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학년도 한문 임용 B형 기출문제
2025학년도 중등학교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한 문
수험 번호 : ( ) | 성 명 : ( ) | ||
제1차 시험 | 3교시 전공B | 11문항 40점 | 시험 시간 90분 |
1. 다음은 2022 개정 고등학교 ‘한문’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22-33호)의 ‘문장’ 영역 중 한시를 학습하기 위한 <수업 계획>의 일부와 <수업 내용>의 일부이다. <작성 방법>에 따라 서술하시오. [2점]
<수업 계획>
구분 | 내용 |
학습 목표 | ◦한시의 특징을 알 수 있다. ◦한시의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다. |
지도상의 유의점 | ◦한시는 간결한 어휘로 된 함축적인 표현이 많다는 것에 유의하도록 지도한다. ◦직역 단계를 충실하게 거친 후 의역을 통해 한시 속의 함축된 뜻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수업 자료 | 穿雪野中去 不須胡亂行 今朝我行迹 遂作後人程 - 「野雪」 - |
<수업 내용>
교 사 : 이번에는 시의 내용을 함께 살펴보죠. 우선, 작품 배경은 어때요? 학생 1 : 작품 배경은 눈이 내린 어느 들판인 것 같습니다. 학생 2 : 저는 한자가 가진 뜻을 중심으로 살피니, 눈길을 뚫고 들판을 지나가는 사람의 모습이 그려집니다. 학생 3 : 저는 발자국이 어지러이 찍힌 들판이 생각나네요. 교 사 : 네. 다양한 의견 좋습니다. 시를 읽다 보니 한 편의 그림이 떠오르죠? 한시의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하기 위해 개인별로 좋아하는 시구를 골라 부채를 만들 수도 있고, 한시를 읽으며 머릿속에 그려진 것을 그림으로 표현할 수도 있고, 자신이 좋아하는 한시를 고른 후 그에 맞는 그림을 곁들이는 (㉠)을/를 기획하고 운영해 볼 수도 있겠네요. 학생 2 : 한시와 그림을 함께 전시한다면 참 재미있겠네요. 교 사 : 학교 축제 기간에 한번 운영해 봅시다. 시인은 오늘 아침 내가 걸어간 발자국이 (㉡)(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
<작성 방법> ◦괄호 안의 ㉠에 들어갈 말을 쓸 것. ◦괄호 안의 ㉡에 들어갈 내용을 <수업 계획>의 ‘수업 자료’에 근거하여 쓸 것. |
2. 밑줄 친 ㉠이 가리키는 것을 찾아 번역하고, 밑줄 친 ㉡의 품사를 쓰시오. [2점]
子路問君子 子曰 修己以敬 曰 如斯而已乎 曰 修己以安人 曰如㉠斯而已乎 曰 修己以安百姓 修己以安百姓 堯舜其猶㉡病諸 - 『論語』 - |
3. 다음은 2022 개정 고등학교 ‘언어생활과 한자’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22-33호)에 따른 연구 수업을 위해 작성한 <수업 계획>의 일부와 예비 교사들이 나눈 대화이다. <작성 방법>에 따라 서술하시오. [4점]
<수업 계획>
학습 목표 | ◦한자 어휘를 일상생활에 맞게 활용할 수 있다. |
성취 기준 | ◦사회․문화 현상에 대응하여 생성된 한자 어휘를 파악하고 (㉠) 특성을 이해한다. |
수업 자료 | 가시광선, 가지각색, 거중기, 곰탕, 공대, 교생, 달력, 사이비, 용수철, 타원, 포물선, 주총, 한은, 헛소문 |
예비 교사 1 : 학생들의 정의하고 풍부한 언어생활을 위해 새롭게 도입된 ‘언어생활과 인자’ 과목의 연구 수업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어떤 요소를 수업 주제로 다루면 좋을까요?
예비 교사 2 : 이 과목은 올바른 언어생활과 원활하고 협력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 데에 중점을 두므로, 학생들의 어휘력을 키울 수 있는 요소들 다루면 좋겠습니다.
예비 교사 1 : 그렇군요. 이 과목에 보니 그러한 요소로 사회ㆍ문화적 변화에 따라 만들어진 여러 어휘를 조사 활용하도록 되어 있군요. 어떤 것을 예로 들 수 있을까요?
예비 교사 2 : ’수업 자료‘에서 예시를 든다면, (㉡)은/는 공대, 교생, 주총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흔종어는 (㉢) 등을 예로 들 수 있겠네요.
예비 교사 1 : 맞습니다. 새로 만들어진 한자 어휘를 파악하려 할 때. (㉡)이/가 주로 각 어휘의 첫 음절을 떼어서 만든 상태라면, 혼종어는 한자어의 고유어, 외래어가 다양한 형태로 결합한다는 점에 유의해서 지도해야겠네요. 논의된 것을 참고해 수업을 준비하겠습니다. 감시합니다.
<작성 방법> ◦괄호 안의 ㉠에 들어갈 것을 대화 내용을 참고하여 쓸 것. ◦괄호 안의 ㉡에 들어갈 것을 대화 내용을 참고하여 쓸 것. ◦괄호 안의 ㉢에 해당하는 예 2가지를 <수업 계획>의 ‘수업 자료’에서 찾아 쓸 것. |
4. 다음은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22-33호)에 따라 작성한 고등학교 ‘한문’ <수업 계획>의 일부와 <형성 평가 문항과 학생 답안>이다. <작성 방법>에 따라 서술하시오. [4점]
<수업 계획>
학습 목표 | ◦문장의 구조를 이해할 수 있다. ◦한자의 뜻을 고려하여 글을 정확하게 읽을 수 있다. ◦글을 풀이하고 내용과 주제를 설명할 수 있다. |
지도상의 유의점 | ◦문장의 구조에는 주술 구조, 주술목 구조, 주술보 구조, 주술목보 구조가 있음을 이해하도록 지도한다. ◦한자는 여러 가지 음이 있어서, 글에서 사용된 한자의 뜻을 고려하여 글을 정확하게 읽을 수 있도록 지도 한다. |
수업 자료 | 狐又進言曰 麒麟雖曰仁 勇不及吾君 狻猊雖曰勇仁不及吾君 夫仁與勇 吾君兼之矣 然則夫二者 烏足以望吾君也哉 以吾君之德之全 而不以帝 而孰帝焉虎於是乎悅 遂稱爲山帝 百獸聞之 率往賀焉 虎於是乎益以狐爲愛我而尊我也 又稱狐曰山相 輒遇物不食盡以啗狐 夫狐之媚虎 由乎利虎之啗而已 使虎乃曰愛我也尊我也 狐可謂善媚也耳矣 - 李夏坤, 『媚狐說』 - |
<형성 평가 문항과 학생 답안>
형성 평가 문항 |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2. 밑줄 친 ㉯의 독음을 쓰시오. 3. 밑줄 친 ㉰, ㉱의 풀이를 서술하시오. |
||||
학생 답안 | 1. ㉮의 문장의 구조는 (㉠)이다. 2. ㉯의 독음은 ‘㉡율왕하언’이다. 3. ㉰, ㉱의 풀이
|
<작성 방법> ◦괄호 안의 ㉠을 ‘지도상의 유의점’에 근거하여 쓸 것. ◦‘학생 답안’ 중 밑줄 친 ㉡에 나타난 독음의 오류를 ‘지도상의 유의점’에 근거하여 찾아 수정할 것. ◦‘학생 답안’ 중 밑줄 친 ㉢, ㉣의 풀이 오류를 찾아 수정할 것. |
5. 밑줄 친 ㉠을 번역하고, 이 글을 지은 이유를 본문에서 찾아 漢字로 쓰고 풀이하시오. [4점]
有非子造無是翁曰 日有羣議人物者 人有人翁者 人有不人翁者 翁何或人於人 或不人於人乎 翁聞而解之曰 ㉠人人吾 吾不喜 人不人吾 吾不懼 不如其人人吾而其不人不人吾 吾且未知人吾之人何人也 不人吾之人何人也 人而人吾 則可喜也不人而不人吾 則亦可喜也 人而不人吾 則可懼也 不人而人吾則亦可懼也 喜與懼 當審其人吾不人吾之人之人不人如何耳故曰 惟仁人 爲能愛人能惡人 其人吾之人 仁人乎 不人吾之人仁人乎 有非子笑而退 無是翁因作箴以自警 箴曰 子都之姣疇不爲美 易牙所調 疇不爲旨 好惡紛然 盍求諸己 - 李達衷, 「愛惡箴幷序」 - |
6. 밑줄 친 ㉠, ㉡에 대한 평가를 찾아 비교하여 서술하고, 밑줄 친 ㉢의 이유를 찾아 서술하시오. [4점]
古人謂 ㉠子美夔州以後詩尤好 盖愈老愈奇也 評者謂 ㉡牧隱晩年之作 不如少時 僧竹澗曰 牧老少遊中原 與文人才士 頡頏爭雄 爲詩文 一字一句 法度森嚴 無愧於古之作者 晩年所作 ㉢犯濫縱橫 有不經意處 此老才高一世 傲睨東方 謂無人具眼者敢如是 竹澗緇流之傑然者也 - 徐居正, 「東人詩話」 - |
7. 밑줄 친 ㉠의 원인 2가지를 찾아 서술하고, 밑줄 친 ㉡을 번역 하시오. [4점]
孟子曰 牛山之木嘗美矣 以其郊於大國也 斧斤伐之 可以爲美乎 是其日夜之所息 雨露之所潤 非無萌櫱之生焉 牛羊又從而牧之 是以㉠若彼濯濯也 人見其濯濯也 以爲未嘗有材焉 此豈山之性也哉 雖存乎人者 豈無仁義之心哉 其所以放其良心者亦猶斧斤之於木也 旦旦而伐之 可以爲美乎 其日夜之所息 平旦之氣 其好惡與人相近也者幾希 則其旦晝之所爲 有梏亡之矣梏之反覆 則其夜氣不足以存 ㉡夜氣不足以存 則其違禽獸不遠矣 人見其禽獸也 而以爲未嘗有才焉者 是豈人之情也哉 故苟得其養 無物不長 苟失其養 無物不消 孔子曰 操則存 舍則亡出入無時 莫知其鄕 惟心之謂與 - 『孟子』 - |
8. 밑줄 친 ㉠에 해당하는 내용을 찾아 서술하고, 밑줄 친 ㉡의 이유를 찾아 서술하시오. [4점]
眼有二 曰外眼 曰內眼 外眼以觀物 內眼以觀理 而無物無理且外眼之所眩者 必正於內眼 然則其用全在內矣 且蔽交中遷外反爲內害 故古人願以初瞽還我者 以㉠此也 在中今年四十矣四十年中所見 不爲不多 雖從此至大耋 不過如前 後之在中猶夫今之在中 可知也 幸在中外障防視物 得專內視 見理益明 ㉡後之在中 必不爲今之在中 如是則勿論點睛退瞖之方 雖金篦刮膜 亦不願矣 - 李用休, 「贈鄭在中」 - |
9. 밑줄 친 ㉠에 해당하는 이유 3가지를 찾아 서술하고, 밑줄 친 ㉡이 가리키는 것을 찾아 漢字로 쓰시오. [4점]
金禧集 慶州人 縣監思重庶孫 申氏 平山人 士人德彬庶女也 … (중략)… 時禧集與沈氏約 申氏與李氏約 雖業已受官資姑未之婚也 五月晦日 漢城判尹具㢞奏 五部之人貧而婚愆期者今盡勸成 惟西申德彬縱有官資 亦難辦具 且筮忌六月 期在孟秋金禧集始與之約者 諉以門戶不敵 恥 不以女女焉 六月初二日上諭曰 予念五部多鱞曠 勸而婚者 無慮百數十人 ㉠惟西部二人 禮未克成 烏在其導天和而諧物性也 事貴齊始 政期勉終 其可勸德彬 更定吉期 禧集亟求佳耦 戶曹惠廳 須各助贈 較前豊饒俾完㉡好事 - 李德懋, 「金申夫婦傳」 - |
10. 밑줄 친 ㉠, ㉡을 번역하고, 밑줄 친 ㉢을 초래한 것을 찾아 漢字로 쓰고, 밑줄 친 ㉣이 가리키는 것을 서술하시오. [4점]
㉢養鷄虗簷東 狸鼯禍所廹 ㉢宿羽罹窺緣 兇牙恣啖喫 ㉢朝來倒空杙 狼藉濺血翮 ㉢余哀爾無辜 殘害靡安宅 ㉢遷棲相其所 廵除久岸幘 ㉠西患地勢卑 ㉡北嫌耳目隔 ㉢家貧柴亦稀 何以辦建柵 ㉢召工搆脩籠 令足託汝跡 ㉢寬之容羣族 高之便騰擲 ㉢結網繚其外 排拶密如席 ㉢黠鼠不復伺 頑猫敢相厄 ㉢禍絶蕭墻伏 ㉣功與桑土敵 ㉢事鄙亦近仁 物我交受益 ㉢掛向舊棲處 相保無蕩析 ㉢謖立悅俯仰 恬眠謝驚慼 ㉢旱苗資時雨 蒼生倚安石 ㉢永言推此志 感歎情未釋 ㉢從此好生成 春風吹東陌 - 蔡彭胤, 「鷄籠次老杜鷄柵韻」 - |
11. 밑줄 친 ㉠, ㉡을 번역하시오. [4점]
按撰述之書 皆有義例 猶法律之有斷例 禮樂之有儀節也况史家繁縟 ㉠苟非發凡立例 一以貫之 則無以明述作之旨 寓勸戒之意 是以朱夫子 筆削資治通鑑爲綱目 定著凡例一卷一開卷而權衡予奪 瞭然在目矣 自有是書以來 爲史者 爲之準則若宋元綱目之類是也 朱子學孔子者也 其大經大法 雖準春秋而孔子以當世之人 書本國之事 故其事多諱 朱子以後世之人修前代之史 故其辭無隱 此所處之地不同也 春秋書法 美惡同辭使後人莫測其意 綱目㉡皆據事直書 昭示勸懲 此古今質文之殊也 今此凡例 一遵朱子定法 而綱目主函夏而統萬國 其尊無上此書東國之事也 地偏一隅 禮異事殊 不得不隨而立例 此大小之勢 有異也 覽者 當自知之 - 安鼎福, 「東史綱目凡例」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