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설계의 개요
한문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은 총론에서 제시한 인간상 및 핵심역량을 한문 교과 차원에서 구현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즉, 한문과 교육과정은 총론의 핵심역량과 연계하여 미래 사회에서 자기 삶의 주체로서 자아를 실현하고 창의적인 삶을 영위하는 데 요구되는 ‘지식정보처리’, ‘창의적 사고’, ‘심미적 감성’, ‘의사소통’, ‘인성 역량’을 교과 역량으로 설정하고, 이러한 역량을 효과적으로 함양할 수 있는 방향으로 교육과정 전반을 구성하였다. 또한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 강조하고 있는 기초 소양 및 다양한 국가⋅사회적 요구 등을 교육과정 문서에 반영하려고 하였다.
중학교 선택 과목 ‘한문’은 한자 및 한문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한자 어휘 활용 능력 및 한문 독해 능력을 종합적으로 신장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중학교 ‘한문’ 교육과정은 ‘한자와 어휘’, ‘문장’을 두 개의 하위 영역으로 설정하고, 한자 및 한자 어휘 관련 내용은 ‘한자와 어휘’ 영역에, 한문 관련 내용은 ‘문장’ 영역에서 다루도록 하였다. 전통문화 및 한자 문화권의 문화 등 한문과에서 다루어지는 문화 관련 내용과 인성 관련 내용의 경우는 별도의 영역을 설정하지 않고, ‘한자와 어휘’, ‘문장’ 두 영역 내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하였다. 또한 이번 교육과정에서는 학교 현장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각 영역에서 다루어지는 문법적 내용을 최소화하려고 하였다.
핵심역량 | | 지식정보처리 | ― | 창의적 사고 | ― | 삼미적 감성 | ― | 협력적 소통 | ― | 자기관리 | ― | 공동체 역량 | ||||||||
| | | | | | | ⟱ | | | | | | ||||||||
교과역량 | | 지식정보처리 | ― | 창의적 사고 | ― | 심미적 감성 | ― | 의사소통 | ― | 인성역량 | ||||||||||
| | | | | | | ⟱ | | | | | | ||||||||
목표 | | 한자 어휘 활용 능력 | ― | 인성, 전통문화, 한자 문화권의 문화 | ― | 한문 독해 능력 | ||||||||||||||
| | | | | | | ⟱ | | | | | | ||||||||
영역 | | 한자와 어휘 | ― | 문장 |
<중학교 한문과 교육과정 구성 원리>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체계는 성격, 목표, 내용 체계, 성취기준,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성격은 중⋅고등학교 한문과 전반을 관통하는 일반적 성격과 각 과목의 특성을 규정하는 과목 고유의 성격을 구분하여 제시하였고, 목표 역시 핵심역량 및 교과 역량과 연계하여 각 과목에서 추구하고 있는 학습의 지향점을 총괄 목표와 세부 목표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내용 체계는 각 영역에서 다루는 내용 전체를 관통하는 핵심적인 내용을 선정하고, 이를 일반화된 문장 형태로 진술한 ‘핵심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영역에서 학습해야 할 내용을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의 3가지로 범주를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즉, 해당 영역 학습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구체적 지식과 그것에 대한 이해는 ‘지식⋅이해’, 지식을 습득하는 데 활용되는 사고 및 탐구 과정, 영역 고유의 절차적 과정과 기능은 ‘과정⋅기능’, 학습 활동으로 기를 수 있는 의미 있고 바람직한 가치 및 태도는 ‘가치⋅태도’로 구분한 것이다. 이러한 특성에 맞춰 한문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역시 한자, 한자 어휘, 문장 학습에 필요한 지식과 이해 관련 내용 요소는 ‘지식⋅이해’에 배치하고, ‘지식⋅이해’에 제시된 내용 요소를 효과적으로 학습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과정⋅기능’에 제시하였으며, ‘지식⋅이해’ 및 ‘과정⋅기능’을 통해 학습자가 도달하기를 기대하는 정의적 특성은 ‘가치⋅태도’에 배치하였다.
성취기준은 내용 체계에서 제시한 학습 요소를 구체화한 것으로서, 내용 요소의 3가지 범주 중 2가지 이상의 범주를 정합하는 방식으로 진술하고자 하였다. 다만 ‘과정⋅기능’이 ‘지식⋅이해’의 내용 요소를 포괄하고 있거나 영역 또는 과목 전반의 내용 요소와 관련되어 ‘지식⋅이해’나 ‘과정⋅기능’의 내용 요소를 특정할 수 없는 ‘가치⋅태도’의 경우는 부득이 한 가지 범주를 활용하여 성취기준을 작성하였다. 또한 이번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설정된 성취기준과 교육과정에 규정해야 할 문법적 사항이 있는 경우, 성취기준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기 위해 성취기준 설정 취지와 그 의미를 상세히 설명한 ‘성취기준 해설’과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 사항’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은 일선 학교의 교사들이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수업을 설계⋅운영하고 평가하는 데 필요한 교수⋅학습 및 평가의 중점 사항을 비롯하여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방법을 상세히 제시한 것은 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한문과 교수⋅학습 및 평가의 지침을 교육과정에서 제공해 주기 위함이다.
선택중심교육과정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은 총론에서 제시한 인간상 및 핵심역량을 한문 교과 차원에서 구현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즉, 한문과 교육과정은 총론의 핵심역량과 연계하여 미래 사회에서 자기 삶의 주체로서 자아를 실현하고 창의적인 삶을 영위하는 데 요구되는 ‘지식정보처리’, ‘창의적 사고’, ‘심미적 감성’, ‘의사소통’, ‘인성 역량’을 교과 역량으로 설정하고, 이러한 역량을 효과적으로 함양할 수 있는 방향으로 교육과정 전반을 구성하였다. 또한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 강조하고 있는 기초 소양 및 다양한 국가⋅사회적 요구 등을 교육과정 문서에 반영하려고 하였다.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선택 과목은 한자 및 한문에 대한 기초적인 소양을 함양하고, 학생들이 각자의 적성과 진로에 따라 맞춤형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핵심역량 | | 지식정보처리 | ― | 창의적 사고 | ― | 삼미적 감성 | ― | 협력적 소통 | ― | 자기관리 | ― | 공동체 역량 | ||||||||||
| | | | | | | ⟱ | | | | | | ||||||||||
교과역량 | | 지식정보처리 | ― | 창의적 사고 | ― | 심미적 감성 | ― | 의사소통 | ― | 인성역량 | ||||||||||||
| | | | | | | ⟱ | | | | | | ||||||||||
목표 | | 한자 어휘 활용 능력 | ― | 인성, 전통문화, 한자 문화권의 문화 | ― | 한문 독해 능력 | ||||||||||||||||
| | | | | | | ⟱ | | | | | | ||||||||||
영역 | | 한자와 어휘 | ― | 문장 | ||||||||||||||||||
| | ⬇ | ⟱ | ⬇ | ||||||||||||||||||
선택과목 | | 언어생활과 한자 | | 한문 | | 한문 고전 읽기 |
<고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 구성 원리>
일반 선택 과목 ‘한문’은 중학교 ‘한문’에서 학습한 내용을 토대로 한자 및 한문에 대한 지식을 익혀 한자 어휘 활용 능력 및 한문 독해 능력을 종합적으로 신장하는 데 초점을 둔 과목이다. 진로 선택 과목인 ‘한문 고전 읽기’는 한문 독해 능력을 신장하는 데 보다 초점을 둔 과목으로, 한문으로 기록된 고전 자료를 바탕으로 인문학의 기초 소양을 쌓고 진로 탐색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융합 선택 과목인 ‘언어생활과 한자’는 한자 및 한자 어휘 활용 능력을 신장하는 데 보다 초점을 둔 과목으로, 언어생활에 필요한 한자와 한자 어휘를 익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선택 과목의 영역도 이러한 개별 과목의 특성을 고려하여 일반 선택 과목 ‘한문’은 ‘한자와 어휘’, ‘문장’을 두 개의 하위 영역으로 설정하였으며, 진로 선택 과목 ‘한문 고전 읽기’와 융합 선택 과목 ‘언어생활과 한자’는 별도의 영역을 설정하지 않았다. 전통문화 및 한자 문화권의 문화 등 한문과에서 다루어지는 문화 관련 내용과 인성 관련 내용의 경우는 별도의 영역을 설정하지 않고, 영역 및 과목 전반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하였다.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체계는 성격, 목표, 내용 체계, 성취기준,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성격은 중⋅고등학교 한문과 전반을 관통하는 일반적 성격과 각 과목의 특성을 규정하는 과목 고유의 성격을 구분하여 제시하였고, 목표 역시 핵심역량 및 교과 역량과 연계하여 각 과목에서 추구하고 있는 학습의 지향점을 총괄 목표와 세부 목표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내용 체계는 각 영역에서 다루는 내용 전체를 관통하는 핵심적인 내용을 선정하고, 이를 일반화된 문장 형태로 진술한 ‘핵심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영역 또는 과목에서 학습해야 할 내용을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의 3가지로 범주를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즉, 해당 영역 또는 과목 학습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구체적 지식과 그것에 대한 이해는 ‘지식⋅이해’, 지식을 습득하는 데 활용되는 사고 및 탐구 과정, 영역 또는 과목 고유의 절차적 과정과 기능은 ‘과정⋅기능’, 학습 활동으로 기를 수 있는 의미 있고 바람직한 가치 및 태도는 ‘가치⋅태도’로 구분한 것이다. 이러한 특성에 맞춰 한문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역시 한자, 한자 어휘, 문장 학습(‘언어생활과 한자’는 한자 및 한자 어휘 학습, ‘한문 고전 읽기’는 한자 및 문장 학습)에 필요한 지식과 이해 관련 내용 요소는 ‘지식⋅이해’에 배치하고, ‘지식⋅이해’에 제시된 내용 요소를 효과적으로 학습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과정⋅기능’에 제시하였으며, ‘지식⋅이해’ 및 ‘과정⋅기능’을 통해 학습자가 도달하기를 기대하는 정의적 특성은 ‘가치⋅태도’에 배치하였다.
성취기준은 내용 체계에서 제시한 학습 요소를 구체화한 것으로서, 내용 요소의 3가지 범주 중 2가지 이상의 범주를 정합하는 방식으로 진술하고자 하였다. 다만 ‘과정⋅기능’이 ‘지식⋅이해’의 내용 요소를 포괄하고 있거나 영역 또는 과목 전반의 내용 요소와 관련되어 ‘지식⋅이해’나 ‘과정⋅기능’의 내용 요소를 특정할 수 없는 ‘가치⋅태도’의 경우는 부득이 한 가지 범주를 활용하여 성취기준을 작성하였다. 또한 이번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설정된 성취기준과 교육과정에 규정해야 할 문법적 사항이 있는 경우, 성취기준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기 위해 성취기준 설정 취지와 그 의미를 설명한 ‘성취기준 해설’과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 사항’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은 일선 학교의 교사들이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수업을 설계⋅운영하고 평가하는 데 필요한 교수⋅학습 및 평가의 중점 사항을 비롯하여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방법을 상세히 제시한 것은 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한문과 교수⋅학습 및 평가의 지침을 교육과정에서 제공해 주기 위함이다.
인용
1. 성격 및 목표
2.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가. 내용 체계
나. 성취기준
3. 교수·학습 및 평가
가. 교수·학습
나. 평가
'한문놀이터 > 한문과 교육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 2. 내용체계 및 성취기준, 가) 내용체계 (0) | 2023.01.02 |
---|---|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 1. 성격 및 목표 (0) | 2023.01.02 |
한문임용 기출 - 23학년도 B형 3번 (0) | 2022.11.28 |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목차 (0) | 2022.05.18 |
2015 개정 교육과정 한문과 - 목차 (0) | 2021.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