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6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애노희락의 심리학, 제2부 체질에 따른 약점과 그 극복, 제9장 태행과 독행 - 2. 절심과 방략 / 태양인의 소음 기운: 태양인이 일하는 방식 본문

책/철학(哲學)

애노희락의 심리학, 제2부 체질에 따른 약점과 그 극복, 제9장 태행과 독행 - 2. 절심과 방략 / 태양인의 소음 기운: 태양인이 일하는 방식

건방진방랑자 2021. 12. 27. 14:28
728x90
반응형

태양인이 일하는 방식

 

태양인의 절심(竊心)은 소음인을 잘못 흉내 내서 생기는 것이니, 소음인이 일하는 방식을 간단히 검토해보자. 소음인은 본래 혼자 기준을 세우고 혼자 일하는 것에 익숙하다. 팀 작업이라 할지라도 할 일이 정확히 나눠지고 기준이 확실할 때는 대단한 집중력을 보이며 효율적으로 일한다. 이런 소음인의 모습을 태양인이 흉내 내려 한다. 깔끔하고 확실하게 정리하고 마무리하는 모습을 가져보고 싶은 것이다. 그래서 소음인처럼 몰두한다. 그럼 잘 될까? 잘 될 리가 없다. 소음인이 몰두하기 전에 하는 사전 정지 작업을 보지 못하기 때문이다.

 

소음인은 영역을 나누는 일에 능하다. 지방(地方)을 맛보는 일에 강하다고 할 때의 방()이 나누는 기운이라는 이야기도 한 적이 있다. 그런데 착각하지 말아야 할 것이, 소음인이 복잡한 일을 여러 개의 영역으로 나누는 일에 능하다는 뜻은 아니다. 내가 지금 하려고 하는 일을 기준으로 이것이 내일과 관련되는 것인지 아닌지를 나누는 것에 능하다는 것이다. 소음인은 일을 시작하기 전에 관련 없는 일들을 다 배제하고, 일의 조건과 기준을 확실하게 정하고 나서야 일을 시작한다. 주변 정리가 끝나야 일을 시작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태양인은 주변 정리 없이 일을 시작한다. 정확한 기준을 정한 뒤에 시작하는 것도 아니다. 하면서 그때그때 정하는 것이다. 그런 식으로 일을 하려면 첫 번째도 여유, 두 번째도 여유, 가장 중요한 것이 여유다. 그런데 일을 빨리 마무리하려는 급박지심이 이를 방해한다. 하나에 몰두하다가, 정리 안 하고 벌려놓은 다른 일이 문제되면 또 쫓아가 그 일에 몰두한다. 그러다 보면 다시 다른 일이 꼬인다. 그러면 또 그쪽으로 달려간다. 그런 식으로 동분서주한다.

 

결국 어디선가 일손이 달리게 될 수밖에 없다. 그럴 때 가까운 사람, 일을 같이 하는 참여자들을 선동해서 과도한 노동을 이끌어내려는 마음을 절심(竊心)이라 부르는 것이다. 물론 같이 일하는 순간에는 태양인 역시 열심히 한다. 그러니 다른 사람이 열심히 하는 것도 당연하다고 여긴다. 하지만 태양인이 또 다른 일을 할 동안에도 다른 사람은 그 일에 몰두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성과를 같이 나눈다면 태양인은 다른 사람의 노력의 결과를 훔친 것이 된다.

 

게다가 태양인이 지휘했다는 이유로 더 많은 부분을 차지하게 된다면, 그때는 정말 큰 도둑이 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앞에서 직관력과 관련하여 설명한 내용대로, 다른 사람이 정리한 내용조차 자신이 창안한 것이라고 믿게 되면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과정을 자신이 주도했다고 생각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일의 성과를 남에게 설명하고 전파하는 일까지 맡아 대표성까지 띠게 되면, 점점 성과는 태양인 한 사람에게 쏠리게 된다. 즉 일에 대한 욕심이 성과를 훔치는 절심(竊心)이 되어버린다.

 

동무(東武)가 성(), (), 천기(天機), 인사(人事), 사심(邪心), 박통(博通), 태행(怠行), 독행(獨行)의 거의 모든 영역에서 하나의 체질에 해당되는 것은 용어를 각각 하나씩만 썼는데, 유독 소음인과 태양인의 태행(怠行)을 설명할 때만 용어를 두 개 사용했다. 태양인의 태행(怠行)이 근본은 일의 완성에 대한 욕심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점과 결과적으로 남의 노력을 훔치는 것이라는 점 가운데 어느 쪽을 강조해야 할지 애매해서 두 가지 용어를 섞어 쓴 것이 아닐까 싶다.

 

 

 

 

인용

목차

사상체질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