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전체

2016학년도 한문 임용 A형 기출문제

건방진방랑자 2021. 11. 10. 15:38
728x90
반응형

2016학년도 중등학교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한 문

수험 번호 : ( )

성 명 : ( )

1차 시험

2교시 전공A

14문항 40

시험 시간 90

 

 

1. 김 교사는 학생들이 한자 어휘의 뜻을 이해하고 이를 언어생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언어 활용법을 이용한 수업을 계획하였다. 다음 ( )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어휘를 漢字로 쓰시오. [2]

◎ 『孟子, 盡心 下

萬章曰 一鄕皆稱原人焉 無所往而不爲原人 孔子以爲德之賊 何哉 曰 非之無擧也 刺之無刺也 同乎流俗 合乎汚世 居之似忠信 行之似廉潔 衆皆悅之 自以爲是 而不可與入堯舜之道 故曰 德之賊也 孔子曰 惡( )者 惡莠 恐其亂苗也 惡佞 恐其亂義也 惡利口 恐其亂信也 惡鄭聲 恐其亂樂也 惡紫 恐其亂朱也 惡鄕原 恐其亂德也

 

법정, 무소유

여러 가지 지식에서 추출된 진리에 대한 신념이 일상화되지 않고서는 지식 본래의 기능을 다할 수 없다. 지식이 인격과 단절될 때 그 지식인은 ( )()요 위선자가 되고 만다.

 

 

 

2. 다음은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박 교사가 예비 교사와 나눈 대화의 일부이다. 밑줄 친 , 의 뜻을 순서대로 쓰시오. [2]

박 교사: 교수학습 지도안을 살펴보니, 학습 목표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과 교육과정 한문 지식영역에 있는 성취 기준 여러 가지 음과 뜻을 가진 한자를 알 수 있다.”가 제시되어 있군요.

예비 교사 1: . 그래서 처럼 하나의 한자가 여러 가지 음을 갖는 경우, 각각의 음을 모두 가르칠 계획입니다.

예비 교사 2: 하나의 한자가 여러 가지 뜻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은데 학생들이 어려워할 것 같아요.

박 교사: 그렇습니다. 예를 들어, “天知 神知 我知 子知 何謂無知에서 아들, “王侯將相 寧有種乎에서 장차로 잘못 해석하는 학생들이 적지 않아요.

예비 교사 2: 그러면 어떤 방법을 활용해서 지도하는 것이 좋을까요?

박 교사: 여러 가지 뜻을 비교하면서 학습하게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의 경우, ‘사이외에 여러가지 뜻이 있다는 것을 大禹爲天子 卑宮室 惡衣服 菲飮食 而聖人以爲無-論語』 「泰伯이나 子疾病 子路 使門人爲臣 病 曰 久矣哉 由之行詐也-論語』 「子罕등의 예문을 통해 비교하면서 지도하는 것도 좋겠지요.

 

 

 

3.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과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문장의 수사법을 교수학습하고자 할 때, ‘나타내고자 하는 대상을 다른 대상에 빗대어 표현하는 방법을 지도하기에 알맞은 구절을 다음에서 찾아 漢字로 쓰시오. [2]

昔唐皇帝 嘗鑿一池 每月望前 月色滉朗 中有一山 巖石如師子 隱映花間之影 現於池中 上命畫工圖其狀 遣使搜訪天下 至海東 見此山有大師子巖 -三國遺事

 

 

 

4. 주석 (), ()에 의거하여 본문을 풀이할 때, 밑줄 친 품사가 어떻게 다른지 각각 쓰시오. [2]

[本文]

子曰 仁爲美 擇不處仁 焉得知 - 論語, 里仁

 

[註釋]

() 居於仁者之里 是爲美 求居而不處仁者之里 不得爲有知 - 論語集解

() 里有仁厚之俗爲美 擇里而不居於是焉 則失其是非之本心 而不得爲知矣 - 論語集註

 

 

 

5. , 에 해당하는 를 순서대로 쓰시오. [2]

() 鳥飛从高下至地也 从一 一猶地也 象形 不上去而至下 來也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1.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18pixel, 세로 191pixel

() 進也 象艸木益滋上出達也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07pixel, 세로 177pixel

 

 

 

6. 밑줄 친 이 가리키는 것을 본문에서 찾아 쓰시오. [2]

崔致遠 字孤雲 年十二西學於唐 乾符甲午 學士裴瓚掌試 一擧登魁科 調授溧水縣尉 嘗遊縣南界招賢館 館前岡有古塚 號雙女墳 古今名賢遊覽之所 致遠題詩石門曰 (중략) 題罷到館 是時月白風淸 杖藜徐步 忽覩一女 姿容綽約 手操紅帒 就前曰 八娘子九娘子 傳語秀才 朝來特勞玉趾 兼賜瓊章 各有酬答 謹令奉呈 公回顧驚惶 再問何姓娘子 女曰 朝間披榛拂石題詩處 卽二娘所居- 太平通載

 

 

 

7. (), () 작품의 공통된 제재를 漢字로 쓰시오. [2]

() 李滉

溪邊粲粲立雙條 香度前林色映橋 未怕惹風霜易凍 只愁迎暖玉成消

 

() 盧守愼

疎影橫斜水淸淺 暗香浮動月黃昏 邇來詩思人間盡 空向西湖怨少恩

 

 

 

8. 다음 글에서 밑줄 친 ~이 공통으로 의미하는 것을 漢字로 쓰시오. [2]

父子弟姪 擧蒙被於疏榮 天地神祗 實鑑臨於昭告 旣頒便蕃之賚 因賜燕衎之懽 千載風雲 自幸遭逢之盛 一堂魚水 何啻徵角之和 浹髓而淪肌 醉酒而飽德 龍光至此 駑劣何堪 -張維, 會盟後頒敎錫物賜宴兩功臣謝箋

 

 

 

9. 김 교사는 다음 <자료>를 활용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유의어에 대한 교수학습을 계획하고 있다. 다음 밑줄 친 , 을 설명하시오. [4]

<자료>

齊宣王問曰 湯放桀 武王伐紂 有諸 孟子對曰 於傳有之 曰 臣弑其君 可乎 曰 賊仁者謂之賊 賊義者謂之殘 殘賊之人謂之一夫 聞誅一夫紂矣 未聞弑君也 - 孟子, 梁惠王 下

 

김 교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과 교육과정에는 유의어란 의미 자질의 차원이 대체로 같지만 정도, 상태, 기능 등에서 약간의 차이가 나는 단어군을 말한다. 유의어 간의 차이를 이해함으로써 문장을 정확하게 독해하고 지은이의 표현 의도를 분명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라고 되어 있어요.

이 교사: , 그렇죠. 예를 들면 은 모두 공격하다라는 뜻이지만 약간 차이가 있어요. 춘추좌씨전을 보면, 전쟁을 할 때 종과 북을 치며 공격하는 것을 이라 하고, 기습적으로 공격하는 것을 이라고 했습니다.

김 교사: <자료>도 유의어인가요?

이 교사: 그렇습니다. 의 차이를 구별하여 지도해야 합니다.

김 교사: , 그렇군요. 그래야 를 구별해서 사용한 맹자의 의도를 분명히 파악할 수 있겠네요.

 

 

 

10. 밑줄 친 과 같이 말한 이유를 ()에서 찾아 설명하고, 맹자가 ()에서처럼 행동한 근거가 되는 주장 2가지를 ()에서 찾아 서술하시오. [4]

() 孟子, 公孫丑 下

孟子將朝王 王使人來曰 寡人如就見者也 有寒疾 不可以風 朝將視朝 不識可使寡人得見乎 對曰 不幸而有疾 不能造朝 明日出弔於東郭氏 公孫丑曰 昔者辭以病 今日弔 或者不可乎 曰 昔者疾 今日愈 如之何不弔 王使人問疾 醫來 孟仲子對曰 昔者有王命 有采薪之憂 不能造朝 今病小愈 趨造於朝 我不識能至否乎 使數人要於路 曰 請必無歸 而造於朝不得已而之景丑氏宿焉

 

() 孟子, 萬章 下

萬章曰 敢問不見諸侯 何義也 孟子曰 在國曰市井之臣 在野曰草莽之臣 皆謂庶人 庶人不傳質爲臣 不敢見於諸侯 禮也 萬章曰 庶人 召之役 則往役 君欲見之 召之 則不往見之 何也 曰 往役 義也 往見 不義也 且君之欲見之也 何爲也哉 曰爲其多聞也 爲其賢也 曰 爲其多聞也 則天子不召師 而況諸侯乎 爲其賢也 則吾未聞欲見賢而召之也

 

 

 

11. 밑줄 친 을 국역하고, 밑줄 친 에 해당하는 것을 ()에서 찾아 쓰시오. [4]

() 古文眞寶, 諫院題名記

古者 諫無官 自公卿大夫 至于工商 無不得諫者 漢興以來始置官 夫以天下之政 四海之衆 得失利病 萃于一官 使言之 其爲任亦重矣 是官者 當志其大 捨其細 先其急 後其緩 專利國家 而不爲身謀 彼汲汲於名者 猶汲汲於利也 其間相去 何遠哉

 

() 簡易集

公字子純, 幼志於學, 長克有成, 以應科目, 綽如也. 正德癸酉, 司馬, 嘉靖乙酉, 及第, 補權知承文正字, 用薦入內翰, 爲檢閱. 至奉敎於諸曹, 禮爲佐郞, 兵爲佐郞正郞, 刑若工爲正郞. (중략)仁廟在東宮, 學已深造, 侍講之官, 時難其選. 公自司書至輔德皆更 而爲弼善者四 在臺諫尤號擧其職

 

 

 

12. 밑줄 친 과 같이 평가한 이유를 본문에서 찾아 설명하고, 밑줄 친 의 의미를 서술하시오. [4]

小說, 無論廣記之雅麗, 西遊水滸之奇變宏博. 平山冷燕, 又何等風致? 然終於無益而已. 西浦頗多以俗諺爲小說, 其中所謂南征記, 有非等閒之比. 余故翻以文字, 而其引辭曰: “言語文字以敎人, 自六經然爾. 聖人旣遠, 作者間出, 少醇多疵. 至稗官小記, 非荒誕則浮靡. 其可以敦民彝裨世敎者, 南征記. (중략)然先生之作之以諺, 蓋欲使閭巷婦女, 皆得以諷誦觀感, 固亦非偶然者. 而顧無以列於諸子, 愚嘗病焉, 會謫居無事, 以文字翻出一通. -金春澤, 論詩文

 

 

 

13. 밑줄 친 을 국역하고, 작가가 주장하는 水旱의 원인과 그 대책을 ()에서 찾아 서술하시오. [4]

()

水旱果天數乎 果人事乎 堯湯未免 天數也 休咎有徵 人事也 古之人 修人事以應天數 故有九七年之厄 而民不病 後之人 委天數而廢人事 故一二年之災而民已轉于溝壑矣 國家非惟省歲 月日且有儲備 人事可謂修矣 自去年之水旱而民甚病 多方救療之 不得其要 何哉 甞聞之父老曰 移民移粟食飢飮渴 僅足以紓目前之急 若欲因其已然之迹 而防其未然之患 盍亦究其原

()

夫民之寄命者 有司 凡有利害 必赴而訴之 若子於父母然 父母之於子 袪其害而已 豈計其利己乎 今之有司則不然 設二人爭訟 甲若有錢 乙便無理 其民安得不死寃 其氣安得不傷和乎 此所由召水旱也 監有司曰監司 凡有貪廉 卽按而誅賞之 監監司曰監察 凡有賢否 卽察而黜陟之 今皆不然 間有志古者 反不見容於時 盖今日之監司 卽前日監察 今日之監察 卽前日有司 相板援 相蔽覆 故如此 苟使今之民 一見古之有司 今之有司 一見古之監司 今之監司 一見古之監察 則吾赤子 庶免溝壑矣 然則天數也人事也 其要去貪而已 如欲去貪則有成憲具在 擧而行之 在乎宰天下者耳 作原水旱 - 이곡, 原水旱

 

 

 

14. (), ()에 드러난 시를 배우는 방법에 대한 관점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4]

() 李睟光, 詩說

詩固小技 而文之至精者莫過於詩 故非性相近則雖力強而爲之 亦終不能似也 況性不近力不強而所尙卑者乎 夫詩自魏晉以降 陵夷至徐庾而靡麗極矣 及始唐 稍稍復振 以至盛唐諸人出 而詩道大成 蔑以加焉 (중략) 學盛唐不懈則可以出漢魏以及乎古 學宋而益下則恐無以復正始 而宋亦不可能矣

 

() 朴齊家, 詩學論

吾邦之詩 學宋金元明者爲上 學唐者次之 學杜者㝡下 所學彌高 其才彌下者何也 學杜者知有杜而已 其他則不觀而先侮之 故術益拙也 學唐之弊 同然而小勝焉者 以其杜之外 猶有王孟韋柳數十家之姓字存乎胸中 故不期勝而自勝也 若夫學宋金元明者 其識又進乎此矣 又况博極羣書 發之以性情之眞者哉 由是觀之 文章之道 在於開其心智 廣其耳目 不繫於所學之時代也

 

 

 

 

16년도 1.pdf
다운로드

 

 

 

 

 

인용

목차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