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사람과 나쁜 사람의 기준에 대해
애오잠병서(愛惡箴幷序)
이달충(李達衷)
한 사람에 대한 상반된 평가
有非子造無是翁曰: “日有群議人物者, 人有人翁者, 人有不人翁者, 翁何或人於人, 或不人於人乎?”
타인의 평가가 아닌, 그 사람됨을 먼저 보라
翁聞而解之曰: “人人吾, 吾不喜; 人不人吾, 吾不懼. 不如其人人吾, 而其不人不人吾. 吾且未知人吾之人何人也, 不人吾之人何人也.
人而人吾, 則可喜也; 不人而不人吾, 則亦可喜也. 人而不人吾, 則可懼也; 不人而人吾, 則亦可懼也. 喜與懼, 當審其人吾不人吾之人之人不人如何耳.
故曰: ‘惟仁人, 爲能愛人能惡人.’ 其人吾之人, 仁人乎? 不人吾之人, 仁人乎?”
남의 평판에 좌우되지 말고 자기에게서 찾아라
有非子笑而退. 無是翁因作箴以自警. 箴曰: “子都之姣, 疇不爲美? 易牙所調, 疇不爲旨? 好惡紛然, 盍亦求諸己.” 『霽亭先生文集』 卷之二
해석
한 사람에 대한 상반된 평가
有非子造無是翁曰:
유비자가 무시옹에게 나아와 말했다.
“日有群議人物者,
“하루는 여럿이 인물에 대한 의론을 하고 있었는데,
人有人翁者,
어떤 이는 옹을 좋은 사람이라 평가하기도 하고,
人有不人翁者,
어떤 이는 옹을 나쁜 사람이라 평가하기도 하니,
翁何或人於人,
옹은 어찌하여 혹은 남에게 좋은 사람으로 평가되기도 하고,
或不人於人乎?”
혹은 남에게 나쁜 사람으로 평가되기도 하는 것인지요?”
타인의 평가가 아닌, 그 사람됨을 먼저 보라
翁聞而解之曰:
무시옹이 듣고 그것을 해명하며 말씀하셨다.
“人人吾, 吾不喜;
“사람이 나를 좋은 사람이라 해도 나는 기쁘지 않고,
人不人吾, 吾不懼.
나를 나쁜 사람이라 해도 나는 슬프지 않다네.
不如其人人吾,
그건 좋은 사람이 나를 좋은 사람이라 평가하고
而其不人不人吾.
나쁜 사람이 나를 나쁜 사람이라 평가하는 것만 못하기 때문이지.
吾且未知人吾之人何人也,
나는 또한 나를 좋은 사람이라 평가하는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不人吾之人何人也.
나를 나쁜 사람이라 평가하는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를 알지 못하네.
人而人吾, 則可喜也;
좋은 사람이 나를 좋은 사람이라 평가한다면 기뻐할 만하고,
不人而不人吾, 則亦可喜也.
나쁜 사람이 나를 나쁜 사람이라 평가한다면 그것 또한 기뻐할 만하다네.
人而不人吾, 則可懼也
그와 반대로 좋은 사람이 나를 나쁜 사람이라 평가한다면 슬퍼할 만하고,
不人而人吾, 則亦可懼也.
나쁜 사람이 나를 좋은 사람이라 평가한다면 그것 또한 슬퍼할 만한 것이네.
喜與懼,
기뻐함과 슬퍼함이
當審其人吾不人吾之人之人不人如何耳.
마땅히 나를 좋은 사람으로 평가하거나, 나쁜 사람으로 평가하는 사람이 좋은 사람인지, 나쁜 사람인지의 여하를 살필 뿐인 것이야(『논어』 「자로」 24, 『맹자』 「양혜왕」 하7).
故曰: ‘惟仁人, 爲能愛人能惡人.’
그렇기 때문에 공자께서도 ‘오직 어진 사람만이 사람을 좋아할 수 있고, 미워할 수 있다’고 말한 것이니,
其人吾之人, 仁人乎?
나를 좋은 사람이라 평가하는 사람이 어진 사람인가?
不人吾之人, 仁人乎?”
나를 나쁜 사람이라 평가하는 사람이 어진 사람인가?”
남의 평판에 좌우되지 말고 자기에게서 찾아라
有非子笑而退.
유비자가 만족한 듯 웃으며 물러났다.
無是翁因作箴以自警.
무시옹은 이런 사실에 따라 잠을 지어 스스로 경계했다.
箴曰: “子都之姣, 疇不爲美? 易牙所調, 疇不爲旨? 好惡紛然, 盍亦求諸己.” 『霽亭集』 『霽亭先生文集』 卷之二
그 잠은 다음과 같다.
子都之姣 疇不爲美 | 자도의 아리따움을 누가 아름답다 하지 않겠는가? |
易牙所調 疇不爲旨 | 역아의 맛있는 음식을 누가 맛있다 하지 않겠는가? |
好惡紛然 盍亦求諸己 | 그러나 사람에 대한 좋고 나쁨의 평가는 아름다움과 맛과는 달리 혼란스럽기만 하니, 어찌 또한 자기에게서 구하지 않는가. |
나를 평가하는 사람의 성향 | |||
좋은 사람[人] | 나쁜 사람[不人] | ||
나에 대한 평가 |
人 | 喜 | 懼 |
不人 | 懼 | 喜 |
인용
'산문놀이터 > 삼국&고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규보 - 굴원불의사론(屈原不宜死論) (0) | 2019.03.05 |
---|---|
안축 - 경포신정기(鏡浦新亭記) (0) | 2019.03.03 |
이곡 - 원수한(原水旱) (0) | 2019.02.12 |
정도전 - 도은문집서(陶隱文集序) (0) | 2019.02.07 |
이제현 - 범증론(范增論) (0) | 2019.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