 태도와 가치를 내포하고 있다.
  내용 요소
지식이해 한자의 모양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
단어의 짜임
단어와 성어의 음과 뜻
한자 문화권의 문화
과정기능 한자의 모양뜻 파악하기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 파악하기
단어의 짜임 파악하기
단어와 성어 읽기
단어와 성어 풀이하기
단어와 성어 활용하기
가치태도 어휘를 활용하여 소통하는 태도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이해와 교류 증진에 참여하려는 태도

 

 

(2) 문장

 

핵심 아이디어 문장을 구성하는 성분들 사이에는 일정한 결합 방식이 있다.
한문 기록에는 선인들의 삶과 지혜가 담겨 있다.
  내용 요소
지식이해 문장의 구조
내용과 주제
과정기능 문장의 구조 파악하기
글을 의미에 맞게 읽기
글을 풀이하기
글의 내용과 주제 파악하기
가치태도 선인들의 지혜를 이해하여 인성 함양하기
전통문화를 계승발전시키려는 태도

 

 

한문()

 

(1) 한자와 어휘

 

핵심 아이디어 한자는 모양뜻을 지니고 있다.
단어를 구성하는 의미 요소들 사이에는 일정한 결합 관계가 있다.
성어는 비유적함축적 뜻을 지니며, 삶의 태도와 가치를 내포하고 있다.
  내용 요소
지식이해 한자의 모양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
단어의 짜임
실사와 허사
단어와 성어의 음과 뜻
한자 문화권의 문화
과정기능 한자의 모양뜻 파악하기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 파악하기
단어의 짜임 파악하기
실사와 허사 파악하기
단어와 성어 읽고 풀이하기
성어의 뜻과 유래 조사하기
단어와 성어 활용하기
가치태도 어휘를 활용하여 소통하는 태도
성어 속 삶의 다양한 가치를 수용하는 태도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이해와 교류 증진에 참여하려는 태도

 

 

(2) 문장

 

핵심 아이디어 문장을 구성하는 성분들 사이에는 일정한 결합 방식이 있다.
글에는 중심 내용과 작자의 의도를 알 수 있는 주제가 담겨 있다.
한문 기록에는 선인들의 삶과 지혜가 담겨 있다.
  내용 요소
지식이해 문장의 구조
문장의 유형
내용과 주제
한시의 특징
과정기능 문장의 구조와 유형 파악하기
글을 의미에 맞게 읽기
글을 풀이하기
글의 내용과 주제 파악하기
한시의 내용 이해하고 감상하기
가치태도 선인들의 지혜를 이해하여 인성 함양하기
전통문화를 계승발전시키려는 태도

 

 

한문 고전 읽기

 

핵심 아이디어 동아시아의 인문 사유를 담은 한문 고전은 미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역량을 제공한다.
구분
범주
내용 요소
지식이해 한자의 음과 뜻
허사의 쓰임
문장의 구조
글의 배경
글의 내용
글의 주제
과정기능 한자의 음과 뜻을 알아 글을 읽고 풀이하기
허사의 쓰임과 문장의 구조에 유의하여 문장 풀이하기
글의 배경 조사하기
글의 내용 이해하기
글의 주제 파악하기
심미적 요소 찾아 감상하기
학습 자료를 활용하여 글에 대한 이해 심화하기
자신의 삶에 비추어 설명하기
주제 탐구 활동을 통해 진로 탐색에 활용하기
가치태도 인성의 기초적인 자질을 내면화하고 반성적으로 사고하는 태도
다양한 삶의 양태를 존중하고 더불어 살아가고자 하는 태도
자연과 생태의 가치를 알고 상생하고자 하는 태도

 

 

언어생활과 한자

 

핵심 아이디어 한자와 한자 어휘는 고유의 형식과 구조로 인간의 삶과 가치, 생태환경, 문화예술, 정치사회, 기술과학 등을 표현한다.
언어생활 속에서 한자 어휘는 화자나 필자의 의도를 전략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하는 고유의 기능이 있다.
  내용 요소
지식이해 한자 및 한자 어휘의 음과 뜻
한자 어휘의 의미와 어원
한자 어휘의 어휘 관계
과정기능 한자의 음과 뜻 파악하기
표준 발음법에 맞게 한자 어휘 읽기
한자 어휘의 의미 이해하기
한자 어휘의 어원 파악하기
한자 어휘의 어휘 관계 파악하기
사회문화 현상에 대응해 생성된 한자 어휘와 조어 특성 조사하기
학습을 위한 어휘를 개념적으로 이해하여 의미 추론하기
한자 어휘 활용하기
한자 문화권의 어휘 비교하기
가치태도 품격 있는 언어생활을 통한 인성 함양과 자기 관리를 실천하는 태도
맥락에 맞는 한자 어휘 활용으로 공동체에서 협력적 소통을 실천하는 태도
한자 어휘를 활용한 언어 실천 과정에서 삶의 가치와 문화의 다양성이 갖는 의미 인식

 

 

 

. 성취기준

 

 

(1) 한자와 어휘

 

한문()

 

[901-01] 한자의 모양뜻을 구별한다.

[901-02]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구별한다.

[901-03] 단어의 짜임을 구별한다.

[901-04] 단어와 성어를 읽고 풀이한다.

[901-05] 단어와 성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하여 소통하는 태도를 기른다.

[901-06]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익혀 이해와 교류 증진에 참여하려는 태도를 기른다.

 

 

() 성취기준 해설

 

[901-02] 이 성취기준은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이해하여 한자의 모양과 음과 뜻을 익힐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하였다.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는 상형(象形), 지사(指事), 회의(會意), 형성(形聲)으로 나눌 수 있다.

[901-03] 이 성취기준은 단어의 짜임을 이해하여 한자 어휘의 뜻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맥락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하였다. ‘단어의 짜임은 단어를 형성하는 의미 요소들 사이의 결합 관계를 말한다. 단어의 짜임은 문법적 기능에 따라 주술(主述) 관계, 술목(述目) 관계, 술보(述補) 관계, 수식(修飾) 관계, 병렬(竝列) 관계로 분류할 수 있다. 주술 관계는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로 이루어진 단어이다. 주어는 서술어의 진술을 받는 대상이 되고, 서술어는 주어에 대해 진술하는 내용을 나타낸다. 술목 관계는 서술어와 목적어의 관계로 이루어진 단어이다. 서술어는 동작이나 행위 또는 소유(: , )를 나타내고, 목적어는 그 대상이 된다. 술보 관계는 서술어와 보어의 관계로 이루어진 단어이다. 서술어는 동작, 행위, 상태 등을 나타내고, 보어는 서술어를 보충하여 부족한 뜻을 완전하게 해 준다. 수식 관계는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관계로 이루어진 단어이다. 병렬 관계는 성분이 같은 말들이 나란히 놓여 이루어진 단어이다.

[901-06] 이 성취기준은 한자 문화권의 문화를 이해하여 공감대를 형성하고 교류 증진에 참여하려는 태도를 기르기 위해 설정하였다.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은 한자 문화권이 공유하고 있는 한자를 매개로 형성된 보편적 문화에 대한 지식으로 간지(干支), 절기(節氣) 등이 있다.

 

 

()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 사항

 

한자의 모양뜻을 구별하기 위해서는 실생활에서 접하는 한자를 알아맞히거나 어휘나 문장을 구성하는 한자의 뜻을 유추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지도하되, 디지털 도구 등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한자 관련 정보를 스스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둔다.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구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한자 학습의 흥미와 효과를 높이도록 하되, 학습 성과를 높일 수 있는 한자를 중심으로 지도한다.

단어의 짜임을 구별하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흥미를 잃지 않도록 문법적인 내용에 지나치게 치중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한자 어휘의 조어(造語) 방법을 이해하고 단어와 성어의 풀이, 한문 독해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단어를 읽고 풀이하기 위해서는 단어에 사용된 한자의 뜻, 단어의 짜임 등을 고려하도록 지도한다. 또한 성어를 읽고 풀이하기 위해서는 성어에 사용된 한자의 뜻, 유래 등을 고려하도록 지도한다.

단어와 성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하여 소통하는 태도를 기르기 위해서는 단순한 암기보다는 그 지시적문맥적비유적 의미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에 중점을 두어 지도한다. 또한 단어와 성어는 그림이나 사진, 신문, 방송 등 실생활 관련 자료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알고 이해와 교류 증진에 참여하려는 태도를 기르기 위해서는 한자를 매개로 형성된 고전적보편적 문화를 중심으로 지도한다.

 

 

한문()

 

[12한문01-01] 한자의 모양뜻을 구별한다.

[12한문01-02]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구별한다.

[12한문01-03] 단어의 짜임을 구별한다.

[12한문01-04] 실사와 허사를 구별한다.

[12한문01-05] 단어와 성어를 읽고 풀이한다.

[12한문01-06] 단어와 성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하여 소통하는 태도를 기른다.

[12한문01-07] 성어의 뜻과 유래를 이해하여 삶의 다양한 태도와 가치를 탐색한다.

[12한문01-08]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익혀 이해와 교류 증진에 참여하려는 태도를 기른다.

 

 

() 성취기준 해설

 

[12한문01-04] 이 성취기준은 기본 품사를 이해하여 실사와 허사의 차이를 구별하고 단어, 성어, 문장의 풀이에 활용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하였다. 품사에는 단독으로 어휘적 의미를 가진 실사와 문법적 의미만을 나타내는 허사가 있다. 실사에 속하는 품사로는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부사가 있으며, 허사에 속하는 품사로는 개사, 접속사, 어조사, 감탄사가 있다. 개사(介詞)는 일반적으로 명사나 대명사 등 명사류(名詞類) 앞에 놓여 그 명사류를 서술어와 연결해주면서 처소, 대상, 도구, 시간, 원인, 비교 등의 뜻을 나타내는 단어이다. 접속사(接續詞)는 단어와 단어, 어구(語句)와 어구, 문장과 문장 등을 서로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단어이고, 어조사(語助詞)는 단어나 어구 또는 문장의 앞, 가운데나 뒤에 와서 문법적인 의미나 어기(語氣) 등을 나타내는 단어이다. 감탄사(感歎詞)는 문장의 밖에 독립적으로 놓여 화자(話者)의 부름, 느낌, 놀람이나 응답을 나타내는 단어이다. 다만 허사의 경우, 같은 품사에 속하는 허사들 간에도 문법적 기능과 의미 차이가 있으므로 각 허사의 특성을 명확히 이해하여 정확하게 문장을 독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어는 문장 속에서 쓰임에 따라 품사가 바뀌고 의미가 달라지기도 한다. 명사는 동사처럼 쓰여 문장에서 그 자체로 서술어가 되기도 하고, 동사 앞에서 부사처럼 쓰이기도 하며, 동사는 명사처럼 쓰이기도 한다. 형용사는 그 뒤에 명사나 대명사 등이 올 때 라고 여기다는 뜻을 갖기도 하며 명사적으로 쓰이기도 한다.

[12한문01-07] 이 성취기준은 성어의 뜻과 유래를 이해하여 삶의 다양한 태도와 가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였다. 성어는 대체로 24자로 이루어진 관용구이다. 옛이야기에서 유래된 고사성어(故事成語)의 경우, 성어가 이루어진 배경이나 속뜻을 학습하면서 등장인물들의 삶의 방식과 태도를 살펴볼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삶의 다양한 문제 상황에 대해 생각하며, 자신의 태도와 가치를 성찰할 뿐 아니라 타인의 가치를 존중하는 마음을 가질 수 있다.

 

 

()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 사항

 

한자의 모양뜻을 구별하기 위해서는, 자전이나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데, 한자는 종이 사전 또는 디지털 사전 등을 활용하여 찾을 수 있다. 자원을 교수학습할 때에는 근거가 분명한 한자를 중심으로 지도하되, 자원 자체를 암기하기보다 한자를 이해하는가에 중점을 두도록 한다.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구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한자 학습의 흥미와 효과를 높이도록 하되 학습 성과를 높일 수 있는 한자를 중심으로 지도한다.

단어의 짜임을 구별하기 위해서는, 단어를 형성하는 의미 요소들 사이의 결합 관계를 학습하여 한자 어휘의 조어(造語) 방법을 이해하고, 단어의 짜임을 이해하여 언어생활과 한문 학습에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가에 중점을 둔다.

실사와 허사를 구별하기 위해서는, 허사가 활용된 예문을 제시하며 자연스럽게 허사의 특징을 익히도록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사와 허사의 용어적 정의에 치우치기보다는 실사와 허사의 차이점을 구별할 수 있는가에 중점을 둔다.

성어의 뜻과 유래를 이해하여 삶의 다양한 태도와 가치를 탐색하기 위해서는, 이야기 속 인물들의 문제 해결 방식과 그 결과에 대해 다각적으로 고민하고 성찰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학습자들이 간접 경험에서 얻은 지혜를 바탕으로 자신만의 기준과 가치를 정립하여 삶에서 마주하는 문제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알고 한자 문화권에 속한 나라들의 문화에 대한 이해와 국가 간 교류 증진에 참여하려는 태도를 기르기 위해서는, 한문이 고전 문언문으로 한자 문화권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던 국제적 표기 수단의 하나였음을 아는 것에서 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지(干支), 성명(姓名), 풍속(風俗), 의식주(衣食住) 관련 생활 문화 등의 지식을 활용하여 한자 문화권에 속한 국가의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2) 문장

 

한문()

 

[902-01] 문장의 구조를 구별한다.

[902-02] 글을 의미에 맞게 읽는다.

[902-03] 글을 바르게 풀이한다.

[902-04] 글의 내용을 이해하고 주제를 파악한다.

[902-05] 글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를 이해하여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성을 함양한다.

[902-06] 글에 담긴 전통문화의 의미와 가치를 알고 소중하게 여기는 태도를 기른다.

 

 

() 성취기준 해설

 

[902-01] 이 성취기준은 문장의 구조를 이해하여 기초적인 한문 독해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하였다. ‘문장의 구조에는 주술 구조, 주술목 구조, 주술보 구조, 주술목보 구조가 있다.

[902-02] 이 성취기준은 글을 의미와 맥락에 맞도록 정확하게 읽을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하였다. 여기에서 의미에 맞게 읽기는 음운 법칙에 맞게 읽기, 여러 가지 음을 지닌 한자는 문맥에 맞게 읽기, 띄어 읽기를 말한다.

[902-05] 이 성취기준은 글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를 본보기 삼아 인성을 함양하기 위해 설정하였다.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성은 타인공동체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인간다운 성품을 말한다.

 

 

()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 사항

 

글은 한문을 처음 학습하는 중학생의 수준을 고려하여 한역 속담 및 격언, 명언명구 등 짧은 글 위주로 지도한다.

문장의 구조를 구별하기 위해서는 문장의 구조를 지나치게 분석하기보다는 문장에는 여러 가지 구조가 있음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문법적 내용보다는 바르게 풀이하는 데 중점을 두어 평가한다.

글을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바르게 읽기 위해서는 글의 내용을 떠올리고 음미하며 의미 맥락에 따라 바르게 띄어 읽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한자는 여러 가지 음이 있어서, 글에서 사용된 한자의 뜻을 고려하여 글을 정확하게 읽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글을 바르게 풀이하기 위해서는 글에 사용된 단어나 구절의 뜻, 문장의 구조 등을 고려하여 풀이하는 것이 중요하다.

글의 내용을 이해하고 주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글의 내용 가운데 중심이 되는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글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를 이해하고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성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삶의 의미를 탐색하며 민주시민의 태도와 자질을 함양하고 사회적 현안과 비교할 수 있는 자료, 생태환경 감수성을 기르고 생태와 인간의 관계를 탐구할 수 있는 자료 등 다양한 텍스트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에 담긴 전통문화의 가치를 알고 계승발전시키려는 태도를 기르기 위해서는 한문을 주된 기록 수단으로 전승된 전통문화를 중심으로 지도하되, 교과 간에 연계할 수 있는 내용, 민주시민으로서 인문학적 소양을 내실화할 수 있는 내용 등 학습자의 삶과 연계한 학습 내용으로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문()

 

[12한문02-01] 문장의 구조와 유형을 구별한다.

[12한문02-02] 글을 의미에 맞게 읽는다.

[12한문02-03] 글을 풀이하고 내용과 주제를 설명한다.

[12한문02-04] 한시의 특징을 통해 한시의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한다.

[12한문02-05] 글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를 이해하여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성을 함양한다.

[12한문02-06] 글에 담긴 전통문화의 가치를 알고 계승발전시키려는 태도를 기른다.

 

 

() 성취기준 해설

 

[12한문02-01] 이 성취기준은 문장의 구조와 유형을 이해하여 한문 독해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하였다. 문장의 구조에는 주술 구조, 주술목 구조, 주술보 구조, 주술목보 구조가 있다. 문장의 구조를 파악할 때는 먼저 어순을 보고, 그다음에 성분들 사이의 관계를 보는데, 어순이 바뀌면 비문(非文)이 되거나 문장의 성분이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특정한 환경에서 어순이 도치되어도 문장의 성분이 바뀌지 않는 경우도 있는데, 술목 구조의 기본 어순은 서술어가 앞에 오고 목적어가 뒤에 오지만, 특정한 조건에서 목적어가 서술어 앞에 오기도 한다. 예를 들어, 의문의 뜻을 나타내는 구문(構文)에서 의문 대명사가 목적어로 쓰일 때, 또는 부정의 뜻을 나타내는 구문에서 지시 대명사나 인칭 대명사가 목적어로 쓰일 때는 목적어가 서술어 앞에 온다. 문장의 유형은 화자(話者)가 나타내는 어기(語氣)에 대한 판단으로,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감탄문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12한문02-03] 이 성취기준은 글을 바르게 풀이하고 내용과 주제를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하였다. 글의 내용과 주제를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문장에 사용된 단어나 구절의 구체적인 의미, 글의 구조와 분위기 등 글의 내용을 그 주제와 관련지어 파악해야 한다. 단순히 정보를 전달하는 내용만을 담고 있는 글의 경우에는 겉으로 드러난 명시적인 내용이 바로 그 주제가 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문 문장은 의미심장한 교훈이나 철리(哲理)를 담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글 속에 담긴 의미를 새겨보는 과정이 필요하다.

[12한문02-04] 이 성취기준은 한시의 특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시의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하였다. 한시의 특징이란 한시의 시체(詩體), 압운, 대우(對偶), 시상 전개 방식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한시의 형식적 특징을 이해하면 함축과 상징의 시어로 구성된 한시를 다면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다. 한시를 감상할 때는 한시의 표면적 뜻뿐만 아니라 시어 속에 숨겨진 의미, 창작 배경, 문학적 영향 관계, 심미적 요소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아야 시를 감상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느낌을 표현할 수 있다.

 

 

()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 사항

 

문장의 구조를 구별하기 위해서는, 문장을 이루는 성분들 사이의 일정한 결합 방식을 분석해야 하며, 문장의 유형을 구별하기 위해서는 화자(話者)의 의도와 분위기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문장의 구조와 유형에 대한 이해는 문장 독해에 활용하기 위한 것이므로 지나치게 문법적인 내용에 치중하지 않도록 한다.

글의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바르게 읽기 위해서는, 읽고 있는 글의 내용을 떠올리고 음미하면서 읽을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글을 바르게 풀이하고 내용과 주제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먼저 바른 풀이가 선행되어야 한다. 문장에 사용된 허사의 쓰임, 품사의 활용을 바탕으로 단어의 뜻, 어구나 문장의 의미, 글의 구조나 전개 방식, 분위기 등을 고려하여 문장을 정확하게 풀이할 수 있어야 한다. 글의 주제가 표면에 명시적으로 드러나 있는 경우에는 문장을 풀이하고 내용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주제를 비교적 쉽게 파악할 수 있지만, 글의 주제가 글의 표면에 드러나 있지 않거나 숨겨져 있는 경우에는 글의 이면에 함축되어있는 주제를 추측하여 파악해야 한다. 이때, 글의 제목, 핵심어, 지은이의 의도, 시간적공간적 배경 등으로 요소를 추출해나가면서 주제를 찾고 설명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한시의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하기 위해서는, 한시 속에 간결한 어휘로 된 함축적인 표현이 많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한시는 직역하기 곤란하거나 직역만으로는 의미가 잘 전달되지 않는 경우가 적지 않으므로 한시를 풀이할 때에는 우선 직역의 단계를 충실하게 거친 후, 한시 속에 함축된 뜻이 시적으로 유려하게 드러나도록 의역하는 단계에 이르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학습자가 다양한 방식으로 감상하도록 매체 자료를 활용하여 학습 효과를 높이되 교사와 학습자가 쌍방향으로 소통하면서 지속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여 학습자가 자기만의 감상을 끌어낼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한문 기록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를 이해하고 올바른 인성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선인들의 인간관, 학문관, 자연관, 역사관 등의 다면적 가치관을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제재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인들의 지혜와 사상이 담긴 글 속에서 현재적 가치를 찾아 자기 삶에 적용하여, 자신을 성찰하며 타인과 더불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인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한다.

한문 기록에 담긴 전통문화의 가치를 알고 계승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전통문화의 심미적 가치를 발견하고 전통문화의 계승발전을 위한 태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둔다. 전통문화가 갖는 현재적 의미, 계승발전 방안 등의 주제에 대한 토의토론 및 개인 탐구 활동을 통하여 자신만의 생각을 가질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한문 고전 읽기

 

[12한고01-01] 한자의 음과 뜻을 알아 글을 읽고 풀이한다.

[12한고01-02] 허사의 쓰임과 문장의 구조에 유의하여 문장을 풀이한다.

[12한고01-03] 글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내용과 주제를 파악한다.

[12한고01-04] 글에 담긴 심미적 요소를 찾아 감상한다.

[12한고01-05] 다양한 학습 자료를 활용하여 글에 대한 이해를 심화한다.

[12한고01-06] 글과 관련한 탐구 활동을 통해 진로를 탐색한다.

[12한고01-07] 글을 읽고 자신의 삶에 대입하여 반성적으로 사고한다.

[12한고01-08] 다양한 삶의 양태를 존중하고 더불어 사는 포용적 태도를 갖춘다.

[12한고01-09] 자연과 생태의 가치를 알고 상생하고자 하는 태도를 지닌다.

 

 

() 성취기준 해설

 

[12한고01-03] 이 성취기준은 창작 배경, 작가, 유관 저술, 등장인물, 후세에 끼친 영향 등 한문 고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배경지식을 적절히 활용하여 글의 내용을 올바로 이해하고 주제를 파악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하였다. 한문 고전은 동아시아 한자 문화권에서 생산된 글 중에서 시공(時空)을 이월(移越)한 가치를 지닌 저술을 이르는 말로, 단순히 옛날에 지어진 좋은 작품이 아닌 지금 우리의 삶에도 영향을 끼치는 고전적 전통을 담고 있다. 이러한 고전적 전통은 때로 글의 풀이만으로는 온전히 드러나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그에 영향을 끼친 다양한 배경지식을 살펴 글의 내용과 주제를 명료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12한고01-04] 이 성취기준은 한문 고전에 담긴 심미적 요소를 찾아내고 이를 바탕으로 감상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하였다. 한문 고전의 심미성은 내용은 물론 언어문자적 특성에서도 발현된다. , 한문은 어형의 변화가 없으므로 개개의 한자가 지닌 다양한 뜻 가운데 문맥에 맞는 의미를 유추해야 한다. 또한 문학성이 짙은 글뿐만 아니라 공용적, 실용적 목적에 따라 지어진 글도 간결성과 함축성을 추구하며, 대우, 전고, 운율 등을 적용한 경우도 많다. 이와 같은 심미적 요소는 작품의 주제를 형상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구조적인 아름다움을 이루고 정서적인 감성을 배가시키며, 독자들로 하여금 고도의 지적 유열감(愉悅感)을 맛볼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심미적 요소를 찾아 감상할 때는 표현과 내용, 기타 요인 등을 종합적으로 살피도록 하며, 형식적인 측면에 치우치지 않도록 유의한다.

[12한고01-05] 이 성취기준은 다양한 학습 자료를 활용하여 글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거나 확장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하였다. 최근에는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디지털화된 자료가 많아지고 있는 만큼 디지털 자료나 매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한다. 디지털 자료나 매체의 특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텍스트의 의미를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는 공공적 성격을 띤 기관에서 구축운영하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베이스나 방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웹사이트 등을 이용하여 원문 및 유관 자료를 검색하고 목적에 맞는 형태로 조합하거나 새로운 정보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글의 내용이나 주제를 파악하고 감상하는 수준에 머무르지 않고 학습 내용 이해의 폭을 넓히고 심화할 수 있도록 한다.

[12한고01-06] 이 성취기준은 한문 고전 학습을 통해 얻은 지식과 흥미를 진로 탐색에 활용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하였다. 한문 고전은 이른바 문()()(), 즉 문학역사철학이 주종을 이루고 있지만 풍토, 지리, 수리, 과학, 문화 등에 관한 내용도 풍부하다. 이러한 자료들은 학습자가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는 데 좋은 참고자료가 되므로,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12한고01-07] 이 성취기준은 동아시아의 전통적 인성과 인간관을 이해하고 자신의 삶에 대입하여 반성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하였다. 한문 고전은 인성의 본질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더불어 도덕적으로 완전한 사람이 될 것을 강조하며, 가치 있는 사람으로 살아가기 위해 갖추어야 할 덕목과 역할을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자료를 폭넓게 읽어 동아시아의 전통적 인성과 인간관을 현재적 관점에서 이해하는 한편 자신의 삶에 비추어 반성적으로 사유하는 힘을 기르도록 한다.

[12한고01-08] 이 성취기준은 다양한 문화적 배경에서 성장한 인물들의 삶이나 일화를 기록한 글을 읽고, 나와 다른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포용성을 키워 이웃과 더불어 사는 삶을 실천하고자 하는 태도를 갖추도록 하기 위해 설정하였다. 옛사람들은 다양한 유형의 인물군상을 통해 시대를 기록하는 한편, 세상과 타협하기를 거부하고 주체적으로 자신의 길을 개척해간 사람들을 기억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자료를 통해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을 넓히고 타인을 존중하고 배려하며 소통하고 협동하는 등 공공선(公共善)을 적극적으로 추구해 나가도록 한다.

[12한고01-09] 이 성취기준은 자연과 생태의 중요성을 깨닫고 가꾸어가기 위해 노력하는 태도를 갖추도록 하기 위해 설정하였다. 농경 사회였던 동아시아는 자연과의 공존을 중시하였으며, 그 속에서 글의 소재와 주제를 찾았다. 운문(韻文)에서는 자연에 철학적 의미를 담은 산수시(山水詩), 자연시(自然詩)가 하나의 장르로 자리 잡았고, 산문(散文)에서도 전원생활의 즐거움을 찬양하거나 희구하는 글들이 꾸준히 창작되었다. 이러한 글들은 환경 파괴와 물질 만능주의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생태주의와 상통하는 부분이 많다. 이와 같은 글을 읽고 자연과 생태의 가치를 이해하여 건강한 생태계를 가꾸어 나갈 수 있도록 한다. 자연과 생태의 가치를 알고 이를 보전해 나가려는 태도를 기르는 일은 현재는 물론 미래 사회에 유의미한 활동이며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것임을 알도록 한다.

 

 

()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 사항

 

학습자가 글을 바르게 풀이하고 내용과 주제를 학습자 스스로 이해하고 파악할 수 있도록 모둠 형태의 토론토의 수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한다.

심미적 활동은 아름다움을 궁극적인 가치 내용으로 하는 미적 가치 체험이다. 글에 담긴 심미적 요소는 산문과 운문에서 글쓴이가 말하고자 하는 것, 담론, 글의 배경지식, 문학적 요소, 수사법, 표현미, 운율과 시상의 전개 방식 등 매우 다양하다. 학습자는 이러한 심미적 요소를 자신의 학습 경험과 지식 등을 동원하여 주체적으로 감상할 수 있어야 한다. 작품의 가치를 평가하고 감상할 때는 작품의 내용이 가지는 의미를 자신의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어야 하며, 작품에서 자신이 느끼기에 특별히 멋있거나 재미있는 부분이 왜, 그리고 어떻게 멋있거나 재미있는지를 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양한 학습 자료를 활용하여 글에 대한 이해를 심화확장하기 위해서는 먼저 글의 내용과 주제를 파악하여야 한다. 최근에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디지털 자료나 매체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이를 활용하여 절취된 글의 원문, 유사한 내용과 주제를 다룬 자료, 글의 감상을 돕는 자료 등을 찾아 학습할 내용을 심화하고 확장한다. 다만 디지털 자료나 매체 중에는 사실과 다른 자료, 개인의 일방적 주장, 인위적으로 조작된 자료 등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객관적이고 신뢰성 높은 자료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이에 필요한 디지털 윤리 의식도 함께 갖출 수 있도록 한다.

주제 탐구 활동을 진로 탐색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데 필요한 보편적 사유와 가치관이 담겨 있는 글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한문 고전의 다양한 내용을 학습하면서 자신의 진로나 직업과의 관련성을 탐색해 보거나 직업관, 가치관, 인생관 등 개인적 삶의 방향과 태도를 형성하고 진로를 결정하는 데 필요한 요소들을 찾아 발전시켜 나가도록 한다.

동아시아의 전통적 인성과 인간관을 현재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반성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우리가 당면한 문제를 생각해보고 성찰할 수 있는 내용과 주제를 담고 있는 글을 찬찬히 읽고 풀이하며, 글에서 말하고자 하는 바를 잘 새겨 지적 소양을 넓히도록 한다.

다른 사람들을 포용하고 이웃과 더불어 사는 삶을 실천하고자 하는 태도를 갖추도록 하기 위해 학습자는 각자의 삶의 방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인간 존중과 더불어 살아가는 삶을 다룬 글을 정선하여 이해하고, 이를 생활 속에서 실천하려는 태도를 갖추도록 한다.

자연과 생태의 중요성을 깨닫고 가꾸어가기 위해 노력하는 태도를 갖추기 위해서는 학습자 개인의 경험과 생각을 바탕으로 한 활동도 중요하지만 모둠 활동을 통해 각자의 경험과 생각을 공유하며 심층적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언어생활과 한자

 

[12언한01-01] 한자의 음과 뜻을 파악한다.

[12언한01-02] 어휘를 표준 발음법에 맞게 읽는다.

[12언한01-03] 어휘의 의미와 어원을 설명한다.

[12언한01-04] 성어의 의미와 유래를 파악하여 삶의 가치를 이해한다.

[12언한01-05] 한자 어휘의 어휘 관계를 파악하여 효율적 언어생활과 문해에 활용한다.

[12언한01-06] 사회ㆍ문화 현상에 대응하여 생성된 한자 어휘를 파악하고 조어 특성을 이해한다.

[12언한01-07] 학습을 위한 어휘의 개념적 특성을 파악하여 교과 학습에 활용한다.

[12언한01-08] 품격 있는 어휘 활용으로 바른 인성을 함양하려는 태도를 지닌다.

[12언한01-09] 맥락에 맞는 어휘 활용으로 공동체에서 협력적 소통을 실천한다.

[12언한01-10] 한자 문화권의 어휘 비교를 통해 문화적 다양성을 이해하려는 태도를 지닌다.

 

 

() 성취기준 해설

 

[12언한01-02] 이 성취기준은 한자 어휘의 정확한 독음을 알 수 있도록 설정한 것이다. 우리말 표준 발음법을 적용하되, 사용 빈도가 높은 발음법(, 두음 법칙음운 탈락자음 동화)을 중심으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12언한01-03] 이 성취기준은 한자 어휘의 어원 확인을 통해 어휘의 정확한 의미와 발전 과정을 알 수 있도록 설정한 것이다. 직관에 의한 억측을 배제하고 어원의 근거가 분명한 어휘를 중심으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12언한01-04] 이 성취기준은 성어의 정확한 의미와 발전 과정을 알 수 있도록 설정한 것이다. 또 특정 이야기와 관련 있는 고사성어는 유래까지 파악함으로써 삶의 가치를 이해하도록 설정한 것이다. 학생들의 수준과 환경 및 정서에 맞는 성어를 중심으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12언한01-05] 이 성취기준은 유의어와 반의어, 하위어 및 동음이의어를 파악하여 효율적인 언어생활과 정확한 문해에 활용할 수 있도록 설정한 것이다. 어휘 관계가 분명한 한자 어휘를 중심으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12언한01-06] 이 성취기준은 한자 특유의 조어력을 바탕으로 사회문화적 현상에 대응하여 만들어진 한자 줄임말과 혼종어를 조사활용할 수 있도록 설정한 것이다. 한자 줄임말은 주로 각 어휘의 첫음절을 떼어서 만든 형태로 나타난다. 그리고 혼종어는 한자어와 고유어, 외래어가 다양한 형태로 결합한다는 것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12언한01-07] 이 성취기준은 전문 어휘에 포함되는 학습을 위한 어휘의 개념적 특성을 파악하여 교과 학습에 효율적으로 활용하도록 설정한 것이다. 특히 학습을 위한 어휘는 외국 학문의 유입 과정에서 외래어를 한자 어휘로 번역한 것이 많다는 점에 착안하여 다른 나라와의 교류가 한자 어휘로 반영되는 양상에 대한 학습도 이루어지도록 한다. 지나치게 추상적이고 설명이 복잡한 개념보다는 학생들에게 활용도가 높고 이해하기 쉬운 용어를 중심으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12언한01-08] 이 성취기준은 일상생활에서 품격 있는 한자 어휘의 활용을 통하여 바른 인성을 함양하려는 태도를 지닐 수 있도록 설정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자 어휘로 된 경어를 상황에 맞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기존 어휘가 갖는 부정적 어감 때문에 새로운 말로 대체한 어휘나 금기어를 우회적으로 표현한 완곡어가 말을 우아하게 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나타나는 어휘적 양상이라는 점에 대한 학습도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자 어휘의 남용보다는 상황에 맞는 한자 어휘의 적절한 활용을 중심으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 사항

 

어휘의 어원은 지엽적인 지식의 전달보다는 언어생활에서 활용도가 높은 어휘를 중심으로 뜻을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어휘 관계(유의어, 반의어, 하위어, 동음이의어)의 이해를 통해 효율적인 언어생활과 문해에 활용하도록 한다.

사회문화 현상에 대응하여 생성된 한자 줄임말, 혼종어를 상황에 맞게 활용하기 위해서, 흥미 위주의 무분별한 사례 수집보다, 시대적 현상을 반영하는 어휘의 의미를 정확하게 알고 활용하는 데 중점을 둔다.

맥락에 맞는 한자 어휘 활용으로 협력적 소통을 지도할 때는 환경과 인간, 지속가능한 사회 등 공동체와 사회적 문제로 인식이 확장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민주시민 의식 함양이나 생태전환 교육과 관련된 어휘를 선정하여 공동체적 문제에 대한 인식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인용

지도 / 성취수준

교육과정 설계의 개요

1. 성격 및 목표

2.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 내용 체계

. 성취기준

한자와 어휘

문장

한문 고전 읽기

언어생활과 한자

3. 교수·학습 및 평가

. 교수·학습

. 평가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