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놀이터/한문과 교육과정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 교육과정 설계의 개요

건방진방랑자 2023. 1. 2. 08:46
728x90
반응형

  

 

교육과정 설계의 개요

 

 

한문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은 총론에서 제시한 인간상 및 핵심역량을 한문 교과 차원에서 구현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 한문과 교육과정은 총론의 핵심역량과 연계하여 미래 사회에서 자기 삶의 주체로서 자아를 실현하고 창의적인 삶을 영위하는 데 요구되는 지식정보처리’, ‘창의적 사고’, ‘심미적 감성’, ‘의사소통’, ‘인성 역량을 교과 역량으로 설정하고, 이러한 역량을 효과적으로 함양할 수 있는 방향으로 교육과정 전반을 구성하였다. 또한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 강조하고 있는 기초 소양 및 다양한 국가사회적 요구 등을 교육과정 문서에 반영하려고 하였다.

 

중학교 선택 과목 한문은 한자 및 한문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한자 어휘 활용 능력 및 한문 독해 능력을 종합적으로 신장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중학교 한문교육과정은 한자와 어휘’, ‘문장을 두 개의 하위 영역으로 설정하고, 한자 및 한자 어휘 관련 내용은 한자와 어휘영역에, 한문 관련 내용은 문장영역에서 다루도록 하였다. 전통문화 및 한자 문화권의 문화 등 한문과에서 다루어지는 문화 관련 내용과 인성 관련 내용의 경우는 별도의 영역을 설정하지 않고, ‘한자와 어휘’, ‘문장두 영역 내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하였다. 또한 이번 교육과정에서는 학교 현장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각 영역에서 다루어지는 문법적 내용을 최소화하려고 하였다.

 

핵심역량   지식정보처리 창의적 사고 삼미적 감성 협력적 소통 자기관리 공동체 역량
                       
교과역량   지식정보처리 창의적 사고 심미적 감성 의사소통 인성역량
                       
목표   한자 어휘 활용 능력 인성, 전통문화, 한자 문화권의 문화 한문 독해 능력
                       
영역   한자와 어휘 문장

<중학교 한문과 교육과정 구성 원리>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체계는 성격, 목표, 내용 체계, 성취기준,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성격은 중고등학교 한문과 전반을 관통하는 일반적 성격과 각 과목의 특성을 규정하는 과목 고유의 성격을 구분하여 제시하였고, 목표 역시 핵심역량 및 교과 역량과 연계하여 각 과목에서 추구하고 있는 학습의 지향점을 총괄 목표와 세부 목표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내용 체계는 각 영역에서 다루는 내용 전체를 관통하는 핵심적인 내용을 선정하고, 이를 일반화된 문장 형태로 진술한 핵심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영역에서 학습해야 할 내용을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3가지로 범주를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 해당 영역 학습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구체적 지식과 그것에 대한 이해는 지식이해’, 지식을 습득하는 데 활용되는 사고 및 탐구 과정, 영역 고유의 절차적 과정과 기능은 과정기능’, 학습 활동으로 기를 수 있는 의미 있고 바람직한 가치 및 태도는 가치태도로 구분한 것이다. 이러한 특성에 맞춰 한문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역시 한자, 한자 어휘, 문장 학습에 필요한 지식과 이해 관련 내용 요소는 지식이해에 배치하고, ‘지식이해에 제시된 내용 요소를 효과적으로 학습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과정기능에 제시하였으며, ‘지식이해과정기능을 통해 학습자가 도달하기를 기대하는 정의적 특성은 가치태도에 배치하였다.

성취기준은 내용 체계에서 제시한 학습 요소를 구체화한 것으로서, 내용 요소의 3가지 범주 중 2가지 이상의 범주를 정합하는 방식으로 진술하고자 하였다. 다만 과정기능지식이해의 내용 요소를 포괄하고 있거나 영역 또는 과목 전반의 내용 요소와 관련되어 지식이해과정기능의 내용 요소를 특정할 수 없는 가치태도의 경우는 부득이 한 가지 범주를 활용하여 성취기준을 작성하였다. 또한 이번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설정된 성취기준과 교육과정에 규정해야 할 문법적 사항이 있는 경우, 성취기준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기 위해 성취기준 설정 취지와 그 의미를 상세히 설명한 성취기준 해설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 사항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은 일선 학교의 교사들이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수업을 설계운영하고 평가하는 데 필요한 교수학습 및 평가의 중점 사항을 비롯하여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방법을 상세히 제시한 것은 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한문과 교수학습 및 평가의 지침을 교육과정에서 제공해 주기 위함이다.

 

 

선택중심교육과정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은 총론에서 제시한 인간상 및 핵심역량을 한문 교과 차원에서 구현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 한문과 교육과정은 총론의 핵심역량과 연계하여 미래 사회에서 자기 삶의 주체로서 자아를 실현하고 창의적인 삶을 영위하는 데 요구되는 지식정보처리’, ‘창의적 사고’, ‘심미적 감성’, ‘의사소통’, ‘인성 역량을 교과 역량으로 설정하고, 이러한 역량을 효과적으로 함양할 수 있는 방향으로 교육과정 전반을 구성하였다. 또한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 강조하고 있는 기초 소양 및 다양한 국가사회적 요구 등을 교육과정 문서에 반영하려고 하였다.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선택 과목은 한자 및 한문에 대한 기초적인 소양을 함양하고, 학생들이 각자의 적성과 진로에 따라 맞춤형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핵심역량   지식정보처리 창의적 사고 삼미적 감성 협력적 소통 자기관리 공동체 역량
                       
교과역량   지식정보처리 창의적 사고 심미적 감성 의사소통 인성역량
                       
목표   한자 어휘 활용 능력 인성, 전통문화, 한자 문화권의 문화 한문 독해 능력
                       
영역   한자와 어휘 문장
   
선택과목   언어생활과 한자   한문   한문 고전 읽기

<고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 구성 원리>

 

일반 선택 과목 한문은 중학교 한문에서 학습한 내용을 토대로 한자 및 한문에 대한 지식을 익혀 한자 어휘 활용 능력 및 한문 독해 능력을 종합적으로 신장하는 데 초점을 둔 과목이다. 진로 선택 과목인 한문 고전 읽기는 한문 독해 능력을 신장하는 데 보다 초점을 둔 과목으로, 한문으로 기록된 고전 자료를 바탕으로 인문학의 기초 소양을 쌓고 진로 탐색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융합 선택 과목인 언어생활과 한자는 한자 및 한자 어휘 활용 능력을 신장하는 데 보다 초점을 둔 과목으로, 언어생활에 필요한 한자와 한자 어휘를 익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선택 과목의 영역도 이러한 개별 과목의 특성을 고려하여 일반 선택 과목 한문한자와 어휘’, ‘문장을 두 개의 하위 영역으로 설정하였으며, 진로 선택 과목 한문 고전 읽기와 융합 선택 과목 언어생활과 한자는 별도의 영역을 설정하지 않았다. 전통문화 및 한자 문화권의 문화 등 한문과에서 다루어지는 문화 관련 내용과 인성 관련 내용의 경우는 별도의 영역을 설정하지 않고, 영역 및 과목 전반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하였다.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체계는 성격, 목표, 내용 체계, 성취기준,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성격은 중고등학교 한문과 전반을 관통하는 일반적 성격과 각 과목의 특성을 규정하는 과목 고유의 성격을 구분하여 제시하였고, 목표 역시 핵심역량 및 교과 역량과 연계하여 각 과목에서 추구하고 있는 학습의 지향점을 총괄 목표와 세부 목표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내용 체계는 각 영역에서 다루는 내용 전체를 관통하는 핵심적인 내용을 선정하고, 이를 일반화된 문장 형태로 진술한 핵심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영역 또는 과목에서 학습해야 할 내용을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3가지로 범주를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 해당 영역 또는 과목 학습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구체적 지식과 그것에 대한 이해는 지식이해’, 지식을 습득하는 데 활용되는 사고 및 탐구 과정, 영역 또는 과목 고유의 절차적 과정과 기능은 과정기능’, 학습 활동으로 기를 수 있는 의미 있고 바람직한 가치 및 태도는 가치태도로 구분한 것이다. 이러한 특성에 맞춰 한문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역시 한자, 한자 어휘, 문장 학습(‘언어생활과 한자는 한자 및 한자 어휘 학습, ‘한문 고전 읽기는 한자 및 문장 학습)에 필요한 지식과 이해 관련 내용 요소는 지식이해에 배치하고, ‘지식이해에 제시된 내용 요소를 효과적으로 학습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과정기능에 제시하였으며, ‘지식이해과정기능을 통해 학습자가 도달하기를 기대하는 정의적 특성은 가치태도에 배치하였다.

 

성취기준은 내용 체계에서 제시한 학습 요소를 구체화한 것으로서, 내용 요소의 3가지 범주 중 2가지 이상의 범주를 정합하는 방식으로 진술하고자 하였다. 다만 과정기능지식이해의 내용 요소를 포괄하고 있거나 영역 또는 과목 전반의 내용 요소와 관련되어 지식이해과정기능의 내용 요소를 특정할 수 없는 가치태도의 경우는 부득이 한 가지 범주를 활용하여 성취기준을 작성하였다. 또한 이번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설정된 성취기준과 교육과정에 규정해야 할 문법적 사항이 있는 경우, 성취기준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기 위해 성취기준 설정 취지와 그 의미를 설명한 성취기준 해설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 사항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은 일선 학교의 교사들이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수업을 설계운영하고 평가하는 데 필요한 교수학습 및 평가의 중점 사항을 비롯하여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방법을 상세히 제시한 것은 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한문과 교수학습 및 평가의 지침을 교육과정에서 제공해 주기 위함이다.

 

 

 

 

인용

목차 / 지도

교육과정 설계의 개요

1. 성격 및 목표

2.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 내용 체계

. 성취기준

한자와 어휘

문장

한문 고전 읽기

언어생활과 한자

3. 교수·학습 및 평가

. 교수·학습

. 평가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