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한문놀이터/교과서 (29)
건빵이랑 놀자
7차 교과서 원문총정리 1. 교학사 교과서Ⅱ. 한문의 첫걸음1. 紅一點: 助長, 杞憂, 矛盾, 蛇足, 墨守, 紅一點, 登龍門, 似而非, 胡蝶夢 2. 靑出於藍: 大器晩成, 自强不息, 靑出於藍, 附和雷同, 螢雪之功, 曲學阿世, 臥薪嘗膽, 日就月將, 武陵桃源, 靑出於藍而靑於藍 Ⅲ. 삶의 슬기 3. 不如近隣: 遠族不如近隣, 三歲之習至于八十, 一日之狗不知畏虎, 積功之塔豈毁乎, 我腹旣飽不察奴飢, 逐彼山兎竝失家兎, 騎馬欲率奴, 陰地轉陽地變 4. 瓜田不納履: 瓜田不納履 李下不整冠, 出必告 反必面, 良藥苦於口而利於病 忠言逆於耳而利於行, 玉不琢不成器 人不學不知道, 九層之臺起於累土 5. 附耳之言: 附耳之言勿聽言, 富潤屋 德潤身, 言勿異於行 行勿異於言, 智者成之於順時 愚者敗之於逆理, 成功之亂如登天 失敗之易如燒毛 Ⅳ...
한국한시(韓國漢詩) 한문 번호내용출전교과서1犬走梅花落鷄行竹葉成어우야담대학1672林鳥有情啼向客野花無語笑留人高原驛, 동문선동아1223欲問相思處花開花落時春望詞, 설도전당시동화864月白雪白天地白山深夜深客愁深김병연, 김립시집대학1675人面不知何處在桃花依舊笑春風題都城南莊, 최호전당시동화866東風三月時 處處落花飛綠綺相思曲 江南人未歸春思, 매창매창집동화927郞云月出來 月出郞不來想應君在處 山高月上遲待郎君, 능운대동시선대학171, 비상908涼風忽已至 遊子衣無寒念此勞我懷 種種報平安寄長兒赴燕行中, 서영수합영수합고지학142, 한국1169雪色白於紙 擧鞭書姓字莫敎風掃地 好待主人至雪中訪友人不遇, 이규보동국이상국집동아13010神策究天文 妙算窮地理戰勝功旣高 知足願云止與隋將于仲文詩, 을지문덕삼국사기미래15211十五越溪女 羞人無語別歸來掩重..
Ⅲ. 한시(漢詩) 중국(中國漢詩) 한문 번호내용출전교과서1擧頭望山月低頭思故鄕靜夜思, 이백, 이태백집동아1142江碧鳥逾白 山靑花欲燃今春看又過 何日是歸年絶句, 두보중간천가주두시전집, 찬주분류두시동아114, 다락160, 비상963嶺外音書絶 經年復歷春近鄕情更怯 不敢問來人渡漢江, 이빈, 전당시이젠974萬里人南去 三春鴈北飛不知何歲月 得與爾同歸詠雁, 위승경, 지봉유설중앙645牀前看月光 疑是地上霜擧頭望山月 低頭思故鄕靜夜思, 이백, 이태백문집금성113, 천재1076盛年不重來 一日難再晨及時當勉勵 歲月不待人雜詩, 도연명고문진보대명63, 중앙787松下問童子 言師採藥去只在此山中 雲深不知處尋隱者不遇, 가도고문진보, 당시선, 전당시교학120, 금성119, 미래158, 와이127, 장원768問余何事棲碧山 笑而不答心自閑桃花流水杳然去 ..
철학(哲學) 한문(공자) 번호내용출전교과서1見利思義, 見危授命.논어미래1342見義不爲, 無勇也.논어미래1343古之學者, 爲己; 今之學者, 爲人.논어중앙904君子求諸己, 小人求諸人.논어와이1055克己復禮爲仁. (중략) 非禮勿視, 非禮勿聽, 非禮勿言, 非禮勿動.논어와이1656今之孝者, 是謂能養至於犬馬, 皆能有養, 不敬, 何以別乎?논어비상687己所不欲, 勿施於人.논어교학87, 금성97, 다락82, 대명57, 대학133, 동화66, 미래122, 비상58, 씨마92, 이젠81, 중앙34, 천재1458無欲速, 無見小利. 欲速則不達, 見小利則大事不成.논어이젠1819父母在, 不遠遊. 遊必有方.논어중앙6010父母之年, 不可不知也. 一則以喜, 一則以懼.논어중앙6011夫仁者, 己欲立而立人, 己欲達而達人. 논어한국17112顔..
풍속(風俗) 한문 번호내용출전교과서1江陵俗, 敬老, 每値良辰, 請年七十以上, 會于勝地, 以慰之, 名曰靑春敬老會.동국세시기비상1182京都俗, 歲謁家廟, 行祭曰: “茶禮.” 男女年少卑幼者, 皆着新衣 曰: “歲粧.” 訪族戚長老曰: “歲拜.”동국세시기금성141, 지학1803局畫二十九圈, 二人對擲, 各用四馬. 徒行一圈, 開行二圈, 杰行三圈, 流行四圈, 牟行五圈. (중략) 歲時, 此戱最盛.동국세시기한국904男女年少卑幼者, 皆着新衣曰歲粧, 訪族戚長老曰歲拜. (八月)十五日, 東俗稱秋夕, 又曰嘉俳.동국세시기천재915男子二十而冠, 有爲人父之端; 女子十五許嫁, 有適人之理.지산집동화1126每歲八月望日男女共聚歌舞, 分作左右隊, 曳大索兩端, 以決勝負. 索若中絕, 兩隊仆地, 則觀者大笑.동국세시기한국1027逢親舊年少, 以登科進官生男..
지리(地理) 한문 번호내용출전교과서1立門八正南曰崇禮, 正北曰肅淸, 正東曰興仁, 正西曰敦義.신증동국여지승람교학1082白頭山, 在女眞朝鮮之界, 爲一國華蓋. 上有大澤, 周圍八十里. (중략) 智異山, 在南海上, 是爲白頭之大盡脉. 故一名頭流山.택리지동아1823我國諸山, 皆發源於白頭山. 自磨天鐵嶺而南, 爲金剛五臺太白, 至智異而盡焉. 택리지동화1064我國諸山, 皆發源於白頭山. (중략) 至智異而盡焉.지봉유설이젠1535于山ㆍ武陵二島, 在縣正東海中. 二島相去不遠, 風日淸明則可望見. 新羅時, 稱于山國.세종실록지리지대명153, 미래110, 지학1986自鬱陵, 距我國, 一日程, 距日本; 五日程, 非屬我國者乎? 朝鮮人, 自往朝鮮地, 何拘爲?만기요람중앙1087中國人有曰: “願生高麗國, 親見金剛山.” 金剛山之名於天下, 久矣.지봉유설..
일화(逸話) 한문 번호내용출전교과서1“今日吾見兩頭蛇, 恐去死無日矣.” 母曰: “今蛇安在?” 曰: “吾聞見兩頭蛇者死. 吾恐他人又見, 已埋之矣.” 母曰: “無憂. 汝不死. 吾聞之, 有陰德者, 天報以福.” 몽구와이1492“所賣之肉, 有許塊耶?” 乃賣首飾得錢, 使婢盡買其肉, 而埋于墻下, 恐他人之買食生病也. 해동속소학씨마1603癸丑之春, 君年十五, 歸于誾. (중략) 自癸丑至今, 歲星亦未周也. 百年之計, 其止於斯而已乎.읍취헌유고중앙684其母曰: “他日笞, 子未嘗泣, 今泣何也?” 對曰: “兪得罪, 笞常痛, 今母之力, 不能使痛, 是以泣.”소학동화1245同春堂, 宋先生, 書籍, 借人, 人或還之, 而紙不生毛, 則必責, 其不讀, 更與之, 其人, 不得不讀之.사소절교학1476李掌令命殷, 癖於書. 雖在路上, 常執木枝以行曰: “不..
인물(人物) 한문 번호내용출전교과서1公不許曰: “此官家物也. 栽之有年, 一朝伐之, 何也.” 水使, 大怒, 然亦不敢取去也.이충무공전서대명1292公嘗建議, 欲養兵十萬, 以備緩急. (중략) 壬辰之亂, 西厓常語朝堂曰: “當時無事, 吾亦以爲擾民, 今而思之, 李文靖眞聖人也.”율곡전서중앙1663及女年二八, 欲下嫁於上部高氏, 公主對曰: “大王常語, 汝必爲溫達之婦. 今何故改前言乎? 匹夫, 猶不欲食言, 況至尊乎?”大王常語 ‘汝必爲溫達之婦.’ 今何故改前言乎? 匹夫, 猶不欲食言, 況至尊乎?삼국사기교학142, 금성171, 미래170, 중앙104, 천재167다락176, 비상1404其遇病者, 無貴賤疏親, 有請卽往. 往必盡心極能, 見其良已, 然後止. 不以老且貴, 爲解.완암집한국1625金鐘秀, 以爲兩存爲當, 柳戇, 以爲投諸水火爲好.조..
역사(歷史) 한문 번호내용출전교과서1“余爲大韓獨立而死, 爲東洋平和而死, 死何憾焉?” 遂換着韓服, 從容就刑, 年三十有二. 한국통사이젠119, 장원1282顧左右曰: “勿令史官知之.”조선왕조실록중앙1563求言綸音, 王若曰: “嗚呼! 國之興亡, 亶係於言路之開閉, 言路閉而國不亡, 幾希矣.”승정원일기중앙1444國之語音, 異乎中國, 與文字, 不相流通. 故愚民, 有所欲言, 而終不得伸其情者, 多矣. 予爲此憫然, 新制二十八字, 欲使人人 易習, 便於日用耳.훈민정음(해례본)금성193, 다락150, 대명159, 동화118, 비상168, 이젠159, 장원120, 중앙148, 한국2025今承聖敎, 二本竝存, 亦不害爲遵行故規矣.일성록중앙1566今臣戰船, 尙有十二, 出死力拒戰, 則猶可爲也.이충무공전서중앙1787東方, 初無君長, 有神人..
소설(小說) 한문 번호내용출전교과서1飛曰: “吾莊後, 有一桃園, 花開正盛. 明日, 當於園中, 祭告天 地, 我三人, 結爲兄弟, 協力同心然後, 可圖大事.” 玄德ㆍ雲長 齊聲應曰: “如此甚好.” 삼국지연의장원1162爲天下者, 苟利於民而厚於國, 雖其法之或出於夷狄, 固將取而則之.열하일기대명1473一日妻甚饑. 泣曰: “子平生不赴擧. 讀書何爲?” 許生笑曰: “吾讀書未熟.” 妻曰: “不有工乎?” 生曰: “工未素學奈何?” 妻曰: “不有商乎?” 生曰: “商無本錢奈何?” 其妻恚且罵曰: “晝夜讀書, 只學‘奈何’. 不工不商. 何不盜賊?” 許生掩卷起曰“ 惜乎! 吾讀書本期十年. 今七年矣.” 出門而去. 無相識者. 直之雲從街. 問市中人曰: “漢陽中誰最富?” 有道卞氏者. 遂訪其家. “子平生不赴擧. 讀書何爲?” 許生笑曰: “吾讀書未熟.” ..
설화(說話) 한문 번호내용출전교과서1然生平不向人說. 其人將死, 入道林寺竹林中無人處, 向竹唱云: “吾君耳如驢耳.” 삼국유사미래176, 천재1732昔有桓國庶子桓雄, 數意天下, 貪求人世. 父知子意, 下視三危太伯可以弘益人間, 乃授天符印三箇, 遣往理之. 雄率徒三千, 降於太伯山頂神壇樹下, 謂之神市, 是謂桓雄天王也. 삼국유사지학186 한문Ⅰ 번호내용출전교과서1國人見之曰: “此非常人也.” 乃入爲王. 細烏恠夫不來, 歸尋之, 見夫脫鞋. 亦上其巖, 巖亦負歸如前. 其國人驚訝, 奏獻於王, 夫婦相會, 入爲貴妃. 是時, 新羅日月無光, 日者奏云: “日月之精, 降在我國. 今去日本, 故致斯怪.” 王遣使求二人. 延烏曰: “我到此國, 天使然也, 今何歸乎? 雖然, 朕之妃有所纖細稍, 以此祭天, 可矣.” 仍賜其稍. 第八羅阿達王卽位四年丁酉, 東海..
사상(思想) 한문 번호내용출전교과서1君子喜揚人善, 小人喜揚人不善; 達人常欲人達, 窮人常欲人窮; 吉人喜聞人長, 庸人喜聞人短; 有餘者常譽人, 不足者常毁人. 청성잡기와이1712誠者物之終始, 不誠無物. 是故君子誠之爲貴. 중용이젠1813心不在焉: 視而不見, 聽而不聞, 食而不知其味.대학대명69, 이젠1814醫, 治病者也. 不計貴賤, 人有病病, 必往, 鍼醫者鍼, 藥醫者藥以生之. 此古之常然之道.백곡집동화1385以人視物, 人貴而物賤; 以物視人, 物貴而人賤; 自天而視之, 人與物, 均也. (중략) 夫大道之害, 莫甚於矜心, 人之所以貴, 人而賤物 矜心之本也.담헌서 비상190, 장원140,중앙 386人莫不盡其力, 而地無不盡其利. 地利興則民産富, 民産富則風俗惇而孝悌立.여유당전서장원1377財者 吾人之所大欲也. 然 所欲 有大於財者. ..
명문(名文) 한문 번호내용출전교과서1(전략) 是則我東方之文, 非漢ㆍ唐之文, 亦非宋ㆍ元之文, 而乃我國之文也. 宜與歷代之文, 幷行於天地間, 胡可泯焉而無傳也哉. 동문선한국1902惟江上之淸風, 與山間之明月, 耳得之而爲聲, 目寓之而成色, 取之無禁, 用之不竭, 是造物者之無盡藏也, 而吾與子之所共樂.고문진보금성1993人性本善, 無古今智愚之殊, 聖人何故獨爲聖人? 我則何故獨爲衆人耶? 良由志不立知不明行不篤耳. 志之立知之明行之篤, 皆在我耳, 豈可他求哉?격몽요결한국1824且夫天地之間, 物各有主, 苟非吾之所有, 雖一毫而莫取, 惟江上之淸風, 與山間之明月, 耳得之而爲聲, 目寓之而成色, 取之無禁, 用之不竭, 是造物者之無盡藏也, 而吾與子之所共樂.소동파전집동화184 한문Ⅰ 번호내용출전교과서1古之學者必有師, 師者所以傳道ㆍ授業ㆍ解惑也. 人非..
과학(科學) 한문 번호내용출전교과서1今有善行者, 行一百步; 不善行者, 行六十步. 今不善行者, 先行一百步, 善行者, 追之, 問幾何步及之? 答曰二百五十步.구장산술한국1362今有人分銀, 每人分七兩, 餘四兩, 每人分九兩, 少十二兩. 問人數及銀數, 各若干?산학정의동화1383冬至日, 在赤道之南. (중략) 夏至日, 在赤道之北.명곡집중앙1304論省人力, 蓋凡人之起重, 必力與重相等, 方得起動. 如一百斤之重, 必須一百斤之力, 始足以當之. 今法止用一具滑車則能以五十斤之力, 起一百斤之重, 此以力之半, 抵重之全也.여유당전서이젠1755善德女主時, 鍊石築臺, 上方下圓, 高十九尺. 通其中, 人由, 中而上下, 以候天文.신증동국여지승람천재856十二時者, 卽地之十二支也, 所謂十二支者, 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也. 天有十干, 所謂十干者, 甲乙..
Ⅱ. 산문 고사(古事) 한문 번호내용출전교과서1李廣, 出獵, 見草中石, 以爲虎, 而射之. 中石沒失, 視之, 石也. 他日射終不得入.廣出獵, 見草中石, 以爲虎而射之, 中石沒鏃, 視之石也. 因複更射之, 終不能複入石矣.한서와이143사기교학174, 동화1322“今一人言市有虎, 王信之乎?” 王曰: “否.” “二人言市有虎, 王信之乎?” 王曰: “寡人疑之矣.”“三人言市有虎, 王信之乎?” 王曰: “寡人信之矣.”전국책대학155, 중앙1003與女子期於梁下, 女子不來, 水至不去, 抱柱而死.사기중앙424高麗恭愍王時, 有民兄弟. 偕行, 弟得黃金二錠, 以其一, 與兄. 至孔巖津, 同舟而濟, 弟忽投金於水. 兄怪而問之, 答曰: “吾平日, 愛兄篤, 今而分金, 忽萌忌兄之心. 此乃不祥之物也, 不若投諸江而忘之.” 兄曰: “汝之言, 誠是矣.” ..
기타(其他) 한문 번호내용출전교과서1古之人, 以號代名者, 多矣.동국이상국집미래1042孔子, 問禮於老子.지봉유설중앙823九萬, 字雲路, 姓南氏, 號藥泉.곤륜집대학1054東字, 象日出; 西字, 象鳥栖.여유당전서중앙125名者, 所以自稱; 而字者, 所以稱人也. 幼名冠字, 五十以伯仲, 死而諡, 彌尊也.한정당집씨마1086防民之口, 甚於防川.삼봉집중앙1447訪族戚長老, 曰歲拜.동국세시기대학1178百聞不如一見.한서교학82, 동아40, 비상46, 와이1059凡鄕之約四, 一曰德業相勸, 二曰過失相規, 三曰禮俗相, 交四曰患難相恤.율곡전서비상8010別名字號, 或自名, 或師友之所名也.오주연문장전산고미래10411夫婦, 人倫之始, 萬福之原, 所關至重.정암집/퇴계집금성81, 동화124, 중앙6812父生我身, 母鞠吾身.사자소학미래128..
속담(俗談) 한문 번호내용출전교과서1去語固美, 來語方好.백언해동아542去言美, 來言美.동언해동화46, 비상46, 와이99, 장원443旣借堂, 又借房.청장관전서지학744談虎虎至, 談人人至.이담속찬다락70, 동아54, 장원36, 한국705來語(言)不美, 去語(言)何美?순오지금성69, 씨마80, 이젠69, 지학74, 천재636馬行處, 牛亦去.순오지/열상방언/청장관전서교학72, 동아54, 대학777無足之言, 飛于千里.이담속찬교학728三歲之習, 至于八十.여유당전서/이담속찬다락70, 동화46, 대학83, 미래80, 씨마80, 와이99, 이젠69, 한국709陰地轉, 陽地變.청장관전서지학7410衣以新爲好, 人以舊爲好.순오지동화4611一魚, 渾全川.순오지대학77, 천재6312一日之狗不知畏虎.이담속찬한국7013晝語雀聽, ..
격언(格言) 한문 번호내용출전교과서1家若貧, 不可因貧而廢學; 家若富, 不可恃富而怠學.명심보감중앙822家和萬事成.명심보감다락76, 동아24, 대학89, 지학253居安思危, 思則有備, 有備無患.춘추좌씨전금성91, 동아924居安而思危, 處易而思難.노봉문집이젠755古之言朋友者, 或稱第二吾.연암집장원606攻吾過者, 乃吾師也.학봉선생문집장원607交友之道, 莫如信義.사자소학대학1338苟日新, 日日新, 又日新.대학금성75, 미래1229君子喜揚人善, 小人喜揚人不善.청성잡기동화5210近墨者黑, 近朱者赤.사자소학장원6011近朱者赤, 近墨者黑.임하필기/부순고집/태자소부잠대학89, 교학77, 금성9712男兒須讀五車書.두보교학82, 장원4013當動而動, 動亦無尤; 當言而言, 言亦無吝.노애집중앙10814當正身心, 表裏如一.격몽요결..
4자 성어(四字成語) 한문 번호내용출전교과서1감언이설(甘言利說) 중앙1002개권유익(開卷有益) 교학82, 대명45, 장원40, 중앙783건곤일척(乾坤一擲) 중앙1704견리사의(見利思義)論語금성1035견물생심(見物生心) 교학566견선여갈(見善如渴)明心寶鑑대명517결자해지(結者解之) 교학61, 금성57, 다락60, 미래62, 씨마70, 이젠59, 지학64, 천재698결초보은(結草報恩) 천재479계란유골(鷄卵有骨) 교학51, 동화40, 미래68, 천재4710고진감래(苦盡甘來) 금성51, 대학127, 동아54, 씨마64, 와이8911골육상쟁(骨肉相爭) 대학13912공중도덕(公衆道德) 와이6113과유불급(過猶不及)論語교학56, 동아70, 씨마70, 와이89, 장원4814광음여류(光陰如流) 동아7015교우이신(交友..
3자 성어(三字成語) 한문 번호내용출전교과서1다반사(茶飯事) 대학612등용문(登龍門)後漢書다락54, 동화40, 이젠593여반장(如反掌), 반수(反手)漢書, 孟子대학604천리안(千里眼)魏書금성57 한문Ⅰ 번호내용출전교과서1다반사(茶飯事) 금성31, 장원222등용문(登龍門)後漢書대명8, 미래27, 비상22, 와이32, 장원223배수진(背水陣)史記대명8, 대학70, 비상28, 씨마36, 장원22, 천재144백중세(伯仲勢) 장원225사이비(似而非)孟子금성31, 비상22, 와이32, 장원226여반장(如反掌), 반수(反手)漢書, 孟子금성31, 장원227장사진(長蛇陣) 금성31, 장원228좌우명(座右銘) 금성31, 비상22, 장원229청백리(淸白吏) 장원2210하마평(下馬評) 장원2211호접몽(胡蝶夢)莊子동아32, ..
[일러두기] 1. 이 글 모음집은 중학교 한문 17종, 고등학교 한문Ⅰ13종 교과서에 실린 글을 수집, 분류, 정리하였다. 모음집에서는 각 출판사 이름의 앞 두 글자만 제시하였다. 대상 교과서는 아래와 같다. ∙중학교 17종: 교학사, 금성출판사, 다락원, 대명사, 대학서림, 동아출판, 동화사, 미래엔, 비상교육, 씨마스, 와이비엠, 이젠미디어, 장원교육, 중앙교육, 지학사, 천재교과서, 한국학력평가원 ∙고등학교 13종: 금성출판사, 다락원, 대명사, 대학서림, 동아출판사, 미래엔, 비상교육, 씨마스, 장원교육, 지학사, 와이비엠, 이젠미디어, 천재교육 2. 글은 아래 분류도와 같이 분류하였다. 분류는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임의의 기준을 정해서 했다. 분류의 표시는 ‘성어-2자’의 형식으로 하였다..
2015 개정교육과정 한문교과서 모음집 목차 1) 단문 1. 2자 성어 2. 3자 성어 3. 4자 성어 4. 격언 5. 속담 6. 기타 2) 산문 1. 고사 2. 과학 3. 명문 4. 사상 5. 설화 6. 소설 7. 역사 8. 인물 9. 일화 10. 지리 11. 풍속 12. 철학 3) 한시 1. 중국한시 2. 한국한시 4) 글 모음 효 매질에 눈물 흘린 백유 배려 洪相國瑞鳳之大夫人 賑恤 재치 음식에서 귀한 것(광해군) 借鷄騎還 지혜 旬日而體輕, 凌空而去 한 걸음의 철학 절제 子罕辭寶 욕심의 절제와 추구의 차이 직업 傳奇叟 웃긴 얘기 勸睡之物爾 신의 인용 지도
한 걸음의 철학, 꾸준함의 위대함 조익(趙翼) 爲學工夫如行路, 所期雖遠, 若行之不已, 則自當至於其處, 若止而不行, 則雖至近之地, 何能至乎? 『浦渚先生集』 卷之二十四 해석爲學工夫如行路, 所期雖遠, 배워 공부하는 방법은 길을 걷는 것 같으니, 기약한 목적지가 비록 멀더라도 若行之不已, 則自當至於其處, 만약 걷기를 그치지 않는다면 스스로 마땅히 목적한 곳에 이를 테지만, 若止而不行, 則雖至近之地, 만약 멈추고서 걷질 않는다면 비록 매우 가까운 거리라도 何能至乎?어찌 이를 수 있으리오. 인용목차수능한문 19학년도 14~15번국토종단말없이 벽을 오르는 담쟁이처럼5년 후에 나갈 생각으로 일하라하나를 마치면 다른 길이 열린다
진휼(賑恤) 이긍익(李肯翊) 有丐者, 言飢於忠寧大君(世宗潛邸時爵號). 忠寧以聞, 太宗曰: “中外飢民, 已令有司賑濟, 毋致飢餓. 何不謹奉行如是耶? 忠寧, 見予矜恤飢寒, 有所見聞, 輒必來告. 然垂死之民, 見王子然後, 獲食非可繼之道也.” 命治主者罪. 『燃藜室記述』 해석 有丐者, 言飢於忠寧大君(世宗潛邸時爵號). 굶주린 사람이 있어 굶주림을 충녕대군(세종이 등극하지 않은 시절의 작호임)에게 말했다. 忠寧以聞, 太宗曰: 충녕이 아뢰니, 태종이 말했다. “中外飢民, 已令有司賑濟, “수도와 지방의 굶주린 백성은 이미 유사로 하여금 진휼케 하였으니 毋致飢餓, 굶주림에 이르지 말도록 했는데, 何不謹奉行如是耶? 어찌하여 삼가 받들어 행하지 않고 이와 같은 것인가? 忠寧, 見予矜恤飢寒, 충녕은 굶주림과 추위를 긍휼히 여기고 ..
귀하디 귀한 옥을 받지 않으려는 이유자한사보(子罕辭寶) 宋人或得玉, 獻諸子罕, 子罕弗受. 獻玉者曰: “以示玉人, 玉人以爲寶也, 故敢獻之.” 子罕曰: “我以不貪爲寶, 爾以玉爲寶. 若以與我, 皆喪寶也, 不若人有其寶.” 稽首而告曰: “小人懷璧, 不可以越鄉, 納此以請死也.” 子罕寘諸其里, 使玉人爲之攻之, 富而後使復其所. 『春秋左氏傳』 「襄公 15年條」 해석宋人或得玉, 獻諸子罕, 子罕弗受. 송나라 사람이 어쩌다 옥을 얻게 되어 자한에게 바쳤는데, 자한은 받질 않았다. 獻玉者曰: “以示玉人, 옥을 바치려는 사람이 말씀드렸다. “옥의 장인에게 보여주었더니 玉人以爲寶也, 故敢獻之.” 옥의 장인이 보배라 했기 때문에 감히 바치려는 것입니다.” 子罕曰: “我以不貪爲寶, 爾以玉爲寶. 자한이 말했다. “나는 탐욕부리지 않음을..
옛 이야기 구연자 전기수(傳奇叟) 조수삼(趙秀三) 叟居東門外. 口誦諺課稗說, 如「淑香」ㆍ「蘇大成」ㆍ「沈淸」ㆍ「薛仁貴」等, 傳奇也. 月初一日坐第一橋下, 二日坐第二橋下, 三日坐梨峴, 四日坐校洞口, 五日坐大寺洞口, 六日坐鍾樓前. 溯上旣自七日, 沿而下, 下而上. 上而又下, 終其月也, 改月亦如之. 而以善讀, 故傍觀匝圍. 夫至最喫緊可聽之句節, 忽默而無聲. 人欲聽其下回, 爭以錢投之. 曰此乃邀錢法. 『秋齋紀異』 해석 叟居東門外. 수는 동문 밖에 살았다. 口誦諺課稗說, 如「淑香」ㆍ「蘇大成」ㆍ「沈淸」ㆍ「薛仁貴」等, 傳奇也. 언과패설(민담)을 구송하는데 「숙향전」ㆍ「소대성전」ㆍ「심청전」ㆍ「설인귀전」 등 전기이다. 月初一日坐第一橋下, 매월 초 첫째 날은 첫째 다리 밑에 앉고, 二日坐第二橋下, 三日坐梨峴, 둘째 날은 둘째 다리..
반찬 중 가장 귀한 음식찬품지중 하물위상(饌品之中 何物爲上) 上試問於諸王子曰: “饌品之中, 何物爲上?” 光海對曰: “鹽也.” 上問其故. 對曰: “調和百味, 非鹽則不成矣.” 『燃藜室記述』 해석上試問於諸王子曰: 선조께서 시험 삼아 여러 왕자들에게 물었다. “饌品之中, 何物爲上?” “반찬의 재료 중에 어떤 것이 가장 중요한가?” 光海對曰: “鹽也.” 上問其故. 광해군이 “소금입니다.”라고 대답하자, 선조께서 그 까닭을 물었다. 對曰: “調和百味, 非鹽則不成矣.” 『燃藜室記述』광해군이 “온갖 맛을 조화롭게 하는데, 소금이 아니면 맛이 완성되지 않습니다.”라고 대답하였다. 인용지학사120쪽학습지도안
비싼 고기를 가난한 살림에도 모조리 산 이유홍상국서봉지대부인(洪相國瑞鳳之大夫人) 洪相國瑞鳳之大夫人, 家甚貧, 疏食菜羹, 每多空乏. 一日遣婢, 買肉而來, 見肉色似有毒. 問婢曰: “所賣之肉, 有許塊耶?” 乃賣首飾得錢, 使婢盡買其肉, 而埋于墻下, 恐他人之買食生病也. 相國曰: “母氏此心, 可通神明, 子孫必昌.” 『海東續小學』 해석洪相國瑞鳳之大夫人, 家甚貧, 상국 홍서봉의 대부인의 집은 몹시 가난하여 疏食菜羹, 每多空乏. 거친 밥과 나물국조차도 자주 떨어질 때가 많았다. 一日遣婢, 買肉而來, 見肉色似有毒. 하루는 여종을 시켜 고기를 사서 오도록 했는데, 고기색을 보니 상한 것 같았다. 問婢曰: “所賣之肉, 有許塊耶?” 여종에게 “팔던 고기가 몇 덩어리쯤 되더냐?”라고 묻고는, 乃賣首飾得錢, 使婢盡買其肉, 곧 머리..
안락함을 박차고 떠나간 거위순일이체경 릉공이거(旬日而體輕, 凌空而去) 이익(李瀷) 人有畜野鵝者. 多與煙火之食, 鵝便體重, 不能飛. 後忽不食, 人以爲病. 益與之食而不食. 旬日而體輕, 凌空而去. 翁聞之曰: “智哉! 善自保也.” 『星湖全書』 해석人有畜野鵝者. 사람 중에 야생거위를 기르는 사람이 있었다. 多與煙火之食, 자주 불에 익힌 음식을 주자 鵝便體重, 不能飛. 거위는 곧 체중이 불더니 날지 못하게 됐다. 後忽不食, 人以爲病. 그 후 갑자기 먹질 않으니 사람들은 병 걸렸다고 생각하여 益與之食而不食. 더욱 먹일 주었지만 먹질 않았다. 旬日而體輕, 凌空而去. 열흘 만에 몸이 가벼워지더니, 창공을 날아올라 가버렸다. 翁聞之曰: “智哉! 善自保也.” 『星湖全書』노인이 그 얘기를 듣고 말했다. “지혜롭구나! 잘 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