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중용 - 목차 본문

고전/대학&학기&중용

중용 - 목차

건방진방랑자 2021. 9. 24. 09:40
728x90
반응형

중용(中庸) 목차

 

 

1. 서론

 

여는 글: 길 위에 서다

 

저자(著者)

1994

1. 자사 저작설의 두 가지 근거

2. 자사가 지을 수가 없다

3. 네이춰(Nature)와 너춰(Nurture)

4. ‘중용경(中庸經)’성경(誠經)’으로 나뉜다

5. 천지 코스몰로지

6. 주역과 중용의 공통점

 

2011

1. 자사, 공자의 사상을 흡수하다

2. 자사, 중용저작의 가능성

3. 중용의 작자는 자사다

 

서설(序說)

1. 중국에는 사서삼경이란 말이 없다

2. 인간 세계를 이루는 두 축, ()와 악()

3. 분서갱유가 촉발한 금고문논쟁

4. 예문지(藝文志)와 정경화

5. 마왕퇴 老子의 발견과 중국을 휩쓴 불교

6. 당송에 침투한 불교

7. 안타깝게 송나라를 바라보던 주희의 눈망울

8. 주희의 사서운동(四書運動)

9. 고전학을 공부하는 이유

性自命出 / 五行

 

 

2. 본문 내용과 강의

 

전문(全文) / 지봉유설

 

중용장구서(中庸章句序)

중용을 지은 이유 / 유교도통론 / 중용의 체계 / 강의

 

중용 해제

독중용법(讀中庸法) / 강의

 

1: ()과 도()와 교()의 관계 / 감춰진 것보다 드러나는 것은 없다 / 중화 / 강의

2: 군자와 소인의 중용 / 강의

3: 중용의 덕이 지극하다 / 강의

4: 음식 맛을 모른다 / 강의

5: 도가 행하여지지 않다 / 강의

6: 순임금이 크게 지혜롭다 / 강의

7: 나는 안다고 자부하지만 / 강의

8: 안회의 사람됨 / 강의

9: 칼날보다도 어려운 중용 / 강의

10: 자로의 강함 / 강의

11: 요행을 바라지 않는다 / 강의

12: 밝지만 은미하다 / 강의

13: 도가 사람에게서 멀리 떨어져 있지 않다 / 강의

14: 그 지위에 따라 행동할 뿐 / 강의

15: 군자의 도는 여행과 등산과 같다 / 강의

16: 귀신을 통해 볼 수 있는 중용 / 강의

17: 순임금은 대효(大孝)로구나 / 강의

18: 근심이 없는 사람은 무왕이겠구나 / 강의

19: 효의 근본을 알면 생기는 일 / 강의

20: 정치의 기본은 수신(修身)을 통해 지천(知天)하는 것 / 오달도(五達道)와 삼달덕(三達德), 그걸 행하게 하는 성() / 구경(九經)과 그것을 실행하게 하는 성() / ()과 성지(誠之)에 대해 / ()해지기 위한 노력 / 공자가어 애공문정 / 강의

21: ()에서 명()으로, ()에서 성()으로 간다 / 강의

22: 천지와 하나가 되려면 / 강의

23: 작은 부분에 최선을 다하라 / 강의

24: 미리 아는 사람 / 강의

25: 군자는 성()을 귀하게 여긴다 / 강의

26: ()은 쉬지 않기에 / 강의

27: 덕성(德性)을 높이면서 문학(問學)의 길을 따르다 / 강의

28: 지위와 덕이 있어야 예악(禮樂)을 제정할 수 있다 / 강의

29: 다스리는 이에게 세 가지 중요한 것 / 강의

30: 만물은 서로 자란다 / 강의

31: 총명하고 예지하려면 / 강의

32: 지성(至誠)이어야 경륜할 수 있다 / 강의

33: 1. 비단옷에 갈포옷을 덧입는 이유 / 2. 거대한 화면에 조그만 갈매기 / 3. 홀로 있을 때도 부끄럽지 않은 이 / 4. 절로 권면되고 경외하는 경우 / 5. 공손함이 천하를 평정한다 / 6. 위인지학이 아닌 위기지학으로 / 강의

 

 

 

3. 닫는 글

 

09 다시 길 위에 서다
19 1. 중용을 들었더니 생긴 일
2. 중용을 석 달 만에 마치며 알게 된 것
3. 닫는다는 건 열기 위한 것
21 중용과 신명나는 8일 간의 데이트

 

 

 

 

 

인용

지도

목차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