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 안연과 자로와 공자가 각자의 포부를 얘기하다
顔淵, 季路侍. 子曰: “盍各言爾志?”
盍, 音合.
○ 盍, 何不也.
子路曰: “願車馬, 衣輕裘, 與朋友共. 敝之而無憾.”
衣, 去聲.
○ 衣, 服之也. 裘, 皮服. 敝, 壞也. 憾, 恨也.
顔淵曰: “願無伐善, 無施勞.”
伐, 誇也. 善, 謂有能. 施, 亦張大之意. 勞, 謂有功, 『易』曰“勞而不伐” 是也. 或曰: “勞, 勞事也. 勞事非己所欲, 故亦不欲施之於人.” 亦通.
子路曰: “願聞子之志.” 子曰: “老者安之, 朋友信之, 少者懷之.”
老者養之以安, 朋友與之以信, 少者懷之以恩. 一說: 安之, 安我也; 信之, 信我也; 懷之, 懷我也. 亦通.
○ 程子曰: “夫子安仁, 顔淵不違仁, 子路求仁.”
又曰: “子路ㆍ顔淵ㆍ孔子之志, 皆與物共者也, 但有小大之差爾.”
又曰: “子路勇於義者, 觀其志, 豈可以勢利拘之哉? 亞於浴沂者也. 顔子不自私己, 故無伐善; 知同於人, 故無施勞. 其志可謂大矣, 然未免出於有意也. 至於夫子, 則如天地之化工, 付與萬物而己不勞焉, 此聖人之所爲也. 今夫羈靮以御馬而不以制牛, 人皆知羈靮之作在乎人, 而不知羈靮之生由於馬, 聖人之化, 亦猶是也. 先觀二子之言, 後觀聖人之言, 分明天地氣象. 凡看『論語』, 非但欲理會文字, 須要識得聖賢氣象.”
해석
顔淵, 季路侍. 子曰: “盍各言爾志?”
안연과 계로가 공자를 모시고 있는데, 공자께서 “어찌하여 각자 너희들의 뜻을 말하지 않는가?”라고 말씀하셨다.
盍, 音合.
○ 盍, 何不也.
합(盍)은 ‘어찌 안 하는가?’라는 것이다.
子路曰: “願車馬, 衣輕裘, 與朋友共. 敝之而無憾.”
자로가 “수레와 말, 가벼운 가죽옷을 입는 것을 친구와 함께 공유하여 그것이 해지더라도 섭섭해하지 않고자 합니다.”라고 말했다.
衣, 去聲.
○ 衣, 服之也. 裘, 皮服.
의(衣)는 그것을 입는다는 것이다. 구(裘)는 가죽옷이다.
敝, 壞也. 憾, 恨也.
폐(敝)는 해진다는 것이다. 감(憾)은 한스러워 한다는 것이다.
顔淵曰: “願無伐善, 無施勞.”
안연이 “잘하는 것을 과장하지 않으며 공로 있음을 자랑하지 않는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伐, 誇也. 善, 謂有能.
벌(伐)은 과장한다는 것이다. 선(善)은 능력이 있다는 말이다.
施, 亦張大之意. 勞, 謂有功,
시(施)는 또한 과장하는 뜻이다. 노(勞)는 공이 있다는 말이다.
『易』曰“勞而不伐” 是也.
『주역』에 ‘공로가 있으나 자랑하지 않는다’라는 것이 이것이다.
或曰: “勞, 勞事也. 勞事非己所欲,
어떤 이가 ‘노(勞)는 수고로운 일이니, 수고로운 일은 내가 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故亦不欲施之於人.” 亦通.
또한 남에게 베풀고자 하지 않는다.’라고 했으니, 또한 통한다.
子路曰: “願聞子之志.” 子曰: “老者安之, 朋友信之, 少者懷之.”
자로가 “부자의 뜻을 듣길 원합니다.”라고 말하니, 공자께서 “나이 드신 분을 편안하게 해드리고, 벗을 믿게 해주며, 어린이들을 품어주는 것입니다.”라고 말씀하셨다.
老者養之以安, 朋友與之以信,
나이 드신 분을 편안함으로 봉양하고 벗은 믿음으로 함께하며
少者懷之以恩.
어린이를 은혜로 품어준다.
一說: 安之, 安我也;
다른 설에는 “‘안지(安之)는 나를 편안히 여긴다는 것이고,
信之, 信我也; 懷之, 懷我也.
신지(信之)는 나를 믿게 한다는 것이며, 회지(懷之)는 나를 회고하게 한다는 말이다.
亦通.
또한 통한다.”라고 말했다.
○ 程子曰: “夫子安仁,
정이천이 말했다. “부자는 인(仁)을 편안히 여겼고,
顔淵不違仁, 子路求仁.”
안연은 인을 어기지 않았으며, 자로는 인을 구했다.”
又曰: “子路ㆍ顔淵ㆍ孔子之志,
또한 말했다. “자로와 안연과 공자의 뜻은
皆與物共者也,
모두 남과 더불어 함께한 것이니,
但有小大之差爾.”
다만 크고 작음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又曰: “子路勇於義者,
또한 말했다. “자로는 의에 용맹한 자이니
觀其志, 豈可以勢利拘之哉?
그 뜻을 보면 어찌 권세와 이익으로 그를 구속할 수 있겠는가?
亞於浴沂者也.
기수에서 목욕하겠다던 증점에 버금가는 사람이다.
顔子不自私己, 故無伐善;
안자는 스스로 사사로운 자기가 없었기 때문에 잘 하는 걸 자랑하지 않았고
知同於人, 故無施勞.
남과 함께 할 줄을 알았기 때문에 공로를 자랑하지 않았다.
其志可謂大矣, 然未免出於有意也.
그 뜻이 크다고 할 만하지만 뜻이 있음을 면하지 못했다.
至於夫子, 則如天地之化工,
부자에 이르러선 천지의 조화의 공[化工]이
付與萬物而己不勞焉, 此聖人之所爲也.
만물에 부여하고 자신은 수고하지 않음과 같으니, 이것이 성인의 하는 것이다.
今夫羈靮以御馬而不以制牛,
지금의 굴레와 고삐로 말을 부리고 소를 제어하지 못하니
人皆知羈靮之作在乎人,
사람은 모두 굴레와 고삐를 만든 것이 사람이 했다는 것만 알지,
而不知羈靮之生由於馬,
굴레와 고삐의 생산이 말에서 말미암았다는 것을 알지 못했다.
聖人之化, 亦猶是也.
성인의 교화함이 또한 이와 같다.
先觀二子之言, 後觀聖人之言,
먼저 두 사람이 말을 보고 후에 성인의 말을 보면
分明天地氣象. 凡看『論語』,
천지의 기상이 분명하니, 『논어』를 볼 적에는
非但欲理會文字,
문자를 이해하려 할 뿐만이 아니라,
須要識得聖賢氣象.”
반드시 성현의 기상을 알려고 해야 한다.
공야장 7 | 선진 25 | |
由(子路) | 千乘之國, 可使治其賦也 | 千乘之國, 攝乎大國之間, 加之以師旅 |
求(冉有) | 千室之邑, 百乘之家, 可使爲之宰也 | 方六七十, 如五六十, 可使足民 |
赤(公西華) | 束帶立於朝, 可使與賓客言也 | 宗廟之事, 如會同, 端章甫, 願爲小相焉 |
공야장 25 | 선진 25 | |
무대세팅 | 顔淵, 季路侍. 子曰: “盍各言爾志?” | 子路ㆍ曾晳ㆍ冉有ㆍ公西華侍坐. |
대화시작 | 盍各言爾志? | 如或知爾, 則何以哉 |
클라이막스 | 老者安之, 朋友信之, 少者懷之. | 浴乎沂, 風乎舞雩, 詠而歸 |
인용
'고전 >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 공야장 - 27. 호학(好學)해야만 한다 (0) | 2021.10.06 |
---|---|
논어 공야장 - 26. 자신의 허물을 알고 자책하는 사람 (0) | 2021.10.06 |
논어 공야장 - 24. 좌구명이 부끄럽다고 여긴 사람 (0) | 2021.10.06 |
논어 공야장 - 23. 미생고는 자신에게 없는 것을 옆집에서 빌려서 주다 (0) | 2021.10.06 |
논어 공야장 - 22. 백이와 숙제는 묵은 원한으로 괴롭히지 않았다 (0) | 2021.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