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학년도 한문 임용 A형 기출문제
2017학년도 중등학교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한 문
수험 번호 : ( ) | 성 명 : ( ) | ||
제1차 시험 | 2교시 전공A | 14문항 40점 | 시험 시간 90분 |
1. 다음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에 대한 한문 교사들의 대화이다. 괄호 안의 ㉠, ㉡에 해당하는 내용을 순서대로 쓰시오. [2점]
A 교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과 교육과정에서는 한문을 왜 배워야하며 한문 교과의 역할은 무엇인지 명확히 밝히려 한 듯합니다. B 교사: 네. 한문 기록에 담긴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여 자신의 삶에 필요한 능력과 자질을 계발하고 건전한 가치관을 함양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교과 역량 및 핵심 개념에서 모두 ( ㉠ )을/를 제시한 것이 그 예라고 할 수 있죠. A 교사: 학교급별 학습 내용의 위계화도 개정의 중점이네요. 내용 체계를 보면, ‘중학교 한문’에서는 핵심 개념 ‘한문의 독해’의 내용 요소로 ‘문장의 구조’가 제시되어 있는데, ‘고등학교 한문Ⅰ’에서는 ‘문장의 구조’ 외에 ‘문장의 성분의 ( ㉡ )와/과 도치’가 제시되었습니다. B 교사: ‘중학교 한문’은 한문 문장 구조의 기본 어순을 중심으로 제시되었고, ‘고등학교 한문Ⅰ’은 문장 안에서 중복을 피하거나 표현을 간단하게 하는 경우와 특정한 환경 아래에서 어순이 바뀌는 경우까지 고려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
2. 다음은 곽 교사와 예비 교사가 나눈 대화이다. 괄호 안의 ㉠, ㉡에 해당하는 내용을 순서대로 漢字로 쓰시오. [2점]
곽 교사: 연구 수업 준비는 잘되어 가고 있나요? 예비 교사: 성어를 제재로 한 수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만 어떤 방법을 활용해야 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곽 교사: 성어의 학습은 글자대로 풀이하는, 逐字的 풀이에만 머물러서는 안 됩니다. 예를 들어 ‘助長’이 왜 부정적인 뜻으로 사용되는지를 알려면 속뜻을 알아야 하지요. 예비 교사: 그렇군요. 속뜻을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곽 교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성어의 ( ㉠ )(이)나 문헌 속에 인용된 사례를 학생들로 하여금 직접 찾게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축자적 풀이로는 ‘모아서 크게 이룸’의 뜻을 지닌 ( ㉡ )을/를 교수․학습할 때, 학생들이 “伯夷 聖之淸者也 伊尹 聖之任者也 柳下惠 聖之和者也 孔子 聖之時者也 孔子之謂( ㉡ )-『孟子』 「萬章」”을/를 찾게 하면 좋겠지요. 예비 교사: 성어의 ( ㉠ )을/를 조사하여 발표하는 과정을 통해 흥미를 높일 수 있고 성어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도 가능하겠네요. 곽 교사: 예, 그렇습니다. 예비 교사: 조언 감사합니다. 학생들이 흥미를 느끼고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연구 수업이 되도록 준비하겠습니다. |
3. 다음은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한문 교사의 일기이다. ( ) 안에 들어갈 ‘교수․학습 방법’을 쓰시오. [2점]
월 일 오늘 학생들에게 ‘每’가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侮’․‘梅’․‘悔’․‘敏’ 자를 함께 제시하여, 여러 개의 한자를 익힐 수 있도록 지도하였더니 효과적이었다. 그래서 다음에는 ‘僻’․‘闢’․‘譬’ 자를 한 번에 지도하기 위하여, “苟無恒心 放辟邪侈 無不爲已”에서 ‘辟’은 ‘僻’의 의미이고, “地不改辟矣 民不改聚矣 行仁政而王 莫之能禦也”에서 ‘辟’은 ‘闢’의 의미이고, “君子之道 辟如行遠必自邇 辟如登高必自卑에서 ‘辟’는 ‘譬’의 의미라고 설명하고, ‘辟’ 자가 공통으로 포함되어 있는 3자를 익히게 하려 한다. 이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한문Ⅰ 교육과정에서 “특정 부분이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한자들을 함께 제시한다.”라고 한 ‘( )’라는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한 것이다. |
4. ㉠, ㉡에 해당하는 漢字를 순서대로 쓰시오. [2점]
(가) ◦靜也 從女在宀下
(나)◦共置也 從廾從貝省
|
5. 밑줄 친 ㉠, ㉡의 품사를 순서대로 쓰시오. [2점]
夫天地者 萬物之逆旅 光陰者 百代之過客 而浮生若夢 爲歡 幾何 古人秉燭夜遊 良有㉠以也 況陽春召我以煙景 大塊假我㉡以文章 會桃李之芳園 序天倫之樂事 -『李太白文集』 |
6. (가), (나)의 공통된 題材를 漢字로 쓰시오. [2점]
(가) 洪翰周, 『智水拈筆』 今人之表德 伯仲叔季之外 又多用例字 如夫子君而甫哉之 卿汝美景士元稚幼等 皆無意義於名而虛用也 (나) 『古文眞寶』 往吾少時 如杜牧之 彊志盛氣 好大而見奇 讀兵家書 乃與意合 謂功譽可立致 而天下無難事 顧今二虜有可勝之勢願效至計 以行天誅 回幽夏之故墟 弔唐晉之遺人 流聲無窮爲計不朽 豈不偉哉 於是 字以太虛 以遺吾志 今吾年至而慮易 不待蹈險而悔及之 願還四方之事 歸老邑里 如馬少游於是 字以少游 以識吾過 |
7. ( ) 안에 들어갈 단어를 본문에서 찾아 쓰시오. [2점]
世傳 書生遊學至溟州 見一良家女 美姿色 頗知書 生每以詩挑之 女曰 婦人不妄從人 待生擢第 父母有命 則事可諧矣 生卽歸京師習擧業 女家將納壻 女平日臨池養魚 魚聞警咳聲 必來就食 女食魚謂曰 吾養汝久 宜知我意 將( )投之 有一大魚 跳躍含書悠然而逝 生在京師 一日 爲父母具饌 市魚而歸 剝之 得帛書驚異卽持帛書及父書 徑詣女家 壻已及門矣 生以書示女家 遂歌此曲父母異之曰 此精誠所感 非人力所能爲也 遣其壻而納生焉 -『高麗史』 |
8. 다음 글에서 비평의 대상이 되고 있는 수사법 1가지를 쓰시오. [2점]
陳司諫澕 雨餘庭院簇莓苔 人靜柴扉晝不開 碧砌落花深一寸 東風吹去又吹來 砭者曰 落花稱深一寸 似畔於理 予曰 趙退菴 詩曰 蒲色靑靑柳色深 今年寒食去年心 醉來不記關河夢 路上飛花一膝深 其曰一膝 則又深於一尺矣 況太白詩 燕山雪片大如席 |
9. 다음은 『千字文』의 문제점을 비판하고 대안을 제시한 글이다. <자료>에서 주장하는 어휘 학습법을 <작성 방법>에 따라 서술하시오. [4점]
文字之興 所以類萬物也 或以其形 或以其情 或以其事 必觸類而旁通之 竭其族別其異而後 其情理粲然 而文心慧竇 於是乎開發…(중략) … 我邦之人 得所謂周興嗣千文 以授童幼 而千文非小學家流也 學天地字 乃日月星辰山川丘陵 未竭其族 而遽舍之曰姑舍汝所學 而學五色學玄黃字 乃靑赤黑白紅紫緇綠 未別其異而遽舍之曰 姑舍汝所學 而學宇宙 斯何法也 …(중략) … 大凡文字之學 淸以喩濁 近以喩遠 輕以喩重 淺以喩深 雙擧以胥發之則兩義俱通 單說而偏言之 則兩義俱塞 -丁若鏞, 『千文評』 |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과 교육과정의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에 제시된 교수․학습 방법을 근거로 설명할 것. ◦ 『千字文』에 대한 정약용의 비판 내용을 포함할 것. |
10. 다음은 『孟子』 본문과 그에 대한 주석이다. 주석 (가), (나)에 의거하여 본문을 각각 국역하시오. [4점]
[本文] [註釋] (가) 『孟子集註』 人之所以輕易其言者 以其未遭失言之責故耳 蓋常人之情無所懲於前 則無所警於後 非以爲君子之學 必俟有責而後 不敢易其言也 (나) 『孟子要義』 余謂人之失德 未有甚於易言 趙括以易言敗 馬謖以易言誅 況於學者乎 人之易其言也 此是棄物 於女何誅 故曰無責耳矣 |
11. 밑줄 친 ㉠과 같이 말한 이유를 설명하고, 밑줄 친 ㉡이 가리키는 내용을 본문에 근거하여 서술하시오. [4점]
若生者 避宋文 如避火避箭 何也 始韓退之奮起於八代文衰之後 突變彀率 宋人皆祖之 如歐蘇宗匠 亦依樣模畫 其時應擧者皆由此發身 雖朱子百代之儒宗 亦讀之至千 況其他乎 生故曰㉠宋之文 韓退之誤之 宋儒之註解諸經 只欲發揮微旨 以牖後學耳 非欲後學之如本經也 昔董仲舒揚雄王文仲周濂溪程朱諸傳 何嘗從事於訓詁 只據四書六經 自悟自得而已 今之學者 謝㉡此先彼 斯文所以日卑也 -柳夢寅, 『於于集』 |
12. 밑줄 친 ㉠의 이유 2가지를 본문에서 찾아 설명하고, 이 글과 같은 유형에 속하는 文體 2가지를 漢字로 쓰시오. [4점]
嗚呼哀哉 公之生於世 六十有六年 民有父母 國有蓍龜 斯文有傳 學者有師 君子有所恃而不恐 小人有所畏而不爲 譬如大川喬嶽不見其運動 而功利之及於物者 蓋不可以數計而周知 …(중략)… 昔其未用也 天下以爲病 而其旣用也 則又以爲遲 及其釋位而去也 莫不冀其復用 至其請老而歸也 莫不惆悵失望 而猶庶幾於萬一者 幸公之未衰 孰謂公無復有意於斯世也 奄一去而莫予追 豈厭世溷濁 潔身而逝乎 將民之無祿 而天莫之遺 昔我先君 懷寶遁世 非公則莫能致 而不肖無狀 因緣出入 受敎於門下者 十有六年於玆 聞公之喪 義當匍匐往救 而懐祿不去 愧 古人以忸怩 緘詞千里 以寓一哀而已矣 蓋上以爲天下慟 而㉠下以哭其私 嗚呼哀哉 - 『唐宋八大家文鈔』 |
13. 밑줄 친 ㉠에 대한 조치 2가지와 이와 같은 조치를 내리게 된 배경 2가지를 (가)에서 찾아 서술하시오. [4점]
| 一日 ㉠賤臣對抄啓策問 妄用稗官雜記語 |
(가) | 下敎切責 以爲文章 雖屬技藝中一事 而語其至 則上可以占治敎之汙隆 下可以觀性情之邪正 六經之道 至大而簡 西京唐宋之文 最稱爾雅 今世之爲文者 學不充才 因難生厭 乃反下學於明淸小品 沾沾自喜者 相率爲瑣瑣啁啾之語 此豈世道之福哉 況爾曹家傳詩禮 世掌絲綸 擩染者軒冕之作 誦習者詞命之體 俯就跂及 各隨才分 萬有一舍宋而適越 用夏而變夷 捷徑窘步 貪鳥錯人 則其爲賊于敷文 忝厥先武 豈特无妄之小過 仍命內閣發緘推問 又命製進自訟文一篇 -『弘齋全書』 |
14. 밑줄 친 ㉠, ㉡이 가리키는 대상을 쓰고, 밑줄 친 ㉢과 같은 태도를 보이는 까닭을 구체적으로 서술하시오. [4점]
南里釃白酒 北里宰黃犢 獨有西隣家 哀哀終夜哭 借問哭者誰 寡婦抱㉠遺腹 夫君在世日 兩口守一屋 門前一席地 歲收僅糜粥 去年秋早霜 掃地無半菽 糠麩雜松皮 過冬猶不足 春來向富人 乞禾得滿匊 一粒惜不嚥 持爲種田穀 氣力日以微 腸胃日以縮 同是一般飢 妾何頑如木 却送夫君去 去埋前山麓 埋㉡人人骨朽 種穀穀頭熟 穀頭熟何爲 ㉢閉門不忍目 卽欲决相隨 奈此兒匍匐 兒雖不識父 猶是君骨肉 抱兒向靈語 氣絶久不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