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교육학/교육학 이론&기출 (138)
건빵이랑 놀자
2025학년도 중등학교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교육학제1차 시험1교시1문항 20점시험 시간 60분 다음은 ○○ 고등학교에서 경력 교사와 신임 교사가 나눈 대화의 일부이다. 이 내용을 읽고 ‘변화하는 환경에서 교육의 기본에 충실한 교사’라는 주제로 교육과정, 교육방법, 교육평가, 교육행정에 대한 내용을 구성 요소로 하여 서론, 본론, 결론을 갖추어 논하시오. [20점]경력 교사 : 선생님, 교직 생활의 첫해를 보내면서 어려움은 없으셨나요? 특히,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면서 교육목표를 설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을 텐데요.신임 교사 : 예. 다행히도 재구성의 방향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최근에는 사회적 요구와 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한 교육이 두드러져 보이더군요. 그래서 올해는 이 두 가지와 교과에 대한 저의 전..
2023학년도 중등학교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교육학제1차 시험1교시1문항 20점시험 시간 60분 다음은 〇〇고등학교에서 작성한 ‘학교 운영 자체 평가 보고서’ 중 전년도에 비해 학교 교육 만족도가 높아진 항목에 대한 분석 결과의 일부이다. 만족도 조사 결과 그래프, 서술식 응답, 분석 내용을 읽고 ‘학생, 학부모, 교사의 의견을 반영한 학교 교육 개선’이라는 주제로 교수전략, 교육평가, 교육과정, 학교 조직을 구성 요소로 하여 서론, 본론, 결론을 갖추어 논하시오. [20점]만족도조사 결과분석내용학생 만족도 조사 결과Q. 수업 내용과 과제의 수준이 적절하다.(* 5점 리커트 척도)2021년: 3.1점2022년 4점 ◦ 어려운 과제도 해결할 자신이 생겼어요.◦ 공부하기 전에 목표를 설정하는 연습을 했던..
2022학년도 중등학교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교육학제1차 시험1교시1문항 20점시험 시간 60분 다음은 〇〇 중학교에서 학교 자체 특강을 실시한 교사가 교내 동료 교사와 나눈 대화의 일부이다. 이 내용을 읽고 ‘학교 내 교사 간 활발한 정보 공유를 통한 교육의 내실화’라는 주제로 교육과정, 교육평가, 교수전략, 교원연수에 대한 내용을 구성 요소로 하여 서론, 본론, 결론을 갖추어 논하시오. [20점]김 교사 : 송 선생님, 제 특강에 관심을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선생님은 올해 우리 학교에 발령받아 오셨으니 도움이 필요하시면 말씀하세요.송 교사 : 정말 감사합니다. 그동안은 교과 간 통합에 주로 관심을 가져왔는데, 김 선생님의 특강을 들어 보니 이전 학습 내용과 다음 학습 내용이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교육학 목차 교육학 구조도(構造圖) 교육과정(Curriculum, 敎育課程) 1. 교육과정 개발┌교육과정 개발 절차┌교육목표의 설정★ │├교육내용의 선정과 조직┌교육내용 선정의 원리★19││└교육내용 조직의 원리★11,17│├교수학습 │└평가 └교육과정 개발모형┌개발모형┌Tyler의 합리적 모형★│├Taba의 교사중심 모형★ │├Skillback의 학교중심 모형★12,13 │└Wiggins&McTighe의 백워드 설계모형★12,15 ├실제모형┌Schwab의 실제적 모형 ★ │└Walker의 자연주의적 모형★18 └이해모형┌Eisner의 예술적 접근 모형★12,13 ├Pinar의 실존적 재개념화 모형★12 └Apple의 구조적 재개념화 모형★ 2. 교육과정 유형┌정의─ 개념, 다양한 정의├공식적 교육..
교육철학(educational philosophy, 敎育哲學) 1. 교육철학의 기초 교육개념의 정의1. 주요 교육관의 이해2. 피터스의 교육개념 준거3. 교육개념의 정의 방식4. 교육, 훈련, 교화교육의 목적1. 교육목적의 의의2. 교육의 내재적 목적과 외재적 목적자유교육1. 자유교육의 역사적 전개2. 피터스와 허스트의 자유교육론3. 허스트의 자유교육론 비판과 사회적 실제에 기반을 둔 교육교육철학의 개념과 기능1. 교육철학의 개념2. 교육철학의 기능지식1. 지식의 형태에 따른 분류2. 명제적 지식의 종류 2. 교육사조의 이해 실용주의와 듀이의 교육론1. 실용주의2. 듀이의 교육론20세기 미국의 교육철학1. 진보주의2. 본질주의3. 항존주의4. 재건주의현대의 교육철학1. 실증주의2. 분석적 철학3. 현상학..
4. 동양의 교육사상 4.1 공자(孔子)의 교육사상 -2권 577쪽 (1) 인간관① 인간은 도덕적 존재 ② 인간은 극기복례하려는 존재(2) 교육목적① 군자의 육성② 수기안인(修己安人): 나를 수련함으로 남을 편안케 한다 ③ 위기지학(爲己之學): 수단으로서의 공부가 아닌 본질로서의 공부를 한다(3) 교육방법① 인격의 감화를 통한 교육② 대상에 따라 다른 교육방법③ 점진적 계발식 교육④ 구체적·실천적 행동을 통한 교육⑤ 자발적 학습의욕의 강조⑥ 학습과 사색의 병행 4.2 맹자(孟子)의 교육사상 (1) 인간관① 인간은 원래 선한 존재② 양지(良知)와 양능(良能)을 지닌 존재(2) 교육의 목적① 완전한 인격의 배양② 대인(군자)의 육성③ 인륜을 밝히는 것(3) 수양의 방법- 양심(養心)① 과욕(寡慾)② 존양(存..
3. 현대의 교육철학 3.1 실증주의 –2권 549쪽 (1) 기본입장 자연과학과 계몽사상의 영향 (2) 특징 ① 인식의 객관주의 ② 보편적 경험주의 ③ 가치중립성 - 가치와 사실의 분리 ④ 자연과학적 방법론 중시 (3) 영향 ① 행동주의 ② 양적 교육연구 ③ 체제접근 3.2 분석적 철학 -2권 551쪽 (1) 기본입장 실증주의 영향으로 등장 (2) 대상 ① 경험과 논리에 의한 실증 ② 언어의 의미 분석과 명료화 (3) 의의 ① 교육이론의 체계를 확고히 함 ② 교육적 활동의 명료성ㆍ일관성ㆍ타당성에 기여 ③ 교육의 문제점 분석에 기여 (4) 한계 ① 실제 교육에 대한 대안 제시를 못함 ② 정의적 요소를 무시 ③ 언어의 사회적·역사적 배경에 대한 이해 소홀 3.3 현상학(phenomenology) -2권 55..
2. 20세기 미국의 교육철학 2.1 진보주의(Progressivism) -2권 541쪽 (1) 기본입장① 자연주의, 실용주의의 영향② 아동의 성장을 통한 사회 진보 추구 (2) 교육원리① 교육은 생활 그 자체② 아동의 흥미를 존중한 교육③ 문제해결위주의 학습 ④ 교사는 안내자 또는 충고자⑤ 경쟁보다는 협동의 중시 (3) 진보주의에 대한 비판① 본질의 변화에 대한 비판② 아동 중심에 대한 비판 ③ 흥미 중심에 대한 비판 ④ 협동에 대한 비판 2.2 본질주의(Essentialism) -2권 543쪽 (1) 기본입장전통적 교육관 (2) 교육원리① 문화유산의 전달이 목적② 훈련과 노력의 중시 ③ 교사의 교육주도권 강조 ④ 기본적 지식 교육에 중점(3) 본질주의 비판① 문화적 보수성② 아동의 자발적 참여와 자기..
2. 교육사조의 이해 1. 실용주의와 듀이의 교육론 1.1 실용주의(Pragmatism) 2권 535쪽 (1) 개관① 지식의 사회적 유용성이 가치 기준② 듀이에 의해 집대성(2) 실재론① 변화만이 실재 ② 세계는 경험을 통해 인식된 것 (3) 인식론① 경험을 통해 지식을 획득② 지식은 가설적인 것(4) 가치론① 경험에 의해 입증된 것만 가치 있는 지식② 현실적합성으로 가치 결정 1.2 듀이(John Dewey)의 교육론 -2권 536쪽 (1) 기본입장① 기능적 진리관 ② 가치상대론적 입장③ 실험주의④ 생물학적 인간관(2) 경험① 능동적 요소와 수동적 요소의 결합② 감각적 요소와 지적인 요소의 결합③ 가치 있는 경험㉠ 계속성의 원리㉡ 실생활과 연관④ 경험의 개조가 곧 성장(3) 지성(반성적 사고)의 원리경..
5. 지식 5.1 지식의 형태에 따른 분류 -2권 532쪽 (1) 방법적 지식① 의미: ‘~할 줄 안다(Know how)’는 것으로 ‘과정적 지식’이라고도 함. ② 조건: 기술이나 기능과 관계된 것으로 언어로 표현될 필요는 없음.(2) 명제적 지식① 의미: ‘라는 것을 안다(Know that)’로 표현되는 지식.② 진·위 구별 가능한 문장으로 표현③ 진·위 구별 가능한 문장으로 표현㉠ 신념조건: ‘~라는 것을 믿는다.’㉡ 진리조건: 그 내용이 진리여야 함. ㉢ 증거조건: 증거를 통해 진리 입증 요구㉣ 방법조건: 증거수집 방법이 객관적이어야 함. 5.2 명제적 지식의 종류 –2권 534쪽 (1) 사실적 지식① 사실 혹은 현상을 설명 ② 가설적·개연적 지식(2) 논리적(형식적) 지식① 용어의 의미 설명 ② ..
4. 교육철학의 개념과 기능 4.1 교육철학의 개념 –2권 529쪽 (1) 교육관으로서의 교육철학(2) 교육목적론으로서의 교육철학(3) 철학적 지식의 응용으로서의 교육철학 (4) 학문적 의미로서의 교육철학 4.2 존재론과 인식론과 가치론 –2권 530쪽 (1) 존재론(Ontology)① 절대불변의 실재 탐구② 우주와 삶의 궁극적 본질 파악 능력 (2) 인식론(Epistemology)① 지식 획득 과정에 관심② 지식의 근원 탐구 (3) 가치론(Axiology)① 가치 탐구 영역② 선악에 대한 인식과 판단기준 탐구 4.3 교육철학의 기능 -2권 530쪽 (1) 분석적 기능① 개념의 의미와 논리적 관계 규명② 교육현실의 토대, 근거 분석③ 교육내용의 인과적 관계 규명(2) 평가적 기능① 판단의 기준 정립 및 ..
3. 자유교육 3.1 자유교육의 역사적 전개 -2권 524쪽 (1) 고대 그리스와 로마 ① 고대 그리스인의 이상에서 유래 ② 이론적 지식을 추구 ③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에서 출발 ④ 고대 로마의 7자유과 (2) 중세의 자유교육 ‘7자유과’를 가르치는 교육으로 의미가 한정됨. (3) 르네상스 인문주의 ‘인문교과’란 이름으로 고대 자유교육의 이상을 부활하려 함. (4) 17·8세기의 자유교육 실용적 성격을 갖지 않는 모든 활동과 이론적ㆍ 심미적 활동으로 확대 3.2 자유교육론 -2권 525쪽 (1) 개관 피터스(R.S. Prters)는 아동을 지식의 형식에 입문시켜 합리적 마음을 계발하도록 하여 좋은 삶을 살 수 있도록 돕는 것을 교육의 목적으로 보았다. 지식의 형식은 인간과 사물에 대해 경험한 것을 체계화..
2. 교육의 목적 2.1 교육목적의 의의 -2권 521쪽 (1) 개념교육적 가치판단과 선택의 기준(2) 비교① 교육이념: 거대한 제도적 구조를 지닌 교육이 실현하려는 가치.② 교육목적: 장기적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포괄적으로 규정된 것.③ 교육목표: 교육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제시된 것.(3) 기능① 교육과정의 방향 제시② 교육적 동기 유발③ 교육결과에 대한 평가기준 2.2 교육의 내재적 목적과 외재적 목적 -2권 522쪽 (1) 내재적 목적① 교육활동 그 자체에서 추구하는 목적② 교육개념 속에 함의된 가치: 피터스가 제시한 세 가지 준거(2) 외재적 목적① 교육을 수단으로 하여 추구되는 목적② 외재적 목적의 사례: 학력이 국력이다(3) 두 가지 목적의 균형① 내재적 목적만의 강조: 지적 안목 형..
교육철학(educational philosophy, 敎育哲學) 1. 교육철학의 기초 1. 교육개념의 정의 1.1 주형관(鑄型觀, moulding) -2권 504쪽 (1) 개관빈 틀 안에 교육을 주입하는 것을 교육이라고 봄.(2) 아동관정해진 지식을 주입하여 아동을 사회에서 규정한 기준에 맞는 존재로 만들어 가는 것을 교육의 목적으로 삼음.(3) 교육목적① 주입과 주형으로서의 교육② 행동변화로서의 교육, 문화획득으로서의 교육(4) 교과중심 교육(주지주의 교육)교육을 통해 습득하는 지식과 신념은 지적 권위를 갖는 성인에 의해 객관성과 타당성이 확인된 것이기에 보편적 가치를 지닌다고 봄. (5) 교육만능론의 입장교육을 통해 어떤 인간도 만들어낼 수 있다는 입장 1.2 성장관 –2권 504쪽, 519쪽 (1) ..
교육사회학(Educational Sociology, 敎育社會學) 1. 교육사회학 이론 기능주의 이론1. 기능주의의 사회관과 교육관2. 사회화에 대한 기능주의 사회학자들의 입장갈등이론1. 갈등이론의 사회관과 교육관2. 갈등이론의 하위이론들해석적 접근과 상징적 상호작용1. 해석적 접근의 의의2.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이론3. 교사의 생존전략과 방어적 수업4. 낙인과 상호작용교육과정 사회학1. 교육과정 사회학의 의의2. 번스타인의 교육과정 연구 2. 사회변동과 교육 학교팽창과 학력상승의 원인1. 학습욕구이론2. 클락의 기술 기능이론3. 마르크스 이론4. 지위경쟁이론5. 국민통합론사회발전과 교육1. 발전교육론2. 인적자원개발론 3. 교육과 평등교육의 평등1. 허용적 평등관2. 보장적 평등관3. 교육조건의 평..
2. 성인교육과 다문화교육 2.1 평생교육론 -2권 483쪽 (1) 유네스코(UNESCO)의 성인기초교육론(fundamental education)과 생활문해 (2) 랑그랑의 평생교육론 (3) 다베(Dave)의 평생교육론 (1976) (4) 허친스(Hutchins)의 학습사회론 (5) 포레 보고서 (1972): 소유하기 위한 학습 → 존재하기 위한 학습 (6) 카네기 고등교육위원회의학습사회론(1973) (7) 유네스코 21세기 교육위원회의 네 가지 학습 2.2 다문화 교육 -2권 488쪽 (1) 다문화 교육 ① 동화주의: 새로 이주해 온 이주민을 기존사회의 문화에 흡수하거나 동화하는 방식으로 교육해야 한다는 것. ② 다문화주의에 근거한 다문화 교육 (2) 수업지도방안 ① 문화적으로 적합한 교수법 활용 ②..
5. 교육개혁과 평생교육 1. 교육개혁 1.1 신자유주의에 근거한 학교개혁론 -2권 470쪽 (1) 기본 가정① 학교에 대한 관료적 통제가 비효율성 초래 ② 시장에 의한 통제로 전환(2) 교육개혁의 방향① 단위학교의 자율성과 책무성 강화② 학생이나 학부모들에게 학교 선택권 부여 ③ 공교육 민영화 (3) 학교선택 정책 유형① 특성화 학교(magnet school)② 헌장학교(charter school)③ 자유취학제(open enrollment plans)④ 교육비 지급보증제도(voucher systems)(4) 우리나라의 교육정책① 자율학교, 자립형 사립고, 특성화 학교 등 학교선택제 도입② 단위학교책임경영 도입과 학교 평가 실시③ 교사 평가제와 성과급제 도입④ 외국학교의 국내 분교 설립 허용 1.2 탈학..
2. 학업성취 2.1 학업성취 격차의 원인에 대한 여러 견해들 -2권 461쪽 (1) 기능이론 ① 유전론자 ② 환경론자 (2) 갈등론(문화재생산론) 학교의 교육내용이 자본가 계급의 문화로 구성되어 있어 하류계층의 아동은 학업성취가 낮음 (3) 교육과정 사회학 교육과정이 상류계층에 유리한 학문중심 교과로 구성되어 하류계층의 학업격차가 발생 (4) 상징적 상호작용 이론 교사의 기대효과와 낙인이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침 (5) 번스타인의 학교 언어 연구 ① 언어사용 형태가 학업성취에 영향 ② 학교는 중산층의 정련된 어법 사용 → 노동계급 학생은 낮은 성취 2.2 문화실조론과 문화다원론 -2권 462쪽 (1) 문화실조론(문화박탈이론) ① 입장 ㉠ 가정의 문화적 환경이 지적 성취에 큰 영향 ㉡ 문화적 능력 결핍 시..
4. 교육선발과 학업성취 1. 교육선발 1.1 시험의 교육적ㆍ사회적 기능 -2권 457쪽 (1) 시험의 교육적 기능① 학업성취의 확인과 미래학습의 예언② 선발기능 ③ 경쟁촉진기능 ④ 목표 유인 기능: 목표에 도달하고자 하는 동기 촉발 요인⑤ 교육과정결정 기능: 시험이 교육과정을 결정하는 것.(2) 시험의 사회적 기능① 사회적 선발 기능 ② 지식의 공식화와 위계화③ 사회통제 기능: 시험에 사고방식과 행동을 통제할 수 있는 지식과 규범을 출제할 경우 시험을 통한 사회통제가 가능해짐.④ 기존질서의 정당화와 재생산(3) 객관식 평가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① 폐쇄적 사고 습관 ② 생명이 없는 지식 학습 유도③ 특정한 관점만 허용 ④ 충동적 성격 배양 1.2 시험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 –2권 460쪽 (1) 브로..
3. 교육의 사회불평등 재생산론과 무효과론 3.1 불평등재생산론(갈등이론)의 관점 –2권 447쪽 ① 사회경제적 배경이 학업성취에 가장 큰 영향 ② 성적에 의한 교육기회 배분이 계층 간 불평등 초래③ 교육은 불평등 재생산 및 심화 촉진 3.2 보울스와 진티스(Bowles & Gintis)의 이론 ① 학교는 사회통제의 장치로 발전 ② 학교제도는 기존 계급구조 재생 도구 3.3 카노이(Carnoy)의 분석 -2권 448쪽 (1) 방향교육단계별 수익률 변화를 분석하여 교육이 지배층의 이익에 봉사함.(2) 내용① 교육수익률에 따라 학생들의 계층배경이 다름② 교육수익률이 높을 때는 중상위계층만 교육 혜택③ 수익률이 낮을 때 하류층 입학④ 교육은 중상위 계층에만 봉사 3.4 라이트와 페론(Wright & Perro..
2. 교육의 사회평등 기여론 2.1 평등화 기여론의 기본입장 -2권 442쪽 (1) 학교의 역할① 평등한 교육기회 제공(평등주의)② 능력에 따른 선발(능력주의)③ 지식과 기능 교육 2.2 해비거스트(Havighurst)의 연구 (1) 상승이동의 원인① 교육은 상층이동 촉진 ② 교육은 사회평등에 기여 2.3 블로와 던컨(Blau & Duncan)의 직업지위획득 모형 -2권 444쪽 (1) 연구의 결과① 본인의 교육과 초기 경험이 직업적 성공에 큰 영향② 교육이 직업지위획득에 가장 큰 영향 2.4 인간자본론 (1) 기본 입장① 교육은 인간자본에의 투자 ② 교육은 생산성 향상을 위한 투자③ 교육은 사회평등화에 기여(2) 인간자본론에 대한 비판① 과잉학력현상 ② 선별(선발) 가설: 학교교육은 선별도구, 졸업장은..
3. 교육과 평등 1. 교육의 평등 1.1 허용적 평등관 -2권 432쪽 (1) 입장신분, 성, 종교, 인종 등으로 인한 교육기회 차별을 철폐하여 모든 사람에게 교육받을 권리를 허용하는 것(2) 정책① 능력주의② 조기 선발 옹호③ 상층계급의 대학교육 기회 장악 정당화 1.2 보장적 평등관 -2권 433쪽 (1) 입장 취학을 가로막는 경제적, 지리적, 사회적 제반 장애를 제거하여 교육을 못 받는 일이 없도록 교육기회를 보장하는 것(2) 평등 정책① 무상의무교육을 실시한다. 무상의무교육은 경제적 제약을 극복하여 교육기회를 보장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② 학교를 지역적으로 종류별로 고르게 설치한다. 이는 지리적 제반 장애를 극복하여 교육기회를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3) 결과 ① 교육기회는 확대②..
2. 사회발전과 교육 2.1 발전교육론 -2권 427쪽 (1) 기본 입장① 교육은 국가발전의 원동력② 기능주의 이론에 토대 (2) 순기능 교육에 대한 투자 → 교육의 기회 확대(3) 역기능교육의 수단적 가치를 중시해 교육의 비인간화를 초래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2.2 인적자원개발론(HRD: Human Resource Development) (1) 특징① 세계화 시대 및 지식기반사회(지식이 가치 창출의 기반)의 영향② 1960년대 인간자본론(발전교육론)의 변용③ 평생교육 및 평생직업능력개발과 연계(2) 영역① 개인개발② 생애개발③ 조직개발 문제 275번 / 인용 목차 사회 목차
2. 사회변동과 교육 1. 학교팽창과 학력상승의 원인 1.1 학습욕구이론 –2권 421쪽 (1) 학교팽창의 원인인간은 학습욕구를 지니며 학교는 그 욕구를 충족시켜 줌. (2) 약점학교가 학습욕구를 제대로 충족시켜 주지 못하고 있음. 1.2 클락(Burton Clark)의 기술 기능이론 -2권 422쪽 (1) 학력상승의 원인과학 기술 발달로 산업사회에서 요구되는 기술의 수준이 상승하여 교육수준도 상승함. (2) 근거① 산업별 고용구조의 변화② 직종별 직업구조의 변화(3) 약점: 과잉학력현상① 이론상으로 과잉학력현상 발생 불가능 ② 현실에서는 과잉학력현상이 존재 1.3 마르크스(Karl Heinrich Marx) 이론 (1) 학교팽창의 원인① 자본가 계급의 이익② 학교는 자본주의 핵심 장치(2) 기여학교교육..
4. 교육과정 사회학 4.1 교육과정 사회학 -2권 410쪽 (1) 영(Young)의 교육과정 이론① 지식은 사회적 구성물 ② 학교지식은 계층화(위계화)(2) 전통적 교육과정관의 입장① 교육과정은 보편적·객관적 성격을 지닌 것② 교육과정의 효율적 개발과 전달에 관심(3) 교육과정 사회학의 교육과정관① 교육과정은 사회계층의 이해관계 반영② 교육과정은 권력성·이데올로기적 성격③ 교육과정은 기존질서 재생산에 기여 4.2 번스타인(Bernstein)의 교육과정 연구 -2권 413쪽 (1) 교육과정 분석의 개념① 분류: 과목 간, 전공분야 간, 학과 간의 구분② 구조: 계열성의 엄격성, 시간배정의 엄격도 (2) 교육과정 유형① 집합형 교육과정: 강한 분류 - 강한 구조 / 강한 분류 - 약한 구조② 통합형 교육과..
3. 해석적 접근과 상징적 상호작용 3.1 해석적 접근의 의의 –2권 403쪽 (1) 특징① 인간은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존재② 행위자를 중시하는 미시적 관점 ③ 문화와 지식은 행위자의 상호작용 결과④ 질적 연구 중시(2) 여러 유형① 상징적 상호작용이론② 문화기술연구 ③ 교환이론 3.2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이론 –2권 405쪽 (1) 교사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① 교사의 자아개념 유형② 학생들에 대한 지식(2) 학생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① 학생의 자아개념 ② 교사에 관한 지식 (3) 하그리브스: 교사의 자기개념 유형① 맹수조련사형② 연예인형③ 낭만가형 3.3 교사의 생존전략과 방어적 수업 -2권 406쪽 (1) 교사의 생존전략 : 우즈(Woods)의 연구① 사회화② 지배③ 결근과 자리이..
2. 갈등주의 이론 2.1 갈등이론의 사회관과 교육관 -2권 390쪽 (1) 사회관자본주의 사회에서 학교가 사회를 유지하고 발전하는 데 기여하는 것이 아니라 지배계급에 의해 선정된 지배계급의 분화와 이데올로기를 주입하여 지배계급에 유리한 사회 불평등 구조를 재생산하는 데 기여한다고 비판한다.(2) 교육관① 학교는 사회의 불평등 구조 재생산② 교육내용: 지배계급의 문화 및 이데올로기③ 능력주의 선발은 허구 2.2 보울스와 진티스(Bowles & Gintis)의 경제적 재생산론 –2권 393쪽 (1) 학교=자본주의 경제구조 재생산학교는 지배계급과 생산계급으로 구분되는 위계적인 자본주의 생산조직 내에서 지배계급과 생산계급에 맞는 지식과 기능 및 태도를 가르쳐서 자본주의의 불평등한 사회적 생산관계를 정당화하여 ..
교육사회학(Educational Sociology, 敎育社會學) 1. 교육사회학 이론 1. 기능주의 이론 1.1 기능주의(functionalism)의 사회관과 교육관 -2권 382쪽 (1) 사회관① 사회 각 부분은 상호 유기적 관계 ② 능력주의 사회(2) 교육관① 교육은 사회 유지·발전에 기여② 학교는 사회화 담당 ③ 능력주의에 따른 선발과 배치④ 교육과정 → 보편적 가치를 지닌 것(3) 선발학교는 성적에 따라 학생을 선발하고 교육함으로써 능력주의를 실현하는 핵심장치의 역할을 한다. 학교는 선발을 통해 학생들의 능력에 따라 다른 교육적 경험을 부여하고 이를 토대로 사회 진출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직업세계가 필요로 하는 사람들을 분류하고 배치하는 기능을 한다.(4) 배치인력자원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
교육심리(Educational Psychology, 敎育心理) 1. 인지발달 이론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1. 피아제의 기본 입장2. 인지발달단계3. 피아제 이론의 교육적 적용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1. 비고츠키 인지발달이론의 기본 관점2. 근접발달영역과 비계설정3. 비고츠키 이론을 활용하여 학습을 촉진하는 방안 2. 정의적 특성의 발달 성격, 정체성, 자아개념의 발달1.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성격발달이론2. 에릭슨 성격발달이론3. 자아개념 발달4. 마샤의 자아정체감 상태5. 브론펜브뢰너의 생물생태학적 발달 이론도덕성의 발달1. 콜버거의 도덕성 발달이론2. 셀만의 조망수용능력의 발달 3. 학습에 대한 이해 행동주의 학습이론1. 행동주의 학습이론의 기초2. 수동적(고전적) 조건형성이론3. 조작적 조건형성이론4. ..
4. 인지양식 및 학습양식 4.1 위트킨(Witkin)의 분류 -2권 374쪽 ① 장독립적 인지양식어떤 사물을 지각할 때 그 사물의 배경에 영향을 받지 않거나 적게 받는 인지양식② 장의존적 인지양식사물의 지각에 있어서 그 사물의 배경에 영향을 많이 받는 인지양식 장독립형장의존형분석적·논리적임 : 주어진 대상을 분석적이고 논리적으로 지각전체적·직관적임 : 주어진 대상을 있는 그대로 전체적이고 직관적으로 지각구조화 능력이 뛰어남 : 상황을 분석하여 재조직하고 구조화하는데 능숙 ⇨비구조화된 학습자료 선호기존의 구조를 수용 : 주어진 조직을 그대로 수용하고 재조직하지 못하는 경향 ⇨구조화된 학습자료 선호내적 준거체계 소유 : 자신이 설정한 목표나 강화에 영향을 받는 경향내적 준거체계 없음 : 외부에서 설정한 목..
3. 창의성 3.1 창의성의 의의 -2권 364쪽 (1) 정의주어진 문제 상황에 대해 다양하면서 새롭고 적절하고 가치 있는 것을 창출하는 능력을 의미.(2) 요소① 확산적 사고: 가능한 한 많은 아이디어와 가능성을 찾아내는 것. ② 수렴적 사고: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여 확산적 사고가 이끌어낸 아이디어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것 3.2 창의성의 특징 -2권 365쪽 (1) 인지적 특성① 유창성: 가능한 한 많은 양의 아이디어를 산출해 낼 수 있는 능력을② 융통성: 고정적인 사고방식이나 시각 자체를 변화시켜 다양한 해결책을 찾아내는 능력③ 독창성: 기존의 것에서 탈피하여 참신하고 독특한 아이디어를 산출해 내는 능력④ 정교성: 다듬어지지 않은 아이디어를 보다 긴밀하게 조직하는 능력 (2) 정의적 특성① 민감성② ..
2. 지능검사와 활용 2.1 스탠포드-비네(Stanford-Binet) 검사 –2권 352쪽 (1) 언어성 검사와 동작성 검사로 구성 (2) 3개의 IQ 제시(3) 점수척도를 사용 (4) 편차 IQ 산출(5) 심리적 적응상태에 관한 정보 제공 2.2 웩슬러(Wechsler) 검사 –2권 353쪽 1) 언어성 검사와 동작성 검사로 구성 (2) 3개의 IQ 제시(3) 점수척도를 사용 (4) 편차 IQ 산출(5) 심리적 적응상태에 관한 정보 제공 2.3 한국형 웩슬러 아동형 지능검사(K-WISC-Ⅲ) (1) 특징언어성 검사와 동작성 검사로 구성, 편차IQ 산출(2) 검사의 활용개별 지도 계획 수립 가능, 학습 부진 진단에 유용, 학습 성향 진단에 활용 2.4 문화공평검사(문화평형검사) 종류내용SOMPA(다문화..
5. 학습자의 개인적 특성 1. 지능이론 1.1 스피어먼(Spearman)의 일반요인설 –2권 336쪽 (1) 개념일반적인 단일능력으로 모든 지적 과제를 해결하는 데 작용한다고 보며, 이 입장에 따르면 지능이 높은 학생이 전 교과에서 높은 성취를 보일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다.(2) 내용① 일반지능(g-요인): 대부분의 인지적 과제를 수행하는 데 영향 미침.② 특수요인(s-요인): 언어문제나 수문제와 같은 특정영역 문제 해결에 사용되는 능력 1.2 써스톤(Thurstone)의 중다요인론 (1) 개념7개의 지능요인(언어이해요인, 지각속도요인, 추리요인, 기억요인, 단어유창성요인, 공간시각화요인, 귀납적 사고요인)을 추출함. (2) 의의① 개인차에 대한 해석 가능 ② 남자와 여자의 차이 주장 1.3 카텔(C..
2. 학습동기 이론들 2.1 매슬로우(Maslow)의 욕구위계이론 -2권 33쪽, 305쪽 (1) 기본 입장① 욕구는 위계 형성② 하위욕구 충족 시 → 상위욕구 등장 (2) 욕구의 위계① 생리적 욕구의식주에 관한 욕구에서 성적 욕구까지 아우르는 기초적 욕구② 안전욕구 생리적 욕구가 충족된 후에 나타나는 욕구로서 위험, 위협, 박탈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불안을 회피하고자 하는 욕구이다.③ 사회적 욕구인간의 사회적이고 사교적인 동료의식을 조성하기 위한 욕구로서 애정, 귀속, 우정, 사랑 등을 포함한다④ 존경욕구 자신감, 성취감, 지식, 독립심과 같은 자기존경에 대한 욕구남의 인정, 위신, 자기업적에 대한 인정 등 타인으로부터 존경받고자 하는 욕구⑤ 자아실현욕구잠재력을 발현하여 자신을 완성시키려는 욕구(3)..
4. 학습동기 1. 학습동기의 기초 1.1 외재적 동기와 내재적 동기 -2권 298쪽 (1)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의 의미① 내재적 동기: 수행하는 과제 그 자체와 학습자의 흥미, 호기심, 자기만족감과 성취감 등에서 비롯되는 동기② 외재적 동기: 외적이고 환경적인 용인, 즉, 보상, 사회적 압력, 처벌에서 비롯되는 동기③ 두 동기간의 관계: 두 동기는 독립적으로 작용, 학습에선 내재적 동기가 더 중요(2) 보상과 동기① 과제 이행 자체에 대한 보상 제공 → 외재적 동기만 자극② 수행 수준이나 질이 향상되는 경우 보상 제공 → 내재적 동기 촉진 (3) 내재적 동기 향상을 위한 보상의 효과적 사용 지침① 내재적 흥미가 없는 과제에 보상 사용② 과제의 질과 수행 수준에 따라 보상③ 수행 향상에 대한 정보로..
4. 복잡한 인지과정 4.1 메타인지(Meta-cognition) -2권 282쪽 (1) 기술① 계획② 감독(실행)③ 평가 (2) 학업성취① 정확한 지각 증진② 주의 집중의 증진 ③ 효율적인 기억 전략 사용④ 과제에 맞는 학습 전략 사용 (3) 가르치는 방안① 메타인지 전략과 중요성 설명 → 메타인지 사용 동기 유발② 메타인지전략을 언제, 어디서, 어떻게 사용하는지 설명 + 시범③ 메타인지 전략을 연습하도록 하고 피드백 제공 ④ 체크리스트 제공 → 메타인지 전략 사용에 대해 스스로 확인 4.2 전이(Transfer) -2권 284쪽 (1) 이론① 형식도야설: 인간의 마음이 기억력ㆍ추리력ㆍ주의력ㆍ상상력 등 몇 개의 정신 능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학ㆍ논리학ㆍ라틴어와 같은 어려운 과목들로 정신 능력을 단련하..
3. 인지주의 학습이론 3.1 정보처리 과정 -2권 255쪽 (1) 감각기억환경으로부터 감각을 통해 들어온 자극이 처리될 때까지 정보를 잠시 유지하는 정보 저장고로서 정보를 일시 수용하는 곳(2) 주의감각기억을 통해 들어온 정보들 중에 특정한 부분에 선택적으로 초점을 맞추는 것으로, 용량과 지속성에 한계를 지님.(3) 지각감각기억을 통해 들어온 자극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을 의미함.(4) 작업기억① 특징학습내용에 주의 집중하여 이를 이해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기능을 하는 곳으로 용량이 제한되어 있어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정보 단위의 수가 한정됨② 용량 제한의 극복 방안㉠ 청킹: 처리해야 할 정보의 개별적 단위들을 연결하여 보다 크고 의미 있는 단위로 묶는 것㉡ 자동화: 자각이나 의식적인 노력 없이 정보처..
2. 사회인지 학습이론 2.1 반두라(Bandura)의 사회인지 학습이론과 자기조절학습 -2권 242쪽 (1) 기본 입장① 의미: 학습을 개인의 내적 요인과 행동, 그리고 환경의 상호작용 결과로 봄.② 상호결정주의 : 학습에 영향을 주는 요소 ③ 학습의 촉진 (2) 기대의 효과① 기대한 강화의 미발생 → 벌② 기대한 벌의 미발생 → 강화 (3) 학습방식① 직접학습 ② 대리학습 행동주의사회인지학습관찰 가능한 행동 변화다른 행동을 보이는 정신구조의 변화상호작용환경이 행동을 일으키는 일방적 관계개인요인ㆍ행동ㆍ환경의 상호작용 관계강화ㆍ처벌 행동의 직접적인 원인기대를 형성하게 하는 정도(4) 조장하는 강화의 형태① 직접적 강화② 대리 강화③ 자기 강화 (5) 관찰학습의 효과 (6) 관찰학습의 과정① 주의집중단계:..
3. 학습에 대한 이해 1. 행동주의 학습이론 1.1 행동주의 학습이론의 기초 -2권 220쪽 (1) 학습의 개념 경험의 결과로 나타나는 관찰 가능한 행동의 지속적인 변화이다.(2) 행동주의 학습이론의 기본전제기계론적 관점, 학습은 자극과 반응의 연합 1.2 수동적(고전적) 조건형성이론 -2권 221쪽 (1) 개념처음에는 아무런 반응도 일으키지 못하던 중성자극이 본능적인 생리반응 또는 정서반응을 일으키는 무조건 자극과 연합되어 불안, 공포, 따뜻함, 행복감과 같은 정서적 반응과 빠른 호흡, 땀 등과 같은 생리적 반응을 유발하도록 학습되는 현상을 설명함.(2) 기본 개념① 무조건적 자극② 무조건 반응③ 중성 자극④ 조건 자극⑤ 조건 반응⑥ 자극의 일반화⑦ 변별⑧ 소거⑨ 자발적 회복과 재조건 형성⑩ 고차적 ..
2. 도덕성의 발달 2.1 콜버거(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 -2권 213쪽 (1) 이론의 기본전제도덕성은 인지구조의 발달에 따라 도덕적 추론능력이 변형되고 재구조화 되면서 발달하며, 모든 사람의 도덕적 추론능력의 발달은 문화에 관계없이 동일한 단계를 거쳐서 발달한다.(2) 전인습적 도덕성 단계1단계: 벌과 복종에 의한 도덕성 2단계: 욕구충족을 위한 수단으로서의 도덕성 (3) 인습적 도덕성 단계3단계: 대인관계의 조화를 위한 도덕성4단계: 법과 질서를 중시하는 도덕성(4) 후인습적 도덕성 단계5단계: 사회적 계약으로서의 도덕성6단계: 보편적 윤리로서의 도덕성(5) 도덕성 발달이론에 근거한 교수전략① 도덕적 토론: 학생들의 도덕적 사고수준에서 갈등을 일으키게 하는 문제를 제시하고 토론하게 할 경..
2. 정의적 특성의 발달 1. 성격, 정체성, 자아개념의 발달 1.1 프로이드(S. Freud)의 심리성적 성격발달이론 –2권 195쪽 (1) 기본 입장① 인간은 성본능과 공격본능을 타고 난 존재② 생애 초기 부모의 양육 방식이 성격 형성에 결정적 ③ 성적 본능의 충족 여부가 성격 형성에 결정적④ 초기에 성격 대부분이 형성(2) 성격의 구조① 이드(id : 원초아)② 자아(ego)③ 초자아(superego)(3) 성격발달의 단계① 구강기(0세 ~ 1세)② 항문기(2세 ~ 3세)③ 남근기(3세 ~ 6세)④ 잠재기(7세 ~ 11세)⑤ 생식기(11세 이후) 1.2 에릭슨(Erikson)의 성격발달이론 -2권 198쪽 (1) 기본입장성격의 발달은 개인의 욕구와 사회문화적인 요인의 상호작용으로 발달하며, 성격발달..
2. 비고츠키 사회적 구성주의 2.1 비고츠키(Vygotsky) 인지발달이론의 기본 관점 -2권 179쪽 (1) 인지발달의 의의① 인지발달의 개념: 문화적 맥락 속에서 성인 또는 앞선 동료와의 사회적 상호 작용을 통해 논리적 사고, 자기조절, 문제해결 등과 같은 고등정신기능을 내면화하는 것② 지식의 구성: 문화적 맥락 속에서 성인 또는 앞선 동료들과 공동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지식을 구성함(2) 인지발달 촉진 요인① 사회적 상호작용아동이 앞선 동료 또는 성인과 공동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게 되는 사회적 상호작용은 자기조절전략, 문제해결 전략 등 고등정신기능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인지발달을 촉진② 문화(맥락)자신이 속해 있는 문화적 맥락 속에서 컴퓨터, 휴대폰, 언어..
교육심리(Educational Psychology, 敎育心理) 1. 인지발달 이론 1.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1.1 피아제(Jean Piaget)의 기본 입장 -2권 160쪽 (1) 인지발달① 인지 기능은 타고난 것② 인지도식의 변화가 인지발달(2) 인지기능(적응력)① 동화: 기존의 인지도식으로 새로운 지식을 받아들이는 것.② 인지적 불균형: 기존도식으로 새로운 자극을 해석 못하는 것.③ 조절: 기존 도식 수정이나 새로운 도식 창조.④ 평형화: 그 대상이나 자극에 맞는 인지 도식을 만들어내어 인지적 균형 상태를 이루는 것.⑤ 조직화: 도식을 통합, 복잡하고 정교한 도식 형성. 1.2 인지발단단계 -2권 166쪽 (1) 감각 동작기① 문제해결능력 발달② 모방의 발달③ 대상영속성(對象永續性, Object p..
교육행정(Educational Administration, 敎育行政) 1. 교육행정의 기초 교육행정의 개념과 원리1. 교육행정의 개념 2. 교육행정의 원리교육행정의 이론1. 고전적 관리론2. 인간관계론3. 행동과학론 4. 체제이론 체제이론1. 개방체제이론2. 게젤과 구바의 역할과 인성의 상호작용 모형 3. 게젤과 구바의 사회과정 모형4. 게젤과 텔렌의 수정모형5. 카우프만의 체제접근모형6. 브루코버의 학교사회체제론 7. 인간자원론 2. 동기이론 동기의 내용이론1. 매슬로우의 욕구계층이론2. 허즈버거의 동기-위생이론3. 동기유발을 위한 직무재설계4. 앨더프의 생존-관계-성장 이론동기의 과정이론1. 블룸의 기대이론 2. 아담스의 공정성 이론 3. 로크의 목표설정이론 경영자의 인간관1. 맥거리거의 X-Y이론 ..
2. 학교경영기법 2.1 목표관리기법(MBO: Management By Objectives) -2권 142쪽 (1) 의의조직의 구성원들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목표를 수립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역할을 분담하여 노력하고 그 성과에 대해 평가하고 보상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경영기법.(2) 특징① 구체적 목표 설정② 자기 통제를 통한 목표 도달 노력③ 성과 측정 및 평가(3) 효과① 교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② 교직원의 참여의식을 높일 수 있다(4) 한계① 장기적이고 전인적인 목표를 추구하기 어렵게 한다② 교사의 업무 부담을 가중시킨다 2.2 총체적 질경영(TQM: Total Quality Management) ① 데밍(Deming)의 총체적 품질관리(TQC) → 발전시킨 것② 지속적인 품질관리 → 경영개선..
8. 학교ㆍ학급 경영 1. 학교경영의 기초 1.1 학교경영의 의의 -2권 137쪽 (1) 개관교원의 능동성을 기반으로 단위학교의 특성을 살리며 교육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는 것.(2) 개념단위학교가 목적 수립하고 달성을 위해 자원을 확보하여 효율적으로 활용ㆍ평가하는 활동 1.2 단위학교 책임경영제 -2권 138쪽 (1) 의미학교를 자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 (2) 실시의 목적① 학교실정에 맞는 교육의 실시 ② 교육자치의 실현③ 교육의 효율성 증진 1.3 학교경영의 주요 기능 -2권 141쪽 (1) 교수기능(2) 특별봉사 기능(3) 관리기능(4) 장학기능(5) 행정기능 인용 목차 행정 목차
7. 장학행정 1.1 장학의 단계별 유형 –2권 131쪽 (1) 중앙장학 ① 교육부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장학활동 ② 장학의 방식 (2) 지방장학 ① 시·도 교육청과 지역 교육청에서 실시 ② 장학의 방식 ㉠ 종합장학 ㉡ 확인장학 ㉢ 요청장학 ㉣ 특별장학 (3) 지구별 자율 장학 ① 학교 간 방문장학 ② 지구별 자율장학반 편성 ③ 교육활동의 상호 참관, 정보 교환 ④ 연구발표 및 합동강연회 1.2 교내자율장학 -2권 132쪽 (1) 임상장학 ① 목적: 교수-학습에 있어서 안고 있는 문제를 진단·해결할 수 있도록 도움. ② 특징: 장학전문가가 교사의 실제 수업을 관찰·분석하고 객관적인 피드백을 제공함. (2) 마이크로 티칭 ① 축소된 연습 수업 ② 마이크로 티칭의 구체적인 방법 (3) 동료장학 ① 개념 동료 ..
2. 의사소통 2.1 의사소통의 기법: 조해리의 창(Johari Window) -2권 123쪽 (1) 개방적 영역(open)① 자신의 정보가 자신과 타인에게 잘 알려진 부분 ② 민주형 의사소통(2) 무지의 영역(blind)① 자기 자신에 대해 타인은 알고 있지만 자신은 잘 모르는 부분 ② 독단형 의사소통(3) 은폐의 영역(hidden)① 자기에 대한 정보 → 자신은 잘 알지만 타인은 모르는 영역 ② 과묵형 의사소통 (4) 미지의 영역(unknown)① 자기에 대한 정보 → 자신과 타인 모두에게 알려져 있지 않은 영역② 폐쇄형의 의사소통 2.2 케네스 토마스(kenneth thomas) 조직의 갈등 관리: 갈등의 처리 방식 –2권 125쪽 (1) 개관갈등처리 방식을 협조성과 독단성으로 구분하고 다섯 가지 ..
6. 의사결정과 의사소통 1. 의사결정 1.1 의사결정의 네 가지 관점들 -2권 115쪽 (1) 합리적 관점① 의사결정은 최적의 대안을 선택하는 것② 중앙집권적 조직에 적합(2) 참여적 관점① 합리적 관점과의 공통점② 의사결정은 합의의 결과(3) 정치적 관점① 의사결정은 타협의 산물② 개방체제를 전제(4) 우연적 관점① 의사결정은 우연적 결과의 산물② 조직화된 무질서 조직에 적합 1.2 의사결정의 기본 모형 -2권 116쪽 (1) 합리적 모형① 인간은 이성을 가진 존재② 문제의 완벽한 파악 가능③ 모든 가능한 대안 탐색·비교 검토④ 최선의 대안 선택⑤ 비현실적이라는 비판(2) 사이몬(Simon)과 마치(March)의 만족 모형① 제한적 합리성 전제② 만족스러운 결정이 최선③ 정책결정자의 행동에 초점 (3..
5. 교육기획과 교육정책 1. 교육기획 1.1 교육기획 및 교육정책의 의의 -2권 101쪽 (1) 교육행정의 기능① 소극적 측면② 적극적 측면(2) 교육기획과 교육정책① 교육기획: 교육의 합리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지적ㆍ합리적 사전 준비과정② 교육정책: 교육활동의 운영을 위한 국가의 기본이념 혹은 방침으로서의 교육행정의 적극적 측면의 활동.(3) 교육기획의 의의교육의 합리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지적ㆍ합리적인 사전 준비과정으로 교육의 비전과 교육활동의 방향제시. 1.2 교육기획의 접근 방법 -2권 111쪽 (1) 사회수요에 의한 접근 방법수요 예측에 기초하여 교육적 투입 요소 계획(2) 인력수요에 의한 접근 방법 교육과 경제성장을 연결하여 계획수립(3) 수익률에 의한 접근 방법교육투자의 경제..
5. 학교공동체와 학습공동체 5.1 학교공동체와 학습공동체 -2권 96쪽 (1) 의의학교구성원들 간의 관심과 이해 및 신뢰와 존중감을 가지고 서로 보살피고 배려하는 가운데 학교구성원들이 서로 상호의존하면서 함께 배우며 더불어 성장하기 위해 노력하는 학교(2) 배움 공동체① 배움 공동체의 개념 ② 배움공동체의 구축 방안(3) 돌봄 공동체① 돌봄 공동체의 개념 ② 돌봄 공동체 구축 방안 5.2 교사의 학습공동체(전문적 학습공동체) -2권 97쪽 (1) 의의① 학습공동체 활용② 전문성 신장을 위한 자발적 모임(2) 운영 원리① 비전이나 가치의 공유 ② 협력적인 학습 중시 ③ 교육실천에 대해 비판적인 성찰(3) 학교조직의 학습조직화① 학교조직의 재설계②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 시간 확보③ 전문적 학습공동체 활성..
4. 조직풍토 4.1 핼핀(Halpin)과 크로포트(Croft)의 학교조직풍토 –2권 87쪽 (1) 개관교장과 교사들의 지각으로 조직풍토 측정.(2) 교장과 교사의 행동특성① 교사의 행동특성㉠ 일탈성㉡ 장애성㉢ 사기㉣ 친밀성② 교장의 행동특성㉠ 냉담성㉡ 생산강조㉢ 추진성㉣ 배려성(3) 학교조직풍토 유형① 개방적 풍토 ② 자율적 풍토③ 통제적 풍토 ④ 친교적 풍토⑤ 친권적 풍토⑥ 폐쇄적 풍토 4.2 호이(Hoy)와 클로버(Clover)의 개정된 학교 조직 풍토 척도 -2권 89쪽 (1) 학교장의 행동 특성① 지원적 행동② 지시적 행동 ③ 제한적 행동(2) 교사들의 행동 특성① 단체적(동료적) 행동② 친밀한 행동③ 일탈적(격리적) 행동(3) 조직 풍토 유형① 개방풍토② 몰입풍토③ 일탈풍토④ 폐쇄풍토 4.3 ..
3. 학교조직의 특성 3.1 전문적 관료제 -2권 81쪽 (1) 의의단순한 관료제만으로는 설명이 불가능하며, 관료제와 전문직제의 혼합적인 조직 형태로 전문적인 관료제라고 설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관료적 특성① 교무분장조직(계층화) ② 교사자격증제도(분업과 전문화)③ 규정을 통한 행동 규제(규칙과 규정) ④ 연공서열 중심의 승진제도(경력의 중시) ⑤ 신분과 정년의 보장 (3) 전문적인 특성교실에서의 교수-학습활동에 있어 자율성 보장 3.2 조직화된 무질서 조직(Organized Anarchy) -2권 81쪽 (1) 특징① 불분명한 목표: 학교의 목표 가 추상적인 용어로 진술되어 있음② 교육목표 달성에 있어 불확실한 기술③ 구성원들의 유동적 참여 3.3 웨이크(Weick)의 이완조직(loosely-..
2. 조직의 유형 2.1 파슨스(Parsons)의 사회적 기능 유형 –2권, 76쪽 (1) 개관(2) 학교는 유형유지조직 2.2 블라우(Blau)와 스캇(Scott)의 조직 유형 (1) 조직의 1차적 수혜자에 따라 분류 (2) 학교는 봉사조직 2.3 칼슨(Carlson)의 봉사조직 유형 (1) 개관조직과 고객이 서로를 선택할 수 있는 정도에 따라 분류(2) 조직유형① 유형Ⅰ: 야생조직 ② 유형Ⅱ③ 유형Ⅲ④ 유형Ⅳ : 사육조직 2.4 에찌오니(Etzioni)의 순응조직 -2권, 79쪽 (1) 기본입장지도자가 행사하는 권력과 구성원의 참여 수준과의 관계에 따라 분류(2) 조직유형① 강제조직② 공리조직③ 규범조직 2.5 민츠버거(Henry Minzberg)의 조직 분류 –2권, 92쪽 (1) 학교는 전문적 관..
4. 조직론 1. 조직의 의의 1.1 공식 조직과 비공식 조직 -2권 72쪽 (1) 공식 조직① 조직표, 기구표 상 조직② 공식화된 의사소통과 권한 배분(2) 비공식 조직① 특징 인간관계에 근거한 자생적 조직② 순기능㉠ 의사소통의 원활화㉡ 유익한 정보 제공㉢ 집단의 경직성 완화에 기여㉣ 집단의 안정화에 기여③ 역기능㉠ 파벌의 조성㉡ 공식조직의 목표달성 저해㉢ 왜곡된 정보의 유통 1.2 관료제(bureaucracy) -2권, 73쪽 (1) 의의① 조직 관리법 ② 대규모 조직에 적합 (2) 특징① 분업과 전문화② 권위의 위계③ 규정과 규칙 ④ 몰인정성⑤ 경력 지향(3) 순기능과 역기능 순기능특징역기능①전문성 향상 ← 분업과 전문화→ 권태감②업무의 원활한 조정 ← 권위의 위계화→ 의사소통 장애③업무의 통일성과..
3. 새로운 지도성 이론 3.1 변혁적 지도성론 –2권, 61쪽 (1) 개념구성원들과 조직이 늘 변화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촉진함으로써 개인의 행복과 조직의 발전을 동시에 추구하는 데 초점을 두는 지도성(2) 초점① 고차적인 변화를 지향② 개인의 행복과 조직 발전 도모(3) 핵심 요소 : Bass① 이상적인 완전한 영향력 ② 영감적 동기화③ 지적인 자극④ 개별적인 배려 (4)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 행위 : Leithood① 카리스마② 목적 합의③ 높은 성과 기대④ 개인적 배려⑤ 지적 자극 ⑥ 솔선수범⑦ 수시보상⑧ 구조화⑨ 문화형성 3.2 분산적 지도성 -2권, 63쪽 (1) 개념복잡한 학교의 경영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학교구성원들이 학교경영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도록 하여 학교장과 공동으로 목표..
2. 상황적 지도성론 2.1 피들러(Fiedler)의 상황적 지도성론 -2권, 56쪽 (1) 상황요소① 지도자와 구성원의 관계② 과업구조③ 지도자의 지위권력(2) 효과적 지도성① 과업지향적 지도자 ② 관계지향적 지도자 2.2 허쉬(Hersey)와 블랜차드(Blanchard)의 상황적 지도성론 -2권, 58쪽 (1) 기본입장① 상황요인 : 구성원의 성숙도 ② 지도성 행위㉠ 과업행위㉡ 관계성 행위(인화행위)③ 구성원 성숙도㉠ 직무성숙㉡ 심리적 성숙(2) 지도성 유형① 지시형(설명형)㉠ 구성원 → 낮은 동기, 낮은 능력㉡ 지도성 → 높은 과업 행위, 낮은 관계성 행위② 지도형(설득형)㉠ 구성원 → 높은 동기, 낮은 능력㉡ 지도성 → 높은 과업 행위, 높은 관계성 행위③ 지원형(참여형)㉠ 구성원 → 낮은 동기,..
3. 지도성론(리더십론) 1. 정의 1.1 정의 (1) 정의조직의 목표 달성을 위해 지도자가 구성원과의 상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1.2 발전과정특성이론리더의 특성과 자질행동이론리더의 행동상황이론리더가 처한 상황 2. 특성이론(~1940년대) 1.1 내용(1) 정의지도자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특성을 확인하려 함 1.2 카츠(R.L.katz)의 지도자에게 필요한 기술 3. 행동이론(1950~1960년대) 1.1 핼핀(Halpin)의 지도성 행위연구 (1) 개관가장 효과적인 지도성 행위에 초점을 둠 지도자의 행동을 구조성 행위와 배려성 행위로 구분하고 지도성 유형 제시 (2) 구조성과 배려성① 구조성(과업중심)② 배려성(인간관계 행위)(3) 지도성의 유형① Ⅰ 영역 ② Ⅱ 영역③ Ⅲ..
3. 경영자의 인간관 3.1 맥거리거(McGregor)의 X-Y이론 –2권, 46쪽 (1) 기본입장X와 Y의 두 가지 기본가정에 기초하여 인간 파악(2) X이론선천적으로 일을 하기 싫어한다(3) Y이론자기의 일을 수행하며 자기 통제할 수 있는 존재다. 3.2 아지리스(Argyris)의 미성숙-성숙이론 (1) 관료적 가치체제를 따르는 조직 X이론에 근거한 조직 (2) 인간적 가치체제를 따르는 조직 Y이론에 근거한 조직 인용 목차 행정 목차
2. 동기의 과정이론 2.1 블룸(Vroom)의 기대이론 -2권, 40쪽 (1) 이론의 기본 가정사람은 자신의 행동이 가져올 성과 혹은 보상에 대해 기대를 가지고 있으며 노력하여 과업을 수행하였을 때 주어진 보상의 가치가 바람직한 것으로 인식되면 동기가 더욱 강해진다고 설명한다.(2) 동기 요인① 성과기대② 보상기대③ 유인가 (3) 동기의 유발① 높은 성과 기대 ② 수단의 존재(높은 보상 기대) ③ 높은 유인가 2.2 아담스(Adams)의 공정성 이론 -2권, 43쪽 (1) 기본입장사람들은 자신이 일을 하기 위해 투입한 것과 이를 통해 얻은 성과의 비율, 즉 투입-성과의 비율을 타인의 투입-성과 비율에 비교하여 행동을 결정한다.(2) 만족과 불만족의 유발이때 자신의 투입-성과 비율과 다른 사람의 비율이 ..
2. 동기이론 1. 동기의 내용이론 1.1 매슬로우(Maslow)의 욕구계층이론(욕구단계설: need hierarchy theory) -2권, 33쪽 305쪽 (1) 기본 입장① 욕구는 위계 형성② 하위욕구 충족 시 → 상위욕구 등장 (2) 욕구의 위계① 생리적 욕구의식주에 관한 욕구에서 성적 욕구까지 아우르는 기초적 욕구② 안전욕구 생리적 욕구가 충족된 후에 나타나는 욕구로서 위험, 위협, 박탈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불안을 회피하고자 하는 욕구이다.③ 사회적 욕구인간의 사회적이고 사교적인 동료의식을 조성하기 위한 욕구로서 애정, 귀속, 우정, 사랑 등을 포함한다④ 존경욕구 자신감, 성취감, 지식, 독립심과 같은 자기존경에 대한 욕구남의 인정, 위신, 자기업적에 대한 인정 등 타인으로부터 존경받고자 하..
3. 체제이론 3.1 개방체제이론 -2권, 24쪽 (1) 체제와 개방체제 체제는 여러 부문의 통합체, 하위체제 간 상호작용, 환경과 상호작용(2) 개방체제의 특징목표지향적 활동 수행, 전체성 추구, 개방성, 균형 유지 노력(3) 체제접근과 교육행정학교경영계획 수립에 이바지 3.2 게젤(Getzels)과 구바(Guba)의 역할과 인성의 상호작용 모형 (1) 기본입장사회체제 속에서 인간이 어떠한 행동을 보이는가 연구하는 이론(2) 학교 조직의 위치① 관료제적 성격과 전문가적 자율성을 동시에 지님② 학교조직은 중간에 위치 3.3 게젤(Getzels)과 구바(Guba)의 사회과정모형 -2권, 26쪽 (1) 기본입장사회체제 속에서의 인간의 사회적 행동은 규범적 차원과 개인적 차원의 영향을 받는다고 설명함(2) 사..
2. 교육행정의 이론 2.1 고전적 관리론(1910~1930년대) -2권, 14쪽 (1) 과학적 관리론Taylor)① 기본입장 인간은 기계와 같이 수동적이고 게으른 존재라고 규정하며, 작업과정을 분석하여 근로자의 직무수행을 규격화하고 표준화하여 과학적으로 관리하면 능률과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믿는다. 따라서 과학적 관리론에 근거한 교육행정학은 과학적 원리를 도입하여 교육에서의 낭비를 제거하여 교육의 효율성을 극대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② 과학적 관리론과 교육행정학보빗(Bobbitt)은 교육행정에 과학적 관리의 원리를 도입하여 교육의 낭비를 제거하도록 주장. ③ 교육에 적용 시 문제점 첫째, 교육의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 교육의 과정은 인간의 인성 계발을 목적으로 하므로 공장에서 규격화된 제품을..
교육행정(Educational Administration, 敎育行政) 1. 교육행정의 기초 1. 교육행정의 개념과 원리 1.1 교육행정의 개념 -2권 8쪽 (1) 국가공권설(분류체계론)행정이 교육을 통제하고 지도한다는 입장(2) 기능설(조건정비설)교육이 지닌 독자성과 특수성을 인정하여 교육행정은 학교의 교육목표를 잘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봉사하는 것이라고 보는 입장이다. 교육의 독자성과 전문성을 인정하기 때문에 교육당사자의 참여에 의한 교육행정운영, 즉 민주적이고 지방분권적인 교육행정을 강조한다.(3) 경영설(협동행위설)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하나의 조직체를 구성하고, 조직체의 다양한 구성요소들 이 유기적으로 작용될 수 있도록 하는 조정활동에 초점을 둔다는 점에서 조정행정이라고도 한다. 또한 교..
교육상담(Educational Consultation, 敎育相談) 1. 생활지도 생활지도의 의의1. 생활지도의 의의 2. 생활지도의 주요 활동3. 청소년 비행이론 회복적 생활교육1. 회복적 생활교육의 의의 2. 회복적 생활교육의 단계3. 회복적 생활교육 방법의 적용 진로지도1. 진로개발역량2.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진로교육 3. 다중지능이론을 활용한 진로교육 4. 교과통합 진로교육 진로상담이론1. Parsons의 특성-요인 이론2. Roe의 욕구이론3. Holland의 성격유형론 4. Super의 발달이론 5. Krumboltz의 사회학습이론 2. 상담 상담의 기초1. 상담관계의 형성 2. 상담면접의 기법상담이론1. 인간중심 상담이론2. Ellis의 인지․정서․행동 상담이론3. Adler의 개인심리 상..
2. 상담이론 2.1 칼 로저스(Carl Rogers)의 인간중심 상담이론 -497쪽 (1) 의의인간이 본래부터 부적응 상태를 극복하고 정신적인 건강상태를 되찾을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고 보고, 내담자 스스로가 자신의 문제를 해결해나가도록 촉진해 주는 데 초점을 두는 상담이론 (2) 문제행동의 발생원인형성된 자기개념이 ‘지금-여기’에서 경험하는 것과 불일치할 때(3) 상담의 목표① 경험에 대한 수용② 가치조건에서 벗어나기 → 왜곡된 자기개념 변화③ 궁극적인 목표 → 자기실현 촉진(4) 상담 기법① 공감적 이해 ②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③ 진실성(일치성) 2.2 엘리스(Ellis)의 인지·정서·행동 상담이론 -503쪽 (1) 의의인간이 상황을 어떻게 인식하고 해석하느냐가 정서와 행동에 영향을 준다고 보..
2. 상담 1. 상담의 기초 1.1 상담관계(rapport)의 형성 -476쪽 (1) 공감적 이해① 내담자의 감정과 경험을 정확하게 이해② 내담자 자신에 대한 이해 증진(2)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① 아무런 전제나 조건 없이 내담자의 인격과 발전가능성 존중② 내담자가 감정을 있는 그대로 느끼고 표현 가능하게 도움(3) 일치성·진실성① 상담자의 감정과 생각 솔직하게 드러냄② 내담자의 진실성 촉진 역할 1.2 상담 면접의 기법 -484쪽 (1) 구조화 상담과정의 본질, 제한조건 및 방향에 대해 정의 내림.(2) 즉시성 반응 내담자와 그동안 발달시켜온 전반적인 관계를 논의하는 것.(3) 반영내담자의 메시지 속에 담겨 있는 감정 혹은 정서를 되돌려주는 것.(4) 바꾸어 말하기내담자가 진술한 내용이나 의미를 참신한..
4. 진로상담이론 4.1 파슨스(Parsons)의 특성-요인 이론 -467쪽 (1) 개관① 개인의 특성과 직무구성 요인에 관심② 개인분석, 직업분석, 과학적 조언을 통한 직업 선택 강조(2) 현명한 직업선택의 주요 요인① 개인의 특성 분석② 직업의 요인에 대한 지식③ 진로상담을 통한 특성과 요인 간의 연결 4.2 로(Roe)의 욕구이론 -468쪽 (1) 기본입장① 아동기에 형성된 욕구가 직업선택에 반영② 부모의 양육태도가 직업선택에 영향③ 직업과 기본욕구의 관련④ 흥미에 기초한 직업분류체계(2) 부모-자녀 관계와 직업 선택① 수용적 관계 ➞ 인간지향적 직업 선택② 거부적인 분위기 ➞ 인간회피적 직업 선택 4.3 홀랜드(Holland)의 성격유형론 (1) 기본입장① 6가지 성격유형 존재② 6가지 직업 환경..
3. 진로지도 3.1 진로개발역량 -462쪽 (1) 개념학생이 자기주도적으로 전 생애에 걸쳐 진로를 개발해 나가는 데 요구되는 지식, 태도, 기능을 의미한다. (2) 내용① 자기이해 및 긍정적 자아개념 형성과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역량 ② 직업세계의 이해 및 긍정적 가치·태도 형성 ③ 진로 정보 탐색·해석 활용 능력④ 진로 디자인 및 준비 능력⑤ 평생학습 참여 능력 3.2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진로교육 –463쪽 (1) 의의창의적 체험활동에서 실행하고 있는 진로활동은 학생들이 자아 이해를 바탕으로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형성하고, 일과 직업의 세계에 대해 이해하며, 건강한 직업의식의 함양과 자신의 진로를 주도적으로 탐색할 수 있도록 돕는 활동이다. (2) 진로활동의 목표긍정적 자아개념 형성 → 일과 직업의..
2. 회복적 생활교육 2.1 회복적 생활교육의 의의 -447쪽 (1) 필요성① 처벌 위주 지도의 문제점 ② 대화를 통해 공동의 해결책 모색 → 평화로운 공동체 형성 (2) 기본 원리① 회복적 대화를 할 때 지켜야 할 기본 원칙(‘나’ 대화법)② 토킹스틱과 서클 모임 ③ 회복적 생활교육을 위한 질문: 비난보다 행동 돌아보게 함 → 스스로 책임지게 함 → 공동체에 통합되게 함. 2.2 회복적 생활교육의 단계 -448쪽 (1) 평화로운 교실을 위한 준비 (2) 회복적 생활교육 운영(3) 회복적 대화모임 2.3 회복적 생활교육 방법의 적용 -448쪽 (1) 평화로운 학급분위기 조성① 우리들의 약속 학년 초 존중의 학급 문화 형성② 체크인-체크아웃 서클학급에서 평소에 존중, 친밀, 우정, 배려의 관계 형성③ 적극..
교육상담(Educational Consultation, 敎育相談) 1. 생활지도 1. 생활지도의 의의 1.1 생활지도의 의의 -442쪽 (1) 목표① 특성과 잠재력의 이해② 문제해결능력 신장③ 전인적 인성 발달(2) 원리① 치료보다 예방 중점② 처벌보다 성장 촉진③ 학생의 자율성 존중 및 계속적인 지도 1.2 생활지도의 주요 활동: 활동 기능에 따른 분류 -444쪽 (1) 조사활동학생 이해에 필요한 자료 조사, 수집활동(2) 정보(제공)활동학생의 적응, 선택 시 필요한 정보제공(3) 정치활동교과목, 특별활동 등의 선택에 도움 제공(4) 추수활동(추수지도활동)학생 적응의 개선 정도 파악 후 새로운 지도 계획 수립(5) 위탁활동비정상적 아동을 전문가에 지도 의뢰(6) 자문활동전문가의 조언이나 협조(7) 조정..
교육평가(Educational evaluation, 敎育評價) 1. 교육평가의 의의 교육평가의 개념1. 측정, 평가, 총평2. 측정관, 평가관 총평관 3. 교육관과 평가관교육평가의 모형1. 타일러의 목표성취 모형2. 스크리븐의 판단모형3. 스터플빔의 의사결정 촉진모형 2. 교육평가의 유형 참조 준거에 의한 평가 유형1. 규준지향평가2. 목표지향평가3. 성장지향평가, 능력지향평가, 노력지향평가평가 시점에 따른 분류1. 진단평가2. 형성평가3. 총괄(총합)평가 수행평가1. 수행평가의 이해 2. 수행평가의 장점과 단점3. 수행평가의 실제4. 포트폴리오법정의적 특성의 평가와 평정법1. 정의적 특성2. 평정법 3. 평가도구의 측정학적 특징 타당도1. 타당도의 의미2. 내용타당도(목표타당도)3. 준거타당도4. 구인..
교육공학(Education Technology, 敎育工學) 1. 교육공학 기초 및 이론의 발달 기초1. 교육공학의 정의이론의 발달1. 시각교육 및 시청각 교육 이론2. 벨로의 SMCR 모형 2. 교수매체 & 멀티미디어 활용 교육 교수매체1. 교수매체의 의의2. 교수매체의 기능적 특성3. 교수매체의 기능4. 교수매체의 효과성멀티미디어 활용교육1. 멀티미디어의 의의2. 멀티미디어 프로그램3. 멀티미디어 개발의 체제적 접근 인용목차 / 구조도
4. 질적연구 4.1 사례연구 -438쪽 (1) 특징① 개개 사례 ② 개별 사례의 모든 요인 조사 ③ 다양한 방법 활용④ 치료에도 활용 (2) 장단점① 개인과 집단의 총체적 이해② 유익한 교육자료 제공③ 문제해결에 도움일반화 곤란 4.2 문화기술연구 -439쪽 (1) 개관① 문화는 사회적 산물② 민속지, 민속기술연구 등으로 지칭③ 특정집단의 문화 → 그들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기술하는 방법 ④ 연구의 방법 → 참여관찰과 심층면접(2) 유용한 경우① 사전 지식이 없을 때② 소집단의 역동적 관계의 연구 및 심층적 이해③ 현상이면에 내재한 가치체계, 신념체계, 행위규칙, 적응전략 파악(3) 특징① 질적 현상학적 접근 ② 총체적 접근 ③ 참여관찰과 심층면점④ 자연스런 사회적 상황에 참여 ⑤ 사이클형 연구절차 문제..
3. 실험설계 3.1 실험설계의 의의 -433쪽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2) 진실험설계와 준실험설계 3.2 진실험설계 (1) 통제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 (2) 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3) 솔로몬 4개 집단 설계 3.3 준실험설계 방법 -436쪽 (1) 단일집단 사후검사 설계 (2) 단일집단 전후검사 설계 (3) 이질집단 사후검사 설계(4) 이질통제집단 전후검사 설계 인용 목차 평가 목차
2. 메타분석과 델파이방법 2.1 메타분석 -431쪽 (1) 의미이미 이루어져 있는 많은 수의 개별연구들을 분석하고 통합하여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결론을 도출해 내려는 연구(2) 메타분석을 요하는 상황① 단일주제의 연구에 상반된 결론이 나와 보다 타당한 대결론을 내려야 할 때② 현장에서 원자료를 수집할 여유가 없을 때③ 체계적으로 압축된 지식이나 정보가 필요할 때 2.2 델파이(Delphi) 방법 (1) 의미① 전문가 집단의 의견과 판단 추출로 합의점 도출② 전문가들이 한 곳에 모이지 않고 결론 도출③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도출(2) 실행① 동일 대상자에게 3~4회 익명이 보장된 질문을 보내 실시② 각각의 연속적인 질문은 전회의 질문결과와 함께 주어지기에 질문의 횟수가 거듭될수록 예측이 서로 접근함 문제 1..
6. 교육연구 1. 실험연구 1.1 실험연구의 의의 -424쪽 (1) 의미변인들 간의 관계를 밝혀내기 위해, 통제된 상황에서 독립변인들을 인위적으로 조작하여 그것이 종속 변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관찰하여 분석하는 방법(2) 특징① 변인의 인위적 조작② 변인들의 통제 1.2 실험연구의 내적 타당도 -426쪽 (1) 의미① 독립변인이 순수하게 영향을 미친 정도② 가외변인 통제 여부에 의해 결정(2) 저해하는 요인 ① 역사(우발적 사건)② 피험자의 성숙③ 검사 경험④ 도구사용(검사도구 효과)⑤ 통계적 회귀⑥ 피험자의 차별적 선정(피험자 선발)(3) 높이는 방법① 무선화② 가외변인을 동일하게 유지③ 가외변인을 독립변인으로 1.3 실험연구의 외적 타당도 -427쪽 (1) 의미 실험의 결과를 다른 사태에 일반..
2. 관계분석을 위한 통계 방법 2.1 상관분석 -419쪽 (1) 의미 두 변인 간에 상관이 있다는 것은 한 변인의 값이 변함에 따라 다른 한 변인의 값이 체계적으로 변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의미(2) 상관계수① 상관의 크기를 표시② -1.00 ~ +1.00의 범위③ +, -는 상관의 방향을 표시④ 상관계수의 절대치가 높을수록 높은 상관관계임 2.2 변량분석 -421쪽 (1) 의미 독립변인의 두 가지 이상의 다른 상태가 서로 다른 전집에서 나온 세 가지 이상의 표본들의 평균치 사이에 의미 있는 차이를 만들어 내는지를 검증하고자 하는 방법(2) 종류① 일원변량분석: 하나의 독립변인이 두 가지 이상의 상태를 가지는 것.② 이원변량분석: 두 개의 독립변인이 두 가지 이상의 상태를 가지는 것.③ 공변량분석: ..
5. 교육통계 1. 교육평가의 기초통계 개념 1.1 측정치 -407쪽 (1) 명명척도주민번호 남자 ‘1’과 여자 ‘2’, 우편번호(2) 서열척도시험결과에 따른 석차(3) 동간척도가감만 가능. 원점수(4) 비율척도가감승제가 가능함. 1.2 집중경향치 -409쪽 (1) 집중경향치의 의미한 집단의 특성을 측정하여 점수화했을 때 이 집단의 점수분포를 하나의 값으로 요약해주는 것(2) 중앙치(Median : Mdn)한 집단의 점수분포 상에서 전체사례를 상위반과 하위반으로 나누는 점(3) 최빈치(Mode : Mo)한 점수분포에서 가장 빈도가 높은 점수, 즉 가장 많이 나타나는 점수(4) 산술평균(Mean : M)측정치를 모두 더한 다음 그 집단의 사례 수로 나눈 것 1.3 집중경향치 간의 관계 -410쪽 (1) 관..
2. 평가문항의 제작 2.1 선택형 문항 -389쪽 (1) 의미여러 개의 선택지를 제시해 적합한 답지 선택하도록 함.(2) 종류① 진위형② 배합형③ 선다형 (3) 선택형 문항의 장단점① 채점의 객관성과 신뢰성이 높음② 문항의 내용타당성이 높음① 단순한 상기력 측정에 빠질 위험성② 추측의 요인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음(4) 선다형 문항의 장단점① 문항형식이 갖는 융통성 및 신축성이 큼② 객관성 및 신뢰성이 높음①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함② 문항제작이 어려움 2.2 서술형 문항과 논술형 문항 -391쪽 (1) 서술형 문항의 특징① 학습한 내용을 기술하는 형식 ② 논술형에 비해 짧은 길이 ③ 어느 정도 객관적인 답 (2) 논술형 문항의 특징생각과 주장을 논리적으로 표현한 것을 교사의 전문적 ..
4. 교육목표와 평가문항 제작 1. 블룸(Bloom)의 교수목표 분류 1.1 인지적 영역(cognitive domain) 교수목표 -379쪽 (1) 복잡성의 원칙‘복잡성의 원칙’에 따라 위계적 관계를 이룸(2) 위계 관계① 지식(knowledge) ② 이해(comprehension)③ 적용(application)④ 분석(analysis)⑤ 종합(synthesis)⑥ 평가(evaluation) 1.2 정의적 영역(affective domain)의 교수목표 -382쪽 (1) 인간의 마음과 관련된 특성 (2) 정의적 행동 특성① 감수(receiving)② 반응(responding)③ 가치화(valuing)④ 조직화(organization)⑤ 인격화(characterization) 1.3 심동적 영역(psych..
2. 신뢰도 2.1 신뢰도 -372쪽 (1) 개념오차 없이 정확하게(2) 타당도와의 관계① 신뢰도는 타당도의 필요조건 ② 신뢰도와 타당도의 변화(3) 추정방법① 재검사 신뢰도 한 개의 검사를 같은 집단에 실시.② 동형검사 신뢰도두 개의 동형검사를 제작하고 피험자에게 실시.③ 반분검사 신뢰도한 검사를 반절씩 나누고 두 부분의 신뢰도를 측정하는 방법④ 문항내적 합치도한 검사에 있는 문항 하나하나를 독립된 검사로 간주하고 그들 사이의 합치성ㆍ동질성ㆍ일치성을 총합하여 신뢰도를 측정하는 방법(4) 높이는 방법① 문항수를 늘림② 문항난이도가 중간 정도인 문항수를 늘림③ 문항의 범위를 좁힘 2.2 객관도 -378쪽 (1) 개념① 채점자 신뢰도② 채점자 간 신뢰도③ 채점자 내 신뢰도 (2) 논문형 검사에서 높이는 방법..
3. 평가도구의 측정학적 특징 1. 타당도 1.1 타당도의 의미 -365쪽 (1) 측정도구가 재려고 의도한 것을 어느 정도로 충실히 재고 있는지를 나타내주는 것으로, (2) ‘무엇을 재고 있느냐’는 개념으로도 이해할 수 있다. 1.2 내용타당도(목표타당도) -366쪽 (1) 문항의 대표성 또는 문항표집의 적절성으로 판단 (2) 교육목표의 충실한 측정 여부 결정에 적용(3) 논리적 분석으로 검증(4) 목표지향평가에서 더욱 중요 (5) 이원분류표의 작성 1.3 준거타당도 -367쪽 (1) 예언타당도① 미래의 행동 특성이 준거② 적성 검사에 주로 활용③ 두 검사의 상관계수로 검증(2) 공인(共因)타당도① 기존 검사와의 공통된 요인이 준거 기준② 새로운 이론이나 검사 방식 모색에 유용 1.4 구인(構因) 타당도..
4. 정의적 특성의 평가 4.1 정의적 특성 -351쪽 (1) 교사의 관찰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평가하고자 하는 정의적 특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관찰하여 이를 간략하게 기록하고 그 정도를 체크리스트에 표시한다. 이러한 관찰 결과를 학생들과 공유하면서 학생들이 지닌 정의적 특성의 강점과 약점, 그리고 약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 등을 피드백한다. (2) 자기평가평가하고자 하는 특성 목록과 평가기준에 따라 학생 스스로 평가를 하여 자신이 보이는 정의적 특성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게 하고, 이에 대해 피드백을 제공하면 학생들이 바람직한 태도와 자세 및 긍정적인 상호작용 방식을 기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3) 동료평가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동료 학생들의 태도와 자세 등에 대한 잘한 점, 배울만..
3. 수행평가(performance assessment) 3.1 수행평가의 이해 -344쪽 (1) 개념실제 상황에서의 과제 수행 과정과 결과를 관찰하여 평가(2) 유형① 과제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유형 활용② 교사와 학생이 평가의 주체 (3) 특징① 실제와 유사한 상황에서의 평가② 고차원적 사고능력에 관심(분석, 종합, 추리, 성찰)③ 과정과 결과를 함께 평가 ④ 성장과정에 대한 종합적이고 지속적인 평가 ⑤ 협업 능력 평가⑥ 정의적 특성 평가를 통한 전인 교육의 추구 ⑦ 평가에의 학생 참여 (4) 유사 용어① 참평가② 포트폴리오③ 직접평가④ 대안적 평가 3.2 수행평가의 장점과 단점 -346쪽 (1) 장점① 지식의 적용력 중시 → 미래역량 신장에 도움 ② 실제적 과제 수행 → 학습동기 촉진 ③ 창의적 문..
2. 평가시기에 의한 평가유형 2.1 진단평가(diagnostic evaluation) -334쪽 (1) 개념수업을 실시하기 전에 수업목표에 대한 선수학습의 정도와 수업목표의 성취 수준 정도 등 학습자의 특성을 파악하여 이에 맞는 수업 전략과 학습과제를 제시함으로써 학습을 극대화하기 위해 실시하는 평가(2) 요소① 선수학습 요소 습득 여부 판단 ② 학습단위 목표 혹은 교과목표의 사전 달성 여부 파악 ③ 적절한 교수법이나 대안을 제공하기 위하여 학생의 특성 파악④ 학습자의 정치(定置) 2.2 형성평가(formative evaluation) -335쪽 (1) 개념교수-학습 과정에서 학생에 관한 정보를 다각적으로 수집하여 학생의 학습개선 및 교수 전략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피드백을 제공하여 학생의 학업성..
2. 교육평가의 유형 1. 참조 준거에 의한 평가유형 1.1 규준지향평가(norm-referenced evaluation) -324쪽 (1) 개념① 상대비교평가 ② 규준: 원점수 비교 기준(2) 특징① 선발적 교육관에 토대 ② 소수의 우수자 선발에 초점 ③ 개인차 변별에 관심 ④ 평가도구의 신뢰도에 관심(3) 장점① 개인차 변별 가능② 경쟁을 통한 외적 동기 유발③ 객관적 측정 가능 (4) 문제점① 진정한 학력의 평가 곤란 ② 교수-학습의 개선 곤란 ③ 실패자 양산 ④ 지나친 경쟁 유발 → 학습자의 정서적 불안정 초래⑤ 암기위주의 교육과 선택적 교수-학습 조장 1.2 목표지향평가(criterion-referenced evaluation) -326쪽 (1) 개념① 교육목표 도달 여부 확인 ② 준거지향평가,..
2. 교육평가 모형 2.1 타일러(Tyler))의 목표성취 모형 -319쪽 (1) 평가의 목적교육프로그램의 목표가 어느 정도 달성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실시하는 것(2) 장점① 명확한 평가기준에 의한 평가 가능② 교육과정과 평가의 일관성 유지③ 교육책무성 자극 (3) 단점① 수업 중 발생하는 부수적인 결과에 대한 평가 곤란 ② 정의적 특성의 변화 평가 곤란 ③ 학습과정에서의 변화 파악 곤란 2.2 스크리븐(Scriven)의 판단모형 -321쪽 (1) 기본입장교육과정과 평가가 어떤 가치를 지니는지 판단하는 것(2) 특징① 평가의 내재적 준거와 외재적 준거에 의한 평가 ② 목표 그 자체의 가치와 질에 대한 평가 ③ 비교평가와 비비교평가(자체 내부에서의 평가)의 구별 ④ 탈목표평가의 중시: 여러 정보와 증..
교육평가(Educational evaluation, 敎育評價) 1. 교육평가의 의의 1. 교육평가의 개념 1.1 측정관, 평가관, 총평관 -313쪽 (1) 측정관(measurement)① 인간 행동특성의 불변성② 선발적 교육관에 토대③ 객관성과 신뢰성이 주된 관심(2) 평가관(evaluation)① 인간의 행동특성은 변화함 ② 발달적 교육관에 토대 ③ 내용타당도 중시 (3) 총평관(assessment)① 환경과 개인의 역동적 관계에서 변화하는 특성 ② 인본주의적 교육관에 토대 ③ 관찰, 면접, 구술 등의 방법을 통해 얻은 자료를 가지고 평가하는 검사관 구분측정관평가관총평관의미일정한 규칙에 따라 어떤 대상의 속성에 수치를 부여하는 것 ⇨학습자의 특성을 양적으로 표현하는 과정학습자의 변화를 알아보는 것 ⇨교..
3. 교수매체 3.1 교수매체의 의의 –281쪽 (1) 개념① 협의의 개념: 학습의 보조자료② 광의의 개념: 교수목표 달성을 위해 사용된 모든 자원.(2) 속성① 상징적 속성 ② 내용적 속성③ 기술적 속성④ 상황적 속성 3.2 교수매체의 기능적 특성 -281쪽 (1) 고정성(2) 조작성(3) 확충성 3.3 교수매체의 기능 (1) 매개적 보조기능① 수업의 표준화② 원활한 의사소통③ 흥미유발④ 능률적인 수업진행(2) 정보전달기능① 시·공간을 초월한 정보의 전달② 정보의 특성을 고려한 전달(3) 학습경험 구성 기능매체(피아노, 컴퓨터, 사진기) 자체가 학습경험 (4) 교수기능① 학습자의 지적 기능 개발② 원활한 지적 활동의 조장 3.4 교수매체의 효과성 연구 -284쪽 (1) 교수매체의 비교연구① 연구의 초점..
교육공학(Education Technology, 敎育工學) 1. 교육공학 기초 1.1 정의 -270쪽 미국교육공학회(AECT)의 1994년 정의학습을 위한 과정과 자원의 설계, 개발, 활용, 관리 및 평가에 관한 이론과 실제 2. 이론의 발달 2.1 시각교육 및 시청각 교육 이론 -274쪽 (1) 호반(Hoban)의 시각교육 이론① 실제를 보여주는 정도 → 시각 자료 분류② 시각 자료 → 흥미 유발 및 추상적 개념 학습 보조물③ 시각자료와 추상적 개념 연결하여 제시 → 지적 경험의 일반화 추구(2) 데일((Dale)의 시청각교육 이론① 경험의 원추 ② 학습 유형의 구분 ③ 브루너의 세 가지 지식의 표상 양식과 일치④ 구체적인 것에서 추상적인 것으로의 개념형성을 강조 ⑤ ‘관찰에 의한 경험’의 중요성 강조..
교수학습(Instruction-Learning, 敎授學習) 1. 교수의 기초 교수학습의 이해1. 교수의 기초2. 교수목표와 수업목표3. 수업목표(행동목표)의 진술 방식 4. 라이겔루스의 처방적 교수이론 2. 전통적 교수이론 및 모형 캐롤, 스키너의 교수이론1. 캐롤의 학교학습 모형2. 스키너의 프로그램 학습 이론 개별화 교수이론1. 적성처치 상호작용 모형(ATI)2. 개별화 교수체제(PSI) 오수벨의유의미 교수이론1. 이론의 개관 2. 유의미 학습의 조건3. 유의미한 학습의 인지과정4. 선행조직자5. 유의미 교수의 원리6. 유의미 교수·학습 모형(유의미 교수의 단계) 7. 유의미 교수법의 장점 및 문제점과 그 보완책가네의 교수이론1. 가네의 학습이론2. 학습의 다섯 가지 영역 3. 9가지 수업사태켈러의 ..
2. 체제적 교수설계 모형 2.1 실즈와 리치(Seels & Richy)의 ADDIE 모형 -261쪽 (1) 분석① 요구분석② 학습자 분석③ 환경 분석④ 직무 및 과제 분석 (2) 설계① 수행(수업)목표 명세화② 평가도구 개발③ 학습내용의 계열화 ④ 교수전략과 교수 매체 선정 (3) 개발① 교수-학습 자료 개발 ② 형성평가를 통한 교수-학습자료 수정·보완③ 프로그램 제작 (4) 실행① 교수프로그램의 현장 적용 ② 프로그램 질 관리 ③ 지원체제 강구 (5) 평가① 총괄평가 실시 ② 교수프로그램의 효율성 평가 2.2 딕과 캐리(W.Dick, L. carey & J. carey)의 교수설계 모형 -263쪽 (1) 교수목표 규명을 위한 요구분석① 개념바람직한 수준과 학생의 실제 수행 수준과의 차이를 분석하여 문..
5. 체제적 교수 설계 1. 체제적 교수설계의 의의 1.1 체제적 교수설계 -258쪽 (1) 의의교수와 관련된 요소인 교수목표, 학습과제, 학습자의 특성, 교수전략 등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보다 효율적인 교수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실시.(2) 필요성① 교수-학습 효과의 극대화 ② 수업진행 효율성 증진 ③ 학생들의 학습동기 증진 ④ 교수목표, 교수방법, 평가의 일관성 유지 (3) 특징① 문제 해결 지향적 ② 총제적인 접근③ 맥락 중시④ 가치지향적 문제 71번 / 인용 목차 교수 목차
5. 인터넷 활용 수업 5.1 웹기반 프로젝트 -246쪽 (1) 개념① 소집단 협동학습과 인터넷의 결합 ② 학습자 간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한 공동의 학습목표 성취 (2) 장점① 풍부한 학습 환경 제공 ② 상호작용의 양과 질 확대 ③ 소극적‧내성적 학습자들의 능동적 학습 참여 유도④ 다양한 산출물 가능 (3) 관련 학습 이론① 자원기반학습② 상황학습③ 문제중심학습 5.2 웹퀘스트(Webquest) -250쪽 (1) 특징①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의 일종 ② 교사의 지시와 안내에 기초한 수업 ③ 실생활과 관련된 과제 제공 ④ 협동학습으로 진행 (2) 구성 요소① 소개(instruction)학습자들에게 무엇을 학습하게 될지를 소개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학습자들의 흥미를 일으킴- 학습내용과 관련된 배경을 제시하되, ..
4. 발견학습, 탐구수업 4.1 브루너의 발견학습 -238쪽 (1) 의의교사가 구체적 사례 제시 → 학생들이 귀납적 추론으로 개념과 원리 발견 → 추출해내는 탐구방법 습득(2) 특징① 구체적 사례 제시 → 지식의 구조 발견 ② 적절한 불확실성이 있는 문제의 제시 ③ 비계설정을 활용 ④ 내적 보상을 통한 동기 유발(3) 절차① 문제 파악 단계② 자료 제시 및 관찰 탐색 단계 ③ 자료 추가 제시 및 관찰 탐색 단계 ④ 규칙성 발견 및 개념 정리 단계⑤ 적용 및 응용 단계 (4) 장점① 지식의 파지력과 전이력을 증진② 고등정신능력의 증진을 촉진③ 발견의 기쁨 → 학습자의 내적 동기 강화(5) 문제점① 방만한 수업이 될 위험② 학습의 경제성 저하(6) 교사의 역할① 다양한 자료 준비② 학습자와 함께 탐구하는 역..
3. 문제해결학습, 프로젝트 학습 3.1 문제해결학습 -233쪽 (1) 듀이(John Dewey)의 문제해결① 문제의 상황 인식 단계 ② 문제의 확인 단계③ 가설의 설정 단계 ④ 가설의 결과에 대한 예측 단계 ⑤ 결과에 대한 검증 단계 (2) 문제해결 단계① 문제 확인② 정보 수집 ③ 문제 해결 계획 및 계획 실행 ④ 결과에 대한 평가 및 수정 3.2 프로젝트 학습(project method) -233쪽 (1) 개관킬 패트릭(Kilpatrick)이 듀이가 실험학교에서 도입한 문제해결학습을 발전시킨 것.(2) 의의학생들 스스로 실제적인 과제를 선정하고 완성하기 위해 협동하고 탐구하여 발표하도록 함.(3) 준비 단계에서 교사가 할 일① 국가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학교 교육목표 분석 → 주제 추출② 교육과정 ..
2. 협동학습 2.1 협동학습 의의 -213쪽 (1) 개념소집단 공동의 목표 성취를 위해 동료들과 긍정적으로 상호작용하면서 함께 학습하는 수업방법.(2) 원리① 긍정적 상호의존성: 과제분담하고 집단 보상을 하여 동료교수함.② 개별책무성③ 대면적 상호작용④ 사회적 기술: 경청하고 긍정적 피드백을 해주는 것.⑤ 집단 과정: 성찰과정(잘한 점, 개선할 점)(3) 효과① 학업성취의 향상② 고등정신능력의 증진③ 학습동기의 촉진④ 사회적 기능의 발달⑤ 자아실현의 경험 (4) 문제점① 잘못 이해한 내용이 굳어질 위험성② 집단 응집성이 더 강조될 가능성 ③ 능력이 떨어지는 학생의 모멸감 초래 가능성 ④ 부익부 빈익빈 현상 ⑤ 무임승차 효과⑥ 봉 효과(5) 향상기법① 청취기술 훈련㉠ 말 바꾸어 진술하기㉡ 3단계 면담㉢ ..
4. 학습자 중심 교수 모형 1. 토의ㆍ토론 수업 -207쪽 (1) 의미① 토의: 주제에 대한 다양한 의견 교환 후 합의도출.② 토론: 찬반토론으로 설득하려는 것. (2) 장점① 학습의 심층적 내면화② 고차원적 사고기능의 습득③ 배려와 존중의 태도 및 자세 신장 ④ 협업 능력의 신장(3) 단점① 많은 시간의 소요 ② 참여인원의 제한 ③ 지식의 체계적인 학습이 곤란 ④ 학습자의 이탈 초래 위험성 ⑤ 무의미한 결과의 초래 위험성 존재 (4) 교사의 역할① 안내자② 촉진자③ 조정자④ 요약정리자(5) 유형① 원탁토의상호협력으로 문제해결② 배심토의다른 견해 가진 대표(4~6명) 간의 토의, 나머진 지켜보다가 질문.③ 공개토의 ④ 대담토의전문가와 학습자 사이 토의⑤ 단상토의특정 주제에 대한 전문가 발표 → 토의진행..
3. 학습자 중심: 구성주의 1. 구성주의 교수이론 1.1 구성주의 교수이론 -176쪽 (1) 학습의 의의개인의 주관적인 경험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의미를 구성해가는 과정(2) 교수설계의 원리① 학습자 중심의 학습 환경 설계② 맥락(상황) 제공 ③ 실제적 과제 제시 ④ 학습 + 협력학습 기회 제공 ⑤ 개방형 질문 사용 (3) 교사의 역할① 학습조력자 ② 학습촉진자③ 동료학습자 및 모델의 역할 (4) 평가 원리(수행평가)① 이해를 점검하고 수정할 수 있는 피드백 제공 ② 문제해결과정에서의 평가 ③ 과정 중심의 평가 ④ 다양한 관점을 반영한 평가 1.2 인지적 도제교수법(Cognitive Apprenticeship) -182쪽 (1) 특징지식은 사회집단에의 참여를 통해 구성, 전문가와 학생의 협력, 지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