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정약용丁若鏞: 1762(영조 38)~1836(헌종 2) 본문

한문놀이터/인물지도

정약용丁若鏞: 1762(영조 38)~1836(헌종 2)

건방진방랑자 2019. 2. 1. 19:59
728x90
반응형

정약용丁若鏞: 1762(영조 38)~1836(헌종 2)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미용(美庸)ㆍ귀농(歸農), 호는 다산(茶山)ㆍ사암(俟菴)ㆍ자하도인(紫霞道人)ㆍ철마산인(鐵馬山人). 여유당(與猶堂).

 

1762   경기도 양주군 마현리에서 정재원(丁載遠)과 해남윤씨 윤두서(尹斗緖)의 손녀 사이에서 4남으로 태어남.
1770 9 어머니인 해남윤씨 사망.
1776 15 2월 풍산(豐山) 홍화보(洪和輔)의 따님과 결혼함. 부친이 호조좌랑으로 서울에 부임하자, 이가환(李家煥)ㆍ이승훈(李承薰) 등에게 수학함.
1777 16 성호(星湖) 이익(李瀷)의 유고를 읽고 학문의 좌표를 정함.
1783 22 2월 감시(監試) 경의과(經義科) 초시(初試)에 합격하고, 4월에 회시(會試) 생원(生員)에 합격하여 성균관에서 수학함. 정조중용강의 80조목이란 과제를 내자 일등하여 정조로부터 재주를 인정받음.
1784 23 한강(漢江) 두미협(斗尾峽)의 배안에서 이벽(李蘗)을 통해 천주교에 관해 알게 됨. 이후 잠시 서학에 심취하게 됨.
1788 27 이경명(李景溟)이 반서교상소(反西敎上疏)를 올리자 정조는 성리학을 밝힘으로 천주학을 종식시킨다[以明正學, 而熄邪說]”를 지시함. 이 무렵 남인이었던 홍낙안(洪樂安)ㆍ목만중(睦萬中)ㆍ이기경(李基慶) 등이 공서파(攻西派)를 형성하여 노론벽파(老論僻派)와 결탁하면서 신서파(信西派)를 적대시함.
1789 28 대과(大科)에 갑과(甲科) 이등으로 급제(及第)하여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으로 승진함. 정조가 화성행차에 필요한 한강의 부교(浮橋)문제에 배다리를 놓아 성공적으로 임무를 수행함. 문체책(文體策)을 지음.
1791 30 호남에서 윤지충(尹持忠) 등이 훼사폐사(毁祠廢祀)’진산사건(珍山事件)이 일어남. 홍낙안 등이 남인 정승 체제공에게 장서를 보내 신서파(信西派)의 동향을 경고함. 서학(西學)과 절의(絶義).
1792 31 부친이 진주(晉州) 임소(任所)에서 운명함. 수원성(水原城)을 쌓는 것과 관련하여 필요한 기술적 설계를 담당함. 기중기(起重機)ㆍ고륜(鼓輪)ㆍ활거(滑車) 등의 건설기계를 창안함. 성설(城說)기중도설(起重圖說)을 짓고 수원성제(水原城制)를 지어 바침.
1794 33 청나라 신부인 주문모가 포교를 하자, 목만중 등이 이가환이 그 포교의 배후에 있다고 유언비어를 퍼뜨림. 정조는 이가환을 충주목사(忠州牧使), 정약용을 금정찰방(金井察訪)으로 전직시켜 비호하였고 이승훈은 예산에 유배시켜 공서파(攻西派)의 예봉(銳鋒)을 처단함.
암행어사가 되어 경기도(京畿道) 관찰사(觀察使) 서용보(徐龍輔)의 비리를 고발함.
1796 35 왕명으로 서울로 돌아옴. 초계문신(抄啟文臣)을 중심으로 한 죽란시사(竹欄詩社)’에 참여함. 유배 전까지 이 시사에서 활동함.
1797 36 좌부승지(左副承旨)에 승진하지만, 반대파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아 스스로 서교문제에 대해 해명함. 곡산부사(谷山府使)로 나감.
1799 38 봄에 남인(南人)을 비호하던 체제공이 서거하고, 형조참의에 제수됨. 다시 서교(西敎) 문제가 붉어져 상소가 빗발침.
1800 39 봄에 반대파의 모함과 시기를 피하기 위해 처자를 거느리고 마현리(馬峴里)로 낙향함. 6월에 정조가 갑자기 운명함.
1801 40 순조가 즉위하고 대왕대비 김씨가 수렴청정하자, 신유사옥이 일어나고 천주교도에 대한 탄압이 진행됨.
이가환(李家煥)ㆍ이승훈(李承薰)을 비롯해 다산 삼형제 등 천주교와 직접 관련이 없는 남인도 대거 체포됨. ‘책롱사(冊籠事)’로 인해 정약전과 다산은 추국(推鞫)을 받음. 정약종의 문서 중에 不能與兄弟同學, 莫非己罪云이라는 구절이 있어 정약용은 천주교와 관계없다는 판명을 받음.
정약종은 순교하고, 정약전은 신지도로, 다산은 장기(長鬐)로 유배감.
겨울에 황사영백서(黃嗣永帛書)가 발견되자, 정약전과 다산은 또다시 서울로 호송되어 국문을 받았지만 무고함이 밝혀짐. 그러나 정약전은 흑산도(黑山島), 다산은 강진(康津)으로 이배됨.
1803 42 군포(軍布)로 인해 남근을 자르는 참상을 목도하고 애절양(哀絶陽)을 지음. 강진 읍내에서 직접 목도한 사실을 도강고가부사(道康瞽家婦詞)를 형상함.
1805 44 아암(兒菴) 혜장(惠藏)의 주선으로 거처를 우이산(牛耳山) 보은산방(寶恩山房)으로 옮김.
1806 45 가을에 보은산방(寶恩山房)에서 이학래(李鶴來)의 집으로 이사함.
1807 46 황상(黃裳) 6명이 문하에서 수학함.
1808 47 다산초당(茶山草堂)으로 이사함. 두 초막을 짓고 정석(丁石)’이라는 표시를 해둠.
1810 49 전간기사(田間紀事)와 두보(杜甫)의 삼리(三吏)를 차운하여 용산리(龍山吏)파지리(波池吏)해남리(海南吏)를 지음.
1811 50 아방강역고(我邦疆域考)를 완성함.
1813 52 논어고금주(論語古今註)40권을 완성함.
1814 53 맹자요의(孟子要義)대학공의(大學公義), 그리고 중용강의보(中庸講義補)를 완성함.
1818 57 봄에 목민심서(牧民心書)48권을 완성함. 18명의 제자들에게 다신계(茶信契)를 조직하게 하고 계안(契案)도 마련해줌.
91418년 간의 유배생활을 마감하고 고향인 쇠내[苕川]로 돌아옴.
1819 58 비변사 양전사(量田使)로 천용되었지만 서용되지 못함. 흠흠신서(欽欽新書), 아언각비(雅言覺非)를 완성함.
1822 61 자찬묘지명(自撰墓誌銘)을 지음.
1823 62 승지(承旨)로 다시 낙점이 되었지만 곧 환수되어 서용되지 못함.
1832 71 노인일쾌사(老人一快事)를 지음.
1836 75 222일 아침. 여유당(與猶堂)에서 죽음.

 

평가

1. 초계문신(抄啟文臣)으로 국왕의 측근에서 연구ㆍ편찬에 참여했고 경기도 암행어사로도 활동하였으며 화성설계의 기획자로 참여함.

2. 정조가 죽고 천주교를 믿었단 이유로 박해를 받아 경상도 장기현과 전라도 강진 땅에 유배가 되었으며 이곳에서 18년 동안 유배생활을 하며 여러 저서를 집필함.

3. 마과회통(麻科會通), 경세유표(經世遺表), 목민심서(牧民心書), 흠흠신서(欽欽新書), 아방비어고(我邦備禦考), 아언각비(雅言覺非)

 

  

망하루기

望荷樓記

제탐라기만덕소득진신대부증별시권

題耽羅妓萬德所得搢紳大夫贈別詩卷

원교

原敎

목민심서서

牧民心書序

수오재기

守吾齋記

제하피첩

題霞帔帖

고구려론

高句麗論

탕론

湯論

임술기

壬戌記

농아광지

農兒壙志

오학론 일

五學論 一

오학론 이

五學論 二

오학론 삼

五學論 三

오학론 사

五學論 四

오학론 오

五學論 五

서원유고서

西園遺稿序

천문평

千文評

자찬묘지명

自撰墓誌銘

여유당기

與猶堂記

문체책

文體策

전론 삼

田論 三

도산사숙록

陶山私淑錄

기양아(무인고휼)

寄兩兒(無人顧恤)

기연아무진동

寄淵兒戊辰冬

여진득독서시의

汝眞得讀書時矣

답연아

答淵兒

시양아

示兩兒

상해좌서

上海左書

용산리

龍山吏

파지리

波池吏

해남리

海南吏

애절양

哀絶陽

타맥행

打麥行

노인일쾌사

老人一快事

봉지염찰도적성촌사작

奉旨廉察到積城村舍作

불역쾌재행

不亦快哉行

경전사

經田司

리노행

貍奴行

도강고가부사

道康瞽家婦詞

천용자가

天慵子歌

하일전원잡흥

夏日田園雜興

제서호부전도

題西湖浮田圖

탐진농가

耽津農歌

탐진어가

耽津漁歌

모차광양

暮次光陽

 

아언지하

雅言指瑕

실학기행

태학산문선

한시사

문학통사

 

 

 

 

 

 

 

인용

안내도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