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놀이터/한문과 교육과정

한문과 교육과정 - 문장의 유형

건방진방랑자 2021. 9. 6. 16:44
728x90
반응형

 

2022 개정 교육과정

 

한문()

[12한문02-01] 문장의 구조와 유형을 구별한다.

 

() 성취기준 해설

 [12한문02-01] 이 성취기준은 문장의 구조와 유형을 이해하여 한문 독해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하였다. 문장의 구조에는 주술 구조, 주술목 구조, 주술보 구조, 주술목보 구조가 있다. 문장의 구조를 파악할 때는 먼저 어순을 보고, 그다음에 성분들 사이의 관계를 보는데, 어순이 바뀌면 비문(非文)이 되거나 문장의 성분이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특정한 환경에서 어순이 도치되어도 문장의 성분이 바뀌지 않는 경우도 있는데, 술목 구조의 기본 어순은 서술어가 앞에 오고 목적어가 뒤에 오지만, 특정한 조건에서 목적어가 서술어 앞에 오기도 한다. 예를 들어, 의문의 뜻을 나타내는 구문(構文)에서 의문 대명사가 목적어로 쓰일 때, 또는 부정의 뜻을 나타내는 구문에서 지시 대명사나 인칭 대명사가 목적어로 쓰일 때는 목적어가 서술어 앞에 온다. 문장의 유형은 화자(話者)가 나타내는 어기(語氣)에 대한 판단으로,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감탄문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

 

한문

[90202] 문장의 유형은 문장을 일정한 기준에 의거하여 분류한 것이다. 문장의 유형을 화자(話者)가 나타내는 어기(語氣)를 기준으로 나누면 평서문(平敍文), 의문문(疑問文), 명령문(命令文), 감탄문(感歎文)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평서문은 화자가 청자에게 특별히 요구하는 바 없이 하고 싶은 말을 단순하게 진술하는 문장이다. 의문문은 화자가 청자에게 질문하여 대답을 요구하는 문장이다. 명령문은 화자가 청자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요구하거나 요청하는 문장이다. 감탄문은 사물이나 사실에 느낌을 받아 슬픔, 기쁨, 놀라움 등의 감정을 나타내는 문장이다.

 

한문

[12한문0203] 문장의 유형은 문장을 일정한 기준에 의거하여 분류한 것이다. 문장의 유형을 화자(話者)가 나타내는 어기(語氣)를 기준으로 나누면 평서문(平敍文), 의문문(疑問文), 명령문(命令文), 감탄문(感歎文)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평서문

은 화자가 청자에게 특별히 요구하는 바 없이 하고 싶은 말을 단순하게 진술하는 문장이다. 긍정의 평서문과 부정의 평서문이 있다.

 

 

의문문

은 화자가 청자에게 질문하여 대답을 요구하는 문장이다. 의문문에는 화자가 청자에게 실제 대답을 요구하는 일반 의문문 외에 말하는 사람이 상대방의 대답을 바라지 않으면서도 의식적으로 물어보는 반어 유형이 있다.

 

 

명령문

은 화자가 청자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요구하거나 요청하는 문장이다. 상대방으로 하여금 모종의 행동을 금지하게 하는 어조를 표현하는 유형과 원망이나 청유의 어조를 표현하는 유형이 있다.

 

 

감탄문

은 사물이나 사실에 느낌을 받아 슬픔, 기쁨, 놀라움 등의 감정을 나타내는 문장이다.

 

 

 

2009 개정 교육과정

 

한문

(2) 평서문·의문문·명령문·감탄문의 특징을 알고 구별할 수 있다.

문장의 유형은 문장을 일정한 기준에 의거하여 분류한 것이다. 문장의 유형을 화자(話者)가 나타내는 어기(語氣)를 기준으로 나누면 평서문(平敍文), 의문문(疑問文), 명령문(命令文), 감탄문(感歎文)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평서문은 화자가 청자에게 특별히 요구하는 바 없이 하고 싶은 말을 단순하게 진술하는 문장이다. 의문문은 화자가 청자에게 질문하여 대답을 요구하는 문장이다. 명령문은 화자가 청자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요구하거나 요청하는 문장이다. 감탄문은 사물이나 사실에 느낌을 받아 슬픔, 기쁨, 놀라움 등의 감정을 나타내는 문장이다.

 

 

2007 개정 교육과정

 

<한문 >

[문장(3)] 문장의 유형을 안다.

이 학습 내용은 중학교 한문 [2문장(3)], [3문장(3)]과 연계된다. ‘한문 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범위의 한자가 활용된 문장의 유형을 바르게 이해하여 한문을 독해할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어야 한다.

문장의 유형을 서술어(敍述語)의 성질(性質)에 따라 분류하면 판단문(判斷文), 서술문(敍述文), 묘사문(描寫文)으로 나눌 수 있다.

 

 판단문

사물에 대한 판단이나 설명을 진술하는 문장으로 한 사물의 성질, 특징, 범위 등을 판단하고 설 명한다.

보기
子誠齊人也. [그대는 진실로 제나라 사람이다.]
夫明堂者, 王者之堂也. [명당이라는 것은 왕자의 당이다.]
巡狩者, 巡所守也. [순수라는 것은 지키는 바를 순행하는 것이다.]
人之質, 非木之質也. [사람의 바탕은 나무의 바탕이 아니다.]

 

 서술문

사물의 활동이나 경력, 동작의 시종 등을 서술하는 문장으로 동사가 서술어로 사용되어 주어의 행위를 서술한다.

보기
齊人伐燕. [제나라 사람들이 연나라를 쳤다.]
孟子之平陸. [맹자가 평륙에 갔다.]
予有戒心. [내가 경계하는 마음이 있었다.]

 

 묘사문

사물의 형상 경계를 묘사하거나 사물의 성질 상태를 묘사하는 문장이다. 주로 형용사가 서술어로 사용되어 주어의 상태를 묘사한다.

보기
牛山之木, 嘗美矣. [우산의 나무가 일찍이 아름다웠다.]
道則高矣美矣. [도가 높고 아름답다.]
擧世皆濁, 我獨淸. [온 세상이 다 혼탁한데 나만 맑다.]

 

문장의 유형을 화자(話者)가 나타내는 어기(語氣)를 기준으로 나누면 평서문(平敍文), 의문문(疑問文), 명령문(命令文), 감탄문(感歎文)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평서문

화자(話者)가 청자(聽者)에게 특별히 요구하는 바 없이 하고 싶은 말을 단순하게 진술하는 문장이다. 긍정의 평서문과 부정의 평서문이 있다.

보기
天地者, 萬物之逆旅. [천지는 만물의 여관이다.]
, 水爲之而寒於水. [얼음은 물이 (그것이) 되지만 물보다 차다.]
仰不愧於天. [우러러 하늘에 부끄럽지 않다.]
千里馬, 不常有. [천리마가 항상 있지는 않다.]
長必不得爲士大夫妻. [자라면 반드시 사대부의 처가 될 수 없을 것이다.]
無遠不至. [멀어도 이르지 않은 곳이 없다.]

 

 의문문

화자(話者)가 청자(聽者)에게 질문하여 대답을 요구하는 문장이다.

보기
汝何不受乎? [그대는 어찌 받지 않았는가?]
盍各言爾志? [어찌 각각 너희들의 뜻을 말하지 않는가?]
追我者, 誰也? [나를 쫓는 자가 누구인가?]
富貴者, 驕人乎? [부귀한 자가 남에게 교만합니까?]

 

 명령문

화자(話者)가 청자(聽者)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요구하거나 요청하는 문장이다. ‘, ,  등 금지 또는 요청의 뜻을 나타내는 말이 같이 쓰이는 경우가 많다.

보기
臨難無苟免. [어려움에 임해 구차히 면하려 하지 마라.]
非禮勿視, 非禮勿聽. [예가 아니면 보지 말고, 예가 아니면 듣지 마라.]
君其南矣. [그대는 남쪽으로 가십시오.]

 

 감탄문

사물이나 사실에 느낌을 받아 슬픔, 기쁨, 놀라움 등의 감정을 나타내는 문장이다. 문장 앞에 감탄사인 嗚呼’, ‘ 등의 감탄사를 사용하거나 ’, ‘ 등 감탄의 어기를 나타내는 어조사를 문장 끝에 사용한다.

보기
嗚呼! 人而至此, 可不悲哉? [! 사람으로서 이 지경에 이르렀으니 슬퍼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 甚矣! 其無愧而不知恥也. [! 심하구나! 부끄러워함이 없고 수치를 알지 못함이여.]

 

<한문 >

[문장(3)] 문장의 유형을 안다.

이 학습 내용은 [문장(3)]과 연계된다. ‘한문 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의 학습 성과를 바탕으로 보다 확장된 한자가 활용된 문장 유형의 학습을 통하여 한문을 독해할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어야 한다.

 

 

인용

지도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