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6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맹자한글역주, 이루장구 상 - 26. 불효 중 가장 큰 것 본문

고전/맹자

맹자한글역주, 이루장구 상 - 26. 불효 중 가장 큰 것

건방진방랑자 2022. 12. 17. 01:34
728x90
반응형

 26. 불효 중 가장 큰 것

 

 

4a-26. 맹자께서 말씀하시었다: “사람의 자식으로서 불효의 행위에 는 세 가지가 있다부모를 불의에 빠뜨림 부모가 연로하신데 자기 앞가림 못하는 것 후손을 잇지 못하는 것. 이 셋 중에서 자손이 없는 것이 가장 큰 불효라고 말할 수 있다.
4a-26, 孟子曰: “不孝有三, 無後爲大.
 
순은 부모님께 말씀드리지도 않고 부인을 취하였는데, 그것은 부모님께 말씀드리면 반대할 것은 뻔했고 그렇게 되면 자손이 끊어지는 것을 우려하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후세의 지식인들은 순이 부모님께 말씀드리지 못한 것을 말씀드린 것이 나 마찬가지라고 생각한다.”
舜不告而娶, 爲無後也, 君子以爲猶告也.”

 

삼불효(三不孝)’가 무엇인지는 맹자는 말하지는 않았으나 조기 주에 명시되어 있다. 요즈음 자식들은 결혼도 늦게 하고 취직도 못하고 부모 돈에 의지하여 사는 자가 많으므로 최소한 두 불효는 하고 사는 셈이다.

 

여기 후손이 없다고 하는 것은 고대사회에서는 종교적 의미를 지니는 것이다. 혈손이 아니면 조상의 제사를 받들 수 없다는 강박관념이 무 후의 불효함을 절실하게 만드는 것이다. 집안을 이어간다는 것이 실제로 한 사회의 존속의 가장 결정적인 사태라는 것을 생각하면 요즈음 처럼 독신을 즐기거나, 이혼을 가볍게 생각하고, 또 애를 낳지 않는 세태는 반성되어야 마땅하다. 나는 결혼하는 젊은이들에게 항상 부탁한다. ‘제발 아이를 셋을 낳아라!’ 둘이 만나 둘만 낳아도 현상유지조차 힘들다. 둘 이하로 낳다보면 우리 민족은 34백년 이내로 이 지구상에서 사라진다.

 

 

 

 

인용

목차 / 맹자

전문 / 본문

중용 강의

논어한글역주

효경한글역주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