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노희락의 심리학 목차
1. 갈등의 원인
2. ‘다르다’와 ‘틀리다’
3. 살림의 문화와 죽임의 문화
4. 출발점에 대한 이해
제1부 사상인의 기본 성정
제1장 사상체질에 관한 개요
1. 체질의 차이가 갈등의 원인이 되는 이유
2. 사상체질이란 무엇인가
3. 사상인의 마음 씀의 개요
제2장 사상인의 성정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1. 기본적인 기능들
2. 직관, 감성, 감각, 사고 기능이 나타나는 구체적인 사례
3. 정보 처리의 문제
제3장 애노희락과 사상인의 성정
1. 애성과 천시 / 태양인의 태양 기운
애성(哀性)은 천시(天時)를 듣는 것이다
사기(詐欺)란 무엇인가
애성(哀性)이 실생활에서 나타나는 모습
2. 노성과 세회 / 소양인의 소양 기운
노성(怒性)은 세회(世會)를 보는 것이다
모욕(侮辱)이란 무엇인가
감정 문제 다루기
3. 애정과 사무 / 소양인의 태양 기운
성(性)과 정(情), 천기(天機)와 인사(人事)
사무(事務)에 관한 간단한 설명
애정(哀情)이 발현되는 모습
왜 인사(人事)는 정으로 이뤄지는가
4. 노정과 교우 / 태양인의 소양 기운
남을 배려(配慮)한다는 것
노정(怒情)과 교우(交遇)
왜 태어난 대로 살지 않을까
5. 희성과 인륜 / 태음인의 태음 기운
희(喜)란 받아들이는 것이다
웃음
‘받아들이다’와 ‘돕다’
‘도움’에 대한 체질별 차이
배려란 무엇인가
세회(世會) 인륜(人倫)의 차이
6. 지방과 락성 / 소음인의 소음 기운
지방(地方), 나누고 분류하기
락성(樂性), 몰두(沒頭), 보호(保護)
예의(禮義)
기준 세우기
사고 기능의 지나친 중시
7. 희정과 당여 / 소음인의 태음 기운
동지 관계의 형성
소음인이 태음인보다 당여(黨與)에 능한 이유
DJ의 당여(黨與)
8. 락정과 거처 / 태음인의 소음 기운
가정(家庭)이란 무엇인가
락성(樂性)이 아닌 락정(樂情)으로 가정이 운영되는 이유
희락(喜樂)에 대한 보충 설명
9. 애노희락 성정에 대한 정리
10. 성정에 관한 보충설명
제4장 보편/특수, 주관/객관
1. 보편 / 특수
보편은 다수결의 결과일까
핑계
감각/감성과의 관계
수양이 부족한 소양인/태음인
도덕책임론과 역할책임론
이라크 파병 문제에서
일반론 중시의 위험성
특수성 중시의 위험성
일상생활에서의 유의점
2. 주관 / 객관
이성의 한계
공리는 직관의 소산이다
생명의 기본 단위는 무엇일까
객관이란 무엇인가
양비론과 양시론
객관적이고 논리적이나 옳지 않은 경우
보편 상식에 대한 집착
직관과 주관
제5장 법과 질서의 존중
1. 법을 대할 때 체질에 따라 받는 느낌
질서의 존중과 경시
체질적 특성이 잘 드러나는 부분
2. 운전 습관의 문제
출발할 때
태음인의 과정 즐기기
소양인의 목적 지향성
소음인의 효율성
태양인의 경우
교통법의 준수
3. 역할책임론/도덕책임론
제2부 체질에 따른 약점과 그 극복
제6장 약점 극복의 개요
1. 왜 약점에 도전하는가
2. 사심(邪心)과 박통(博通)
3. 태행(怠行)과 독행(獨行)
제7장 사심과 박통
1. 교심과 주책 / 태음인의 태양 기운
직관과 감각의 차이
벼리와 빙산
주책(籌策) / 교심(驕心)
자기 긍정감의 중요성
아이의 교심 / 어른의 교심
2. 긍심과 경륜 / 소음인의 소양 기운
절대적 긍정과 상대적 긍정
논리의 성급한 일반화
소음인과 토론
제갈량의 경륜
자기 의견의 고집
경륜(經綸)과 긍심(矜心)이 갈라지는 지점
소음인과 경쟁
조금만 방심하면 고개를 드는 긍심
안성기씨에게서 느끼는 편안함
3. 벌심과 행검 / 태양인의 태음 기운
벌(伐)이 사심(邪心)이 되는 과정
새마을운동
인(仁)과 행검(行檢)
박정희 대통령의 예
태양인의 파벌 만들기
퇴로 차단의 문제
4. 과심과 도량 / 소양인의 소음 기운
근거의 문제
과심(誇心)이 실생활에서 드러나는 모습
과심(誇心)이 강해지는 상황
과심(誇心)이 떴을 때의 말하기
새 판 펼치기
‘좋다/싫다’와 ‘옳다/그르다’
소양인 아이의 교육
5, 사심과 박통에 관한 몇 가지 보충 설명
태음인, 태양인의 관점
사심(邪心)과 태행(怠行)의 비교
사심(邪心)으로서의 공주병과 도사병
제8장 정보의 왜곡
1. 수집 단계에서 태음인이 범하는 오류
2. 정리 단계에서 소음인이 범하는 오류
3. 전달 단계에서 소양인이 범하는 오류
4. 평가 단계에서 태양인이 범하는 오류
제9장 태행과 독행
1. 탈심(奪心)과 식견(識見) / 소음인의 태양 기운
어떻게 식(識)을 얻을 것인가
명성에의 집착
제멋대로 기준 정하기
소음인의 창조(創造)
이름 붙이기
2. 절심(竊心)과 방략(方略) / 태양인의 소음 기운
태양인의 도둑질
태양인이 일하는 방식
절심이 두드러지는 경우
공간적 구분, 시간적 구분
3. 치심(侈心)과 위의(威義) 태음인의 소양 기운
어깨에 힘주기
멋 부리기
적응에 대한 강박관념
지하철에서
지나친 수비 성향
자신감
치심(侈心)과 위의(威義)의 예
4. 나심(懶心)과 재간(才幹) 소양인의 태음 기운
나심(懶心)
가정에 일반론을 적용하는 문제
소양인의 자기 비하
YS의 당무 거부와 IMF 대처
강박관념에서의 탈피와 기분 전환
당신이 바로 그 사람일지도 모른다
5. 독행(獨行), 태행(怠行)에 관한 약간의 사족
제10장 보수성과 개혁성
1. 개인적 성향과 사회적 성향의 차이
2. 소음인의 수구 성향
3. 태음인의 보수 성향
4. 소양인의 진보 성향
5. 태양인의 급진 성향
제11장 인의예지와 체질
1. 인(仁)과 예(禮)의 충돌
2. 의(義)와 지(智)의 충돌
에필로그: 노력하는 만큼 좋아진다
1. 일반 독자들에게
2. 한의사, 한의학도들에게
부록 삼국지 이야기
1. 관우는 왜 형주에서 죽어야만 했나
왕위계승의 문제
화용도(華容道)
형주에 남겨진 사석(捨石)
촉의 비운
2. 장판파 전투와 적벽대전
장비와 조자룡
조조
적벽대전
3. 방통과 사마의
소극적 자세로 주도권 쥐기
최후의 승자
마지막으로
인용
'책 > 철학(哲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학과 굴뚝청소부 - 서론 (0) | 2022.03.22 |
---|---|
철학과 굴뚝청소부 - 책 머리에 & 제2증보판에 부쳐 (0) | 2022.03.22 |
애노희락의 심리학 - 삼국지 이야기 (0) | 2021.12.23 |
애노희락의 심리학 - 에필로그 (0) | 2021.12.23 |
애노희락의 심리학 - 제2부 체질에 따른 약점과 그 극복, 제11장 인의예지와 체질 (0) | 2021.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