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조선한시 (2)
건빵이랑 놀자
한국 한시 ㄱ 寄無悅師(김제안)江水(김구용)感懷(김구용)客中偶吟 奉贈端午問安使 問安使(김류)金剛道中(강백년)涇州龍朔寺(박인범)賞蓮(곽예)歧灘 / 舟行(신최)畿南卞僧愛女史(신위)溪橋中斷兩成洄(이미)過江川舊莊(이현)鏡浦泛舟(안축)感秋(이민구)觀魚臺(이민구)寄僧(이주)觀物(이언적)江上(최수성)哭亡室墓(홍종성)廣津舟中曉起(홍귀달)禁中東池新竹(최승로)金五興(조수삼)科儒雜謠(윤기)觀東史有感 效樂府體(안정복)見新月(정온)觀物吟(고상안)禁直詠懷示季雅(기준) ㄴ 路上所見(강세황)樂道吟(이자현)來蘓寺(이윤영)謾成(이주)落葉(정곡)綾城累囚中(조광조) ㄷ 讀離騷有感(김인후)桃林春放踏紅房(임종비)登俛仰亭 示東岳令公(양경우)登鐵嶺(이직)돌에 이름 새기며(임유후)盜取寢衾(이진망)答賓(장혼)悼亡(신위)悼亡(최성대)待人(최사립) ㄹ ..
한국한시약사(韓國漢詩略史) 1. 송풍(宋風) 주도의 시기 고려 중엽 ~ 15C소식(蘇軾)을 중심으로 한 송시(宋詩)가 주도함. 15C 소식(蘇軾)을 벗어나 다양한 송시(宋詩) 추구※ 안평대군의 『팔가선시(八家詩選)』당(唐)송(宋)이백ㆍ두보ㆍ위응물ㆍ유종원구양수ㆍ왕안석ㆍ소식ㆍ황정견 15C 후반강서시파(江西詩派)인 황경견ㆍ진사도(시법 연마 중시)에 관심 가짐 16C박은ㆍ이행ㆍ박상ㆍ정사룡ㆍ노수신ㆍ황정욱이 강서시 수학→박은ㆍ이행ㆍ정사룡 해동강서시파(海東江西詩派)※ 관각삼걸(館閣三傑): 호소지(湖蘇芝)의 해동강서시풍(험벽한 용사, 까다로운 성률 제한, 기계적인 수사)※ 수식과 기료를 중시하는 강서시풍을 사림이 비판함: 온유돈후(溫柔敦厚), 외물한적(外物閑寂)의 내면 수양 중시 2. 당풍(唐風) 주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