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산문놀이터/중국 (398)
건빵이랑 놀자
當勝而反敗하고 當安而倒危하며 變亡而爲存하고 化小而成大가 在覆掌之間耳라 何可不畏而重之乎아近事甚明이라 足以爲鑑이니 往歲爲天下所患하여 咸謂除之則可致昇平者는 李正己李寶臣梁崇義田悅이 是也注요往歲爲國家所信하여 咸謂任之則可除禍亂者가 朱滔李希烈이 是也注러니
銘金人云:“無多言, 多言多敗;無多事, 多事多患。” 至哉斯戒也!能走者奪其翼, 善飛者減其指, 有角者無上齒, 豐後者無前足, 蓋天道不使物有兼焉也。古人云:“多爲少善, 不如執一;鼫鼠五能, 不成伎術。”近世有兩人, 朗悟士也, 性多營綜, 略無成名,經不足以待問, 史不足以討論, 文章無可傳於集錄, 書跡未堪以留愛翫,卜筮射六得三, 醫藥治十差五, 音樂在數十人下, 弓矢在千百人中,天文、畫繪、棋博、鮮卑語、胡書, 煎胡桃油, 鍊錫爲銀, 如此之類, 略得梗槪, 皆不通熟。惜乎! 以彼神明, 若省其異端, 當精妙也
후토에 제사 지낸 후 잔치를 열며 감회에 젖다추풍사(秋風辭) 한무제(漢武帝) 休齋云: “詩變而爲騷, 騷變而爲辭, 皆可歌也. 辭則兼詩騷之聲而尤簡邃焉者.” 漢武帝因祠后土於汾陰, 作「秋風辭」一章, 凡三易韻, 其節短, 其聲哀, 此辭之權輿乎. 上行幸河東, 祠后土, 顧視帝京欣然, 中流與群臣飮燕. 上歡甚, 乃自作「秋風辭」曰: “秋風起兮白雲飛, 草木黃落兮鷹南歸. 蘭有秀兮菊有芳. 懷佳人兮不能忘. 泛樓船兮濟汾河, 橫中流兮揚素波. 簫鼓鳴兮發棹歌, 歡樂極兮哀情多. 少壯幾時兮奈老何.” 해석休齋云: “詩變而爲騷, 휴재가 말했다. “시가 변하여 소(騷)가 되었고 騷變而爲辭, 皆可歌也. 소(騷)가 변하여 사(辭)가 되었으니 모두 노래이다. 辭則兼詩騷之聲而尤簡邃焉者.” 사(辭)라는 것은 시(詩)와 소(騷)의 소리를 겸하였으니 더욱 간..
진시황제가 객경을 쫓아내기로 한 것에 대해 올리는 글상진황축객서(上秦皇逐客書) 이사(李斯) 解題. 문장력은 있지만 이사의 어긋난 행적 迂齋云: “此, 先秦古書也. 中間再三節, 一反一覆, 一起一伏, 略加轉換數介字. 而精神愈出, 意思愈明, 無限曲折變態, 誰謂文章之妙不在虛字助詞乎.” ○ 秦始皇十年, 宗室大臣, 議曰: “諸侯人來仕者, 皆爲其主遊間耳, 宜一切逐之.” 客卿楚人李斯亦在逐中. 行且上此書, 乃召斯, 復其官, 除逐客之令. 此篇, 反覆言客之有功於秦, 援秦旣往之明効, 以爲事實, 而擧輕明重, 卽珍寶服玩聲色之事以證之, 文亦奇矣. 斯謂: “客何負於秦?” 然秦卒相斯, 斯乃附趙高, 殺扶蘇, 立胡亥, 卒使秦喪天下. 是秦無負於客而客眞有負於秦, 大矣. 且韓非亦客于秦耳, 秦王, 悅之未用. 斯乃譖之, 以爲非終於爲韓計, 不爲秦也..
2. 인재만 유독 내국인을 따지는데 그래선 안 된다 이사(李斯) 음악도 타국의 것이라도 좋은 것은 가리지 않았다夫擊甕叩缶, 彈箏搏髀而歌呼嗚嗚, 快耳目者, 眞秦之聲也. 鄭衛桑間, 昭虞象武者, 異國之樂也. 今棄擊壅叩缶而就鄭衛, 退彈箏而取昭虞, 若是者何也? 快意當前, 適觀而已矣. 타국의 것이라도 좋은 보물을 쓰듯, 인재에 상관없이 써야 한다今取人則不然. 不問可否, 不論曲直, 非秦者去, 爲客者逐. 然則是所重者, 在乎色樂珠玉, 而所輕者, 在乎人民也, 此非所以跨海內制諸侯之術也. 臣聞地廣者粟多, 國大多者人衆, 兵强則士勇, 是以泰山不辭土壤, 故能成其大; 河海不擇細流, 故能就其深; 王者不郤衆庶, 故能明其德. 是以地無四方, 民無異國, 四時充美, 鬼神降福, 此五帝三王之所以無敵也. 今乃棄黔首以資敵國, 郤賓客以業諸侯, 使天下之..
1. 선왕들은 출신에 상관없이 등용했고 타국의 좋은 것들도 사용해왔다 이사(李斯) 역대로 진나라를 부강하게 만든 임금들은 출신에 상관없이 인재를 등용했다臣聞吏議逐客, 竊以爲過矣. 昔者繆公求士, 西取由余於戎, 東得百里奚於宛, 迎蹇叔於宋, 來邳豹ㆍ公孫支於晉, 此五子者, 不産於秦. 而繆公用之, 幷國二十, 遂覇西戎. 孝公用商鞅之法, 移風易俗, 民以殷盛, 國以富强, 百姓樂用, 諸侯親服, 獲楚魏之師, 擧地千里, 至今治强. 惠王用張儀之計, 拔三千之地, 西幷巴蜀, 北收上郡; 南取漢中, 包九夷, 制鄢郢, 東據成皐之險, 割膏腴之壤, 遂散六國之從, 使之西面事秦, 功施到今. 昭王得范睢, 廢穰侯, 逐華陽, 强公室, 杜私門, 蠶食諸侯, 使秦成帝業. 此四君者, 皆以客之功, 由此觀之, 客何負於秦哉. 向使四君, 郤客而不內; 疏士而不用..
解題. 문장력은 있지만 이사의 어긋난 행적 迂齋云: “此, 先秦古書也. 中間再三節, 一反一覆, 一起一伏, 略加轉換數介字. 而精神愈出, 意思愈明, 無限曲折變態, 誰謂文章之妙不在虛字助詞乎.” ○ 秦始皇十年, 宗室大臣, 議曰: “諸侯人來仕者, 皆爲其主遊間耳, 宜一切逐之.” 客卿楚人李斯亦在逐中. 行且上此書, 乃召斯, 復其官, 除逐客之令. 此篇, 反覆言客之有功於秦, 援秦旣往之明効, 以爲事實, 而擧輕明重, 卽珍寶服玩聲色之事以證之, 文亦奇矣. 斯謂: “客何負於秦?” 然秦卒相斯, 斯乃附趙高, 殺扶蘇, 立胡亥, 卒使秦喪天下. 是秦無負於客而客眞有負於秦, 大矣. 且韓非亦客于秦耳, 秦王, 悅之未用. 斯乃譖之, 以爲非終於爲韓計, 不爲秦也. 己以客逐, 則以書爭之, 非以客來, 則以讒殺之, 斯眞傾險不忠之人哉. 或曰: “今選古文, 卽..
홀로 고상할 것인가? 진흙탕 속에 뒹굴며 어울릴 것인가? 어부사(漁父辭) 굴원(屈原) 此篇, 乃屈原所作. 漁父, 盖亦當時隱遁之士. 或曰: “亦原之設詞耳.” ○ 迂齋云: “漁父, 盖古巢ㆍ由之流, 荷蕢丈人之屬.” 或曰: “亦原託之也.” 屈原旣放, 游於江潭, 行吟澤畔. 顔色憔悴, 形容枯槁. 漁父見而問之曰: “子非三閭大夫與. 何故至於斯?” 屈原曰: “擧世皆濁, 我獨淸. 衆人皆醉, 我獨醒. 是以見放.” 漁父曰: “聖人不凝滯於物, 而能與世推移. 世人皆濁, 何不淈其泥而揚其波. 衆人皆醉, 何不餔其糟而歠其醨. 何故深思高擧, 自令放爲.” 屈原曰: “吾聞之. 新沐者必彈冠, 新浴者必振衣. 安能以身之察察, 受物之汶汶者乎. 寧赴湘流葬於江魚之腹中, 安能以皓皓之白, 而蒙世俗之塵埃乎.” 漁父莞爾而笑, 鼓枻而去. 乃歌曰: “滄浪之水淸兮..
193. 형설지공(螢雪之功) 공부하려면 이들처럼 『孫氏世錄』曰: “康家貧無油, 常映雪讀書. 少小淸介, 交遊不雜, 後至御史大夫.” 晉車胤字武子, 南平人. 恭勤不倦, 博覽多通. 家貧, 不常得油. 夏月以練囊, 盛數十螢火, 以照書, 以夜繼日焉. 桓溫在荊州, 辟爲從事, 以辯識義理, 深重之. 稍遷征西長史, 遂顯於朝廷. 時武子與吳隱之, 以寒素博學, 知名于世, 又善於賞會, 當時每有盛坐, 而武子不在, 皆云: “無車公, 不樂.” 終吏部尙書. 해석 『孫氏世錄』曰: “康家貧無油, 常映雪讀書. 『손씨세보』에서 말했다. “손강(孫康)은 집이 가난해 기름이 없어 항상 눈에 비춰 독서했다. 少小淸介, 交遊不雜, 소시적 청렴한 절개로 교유함에 아무나 사귀지 않아 後至御史大夫.” 훗날에 어사대부에 이르렀다.” 晉車胤字武子, 南平人. 진..
남에게 베푼 음덕이 자신에게 돌아오네숙오음덕(叔敖陰德) 『賈誼新書』曰. 孫叔敖爲嬰兒, 出遊而還, 憂而不食. 其母問其故, 泣而對曰: “今日吾見兩頭蛇, 恐去死無日矣.” 母曰: “今蛇安在?” 曰: “吾聞見兩頭蛇者死. 吾恐他人又見, 已埋之矣.” 母曰: “無憂. 汝不死. 吾聞之, 有陰德者, 天報以福.” 人聞之, 皆喩其爲仁也. 及令尹, 未治而國人信之.『列女傳』曰: “有陰德者陽報之. 德勝不祥, 仁除百禍. 天之處高聽卑, 爾必興於楚.” 及長爲令尹, 老終. 해석『賈誼新書』曰. 한나라 가의 쓴 『가의신서』에 실린 내용이다. 孫叔敖爲嬰兒, 出遊而還, 憂而不食. 숙손오가 어렸을 적에 나가서 놀다가 돌아왔는데 걱정하며 밥을 먹질 않았다. 其母問其故, 泣而對曰: 어머니가 까닭을 물으니 울면서 대답했다. “今日吾見兩頭蛇, 恐去死無日..
회서를 평정한 기념비에 쓴 명문평회서비(平准西碑) 한유(韓愈) 解說 1. 억양기복함에 법도가 있는 글 迂齋曰: “布置回護, 叙事有法.” 又云: “看他抑揚起伏鋪張回護布置收拾之法, 當與「元和聖德」詩並看.” 解說 2. 한유가 지은 명문과 단문창이 지은 비문의 차이 ○ 唐自安ㆍ史亂後, 藩鎭跋扈, 累代姑息, 養成叛逆. 父死子繼, 否則備裨繼, 匪由朝命, 要求節鉞, 一纔不從, 反叛繼. 憲宗立發憤, 欲張已墜之網, 亦旣平夏蜀澤潞諸鎭矣. 淮蔡節度吳少誠死, 子元濟自立, 請不許. 遂反, 朝臣中, 惟武元衡ㆍ裴度, 請討之. 兵連未捷, 元衡死於刺客, 度傷, 幸不死. 俱請罷兵, 惟度贊上, 終討之. 度除淮西節度使, 奏請韓公爲行軍司馬, 卒平蔡還朝, 詔公撰碑. 公以蔡平, 由度固上意, 多歸功焉, 度功所以成, 又由上意之明且斷, 當矣. 李愬自..
회서를 평정한 기념비에 쓴 명문평회서비(平准西碑) 한유(韓愈) 6. 銘文③ 채주의 반란을 제압하고 백성들을 굽어 살피다 蔡人卒夫, 投甲呼舞, 蔡之婦女, 迎門笑語. 蔡人告飢, 船粟往哺, 蔡人告寒, 賜以繒布. 始時蔡人, 禁不往來, 今相從戱, 里門夜開, 始時蔡人, 進戰退戮, 今旰而起, 左餐右粥. 爲之擇人, 以收餘憊. 選吏賜牛, 敎而不稅. 蔡人有言, 始迷不知, 今乃大覺, 羞前之爲. 蔡人有言, 天子明聖, 不順族誅, 順保性命. 汝不吾信, 視此蔡方, 孰爲不順, 往斧其吭. 凡叛有數, 聲勢相倚. 吾强不支, 汝弱奚恃. 其告而長, 而父而兄, 奔走偕來, 同我太平. 淮蔡爲亂, 天子伐之, 旣伐而飢, 天子活之. 始議伐蔡, 卿士莫隨, 旣伐四年, 小大幷疑, 不赦不疑, 由天子明. 凡此蔡功, 惟斷乃成. 旣定淮蔡, 四夷畢來. 遂開明堂, 坐..
회서를 평정한 기념비에 쓴 명문평회서비(平准西碑) 한유(韓愈) 5. 銘文② 반란 제압과정 帝爲不聞, 與神爲謀, 乃相同德, 以訖天誅. 乃勅顔胤, 愬武古通, 咸統於弘, 各奏汝功. 三方分攻, 五萬其師, 大軍北乘, 厥數倍之. 嘗兵洄曲, 軍士蠢蠢. 旣翦陵雲, 蔡卒大窘, 勝之邵陵, 郾城來降. 自夏及秋, 複屯相望, 兵頓不勵, 告功不時, 帝哀征夫, 命相往釐, 士飽而歌, 馬騰於槽. 試之新城, 賊遇敗逃. 盡抽其有, 聚以防我, 西師躍入, 道無留者. 頟頟蔡城, 其疆千里, 旣入而有, 莫不順俟. 帝有恩言, 相度來宣, 誅止其魁, 釋其下人. 해석帝爲不聞 與神爲謀황제께서 신하들의 말 듣지 않으시고 신과 도모하여乃相同德 以訖天誅곧 서로 덕을 함께하여 하늘의 토벌을 마치셨습니다. 乃勅顔胤 愬武古通이에 이광안(李光顔)ㆍ오중윤(烏重胤)ㆍ이소..
회서를 평정한 기념비에 쓴 명문평회서비(平准西碑) 한유(韓愈) 4. 銘文① 반란을 제압한 네 명의 임금과 채주의 반란 曰: “唐承天命, 遂臣萬方, 孰居根土, 襲盜以狂. 往在玄宗, 崇極而圮. 河北悍驕, 河南附起, 四聖不宥, 屢興師征, 有不能克, 益戍以兵. 夫耕不食, 婦織不裳, 輸之以車, 爲卒賜糧. 外多失朝, 曠不嶽狩, 百隷怠官, 事亡其舊. 帝時繼位, 顧膽咨嗟, 惟汝文武, 孰恤予家. 旣斬吳蜀, 旋取山東, 魏將首義, 六州降從. 淮蔡不順, 自以爲强. 提兵叫讙, 欲事故常, 始命討之, 遂連姦鄰, 陰遣刺客, 來賊相臣. 方戰未利, 內驚京師, 群公上言, 莫若惠來. 해석唐承天命 遂臣萬方당나라가 천명(天命)을 받들어 마침내 만방을 신하로 삼으니孰居根土 襲盜以狂누가 가까운 땅에 살며 습격하고 도둑질하는 미친 짓 하리오.往在玄..
회서를 평정한 기념비에 쓴 명문 평회서비(平准西碑) 한유(韓愈) 3. 碑文③ 전공(戰功)에 대한 포상 전공에 대한 논의 冊功, 弘加侍中, 愬爲左僕射, 帥山南東道, 顔ㆍ胤皆加司空, 公武以散騎常侍, 帥鄜坊舟延, 道古進大夫, 文通加散騎常侍. 丞相度朝京師, 進封晉國公, 進階金紫光祿大夫, 以舊官相, 而以其副摠, 爲工部尙書, 領蔡任. 비문을 짓게 된 이유 旣還奏, 群臣請紀聖功, 被之金石. 皇帝以命臣愈, 臣愈再拜稽首而獻文. 해석 전공에 대한 논의 冊功, 弘加侍中, 공을 책에 기록할 때 한홍(韓弘)은 시중으로 올리고 愬爲左僕射, 帥山南東道, 이소(李愬)는 좌복야(左僕射)로 삼아 산남동도를 통솔하며 顔ㆍ胤皆加司空, 이광안(李光顔)과 오중윤(烏重胤)은 모두 사공(司空)으로 올리고 公武以散騎常侍, 帥鄜坊舟延, 이공무(李公武..
회서를 평정한 기념비에 쓴 명문 평회서비(平准西碑) 한유(韓愈) 2. 碑文② 신하들에게 명해 반란을 제압하다 각 신하들에게 내린 분부 皇帝曰: “惟天惟祖宗, 所以付任予者, 庶其在此, 予何敢不力. 況一二臣同, 不爲無助. 曰: ‘光顔, 汝爲陳許帥, 維是河東魏博郃陽三軍之在行者, 汝皆將之.’ 曰: ‘重胤, 汝故有河陽懷, 今益以汝, 維是朔方義成陝益鳳翔延慶七軍之在行者, 汝皆將之.’ 曰: ‘弘, 汝以卒萬二千, 屬而子公武, 往討之.’ 曰: ‘文通, 汝守壽, 維是宣武淮南宣歙浙西四軍之行于壽者, 汝皆將之.’ 曰: ‘道古! 汝其觀察鄂岳.’ 曰: ‘愬! 汝帥唐鄧隨, 各以其兵, 進戰. 曰: ‘度! 汝長御史, 其往視師.’ 曰: ‘度! 惟汝予同, 汝遂相予, 以賞罰用命不用命.’ 曰: ‘弘! 汝其以節度, 都統諸軍.’ 曰: ‘守謙, 汝出..
회서를 평정한 기념비에 쓴 명문 평회서비(平准西碑) 한유(韓愈) 1. 碑文① 세상을 평정한 현종 때 채주(蔡州)에서 반란이 일어나다 재앙의 싹을 제거한 예성문무황제 天以唐, 克肖其德, 聖子神孫, 繼繼承承, 於千萬年, 敬戒不怠, 全付所覆, 四海九州, 罔有內外, 悉主悉臣. 高祖太宗, 旣除旣治, 高宗中睿, 休養生息, 至于玄宗, 受報收功, 極熾而豐. 物衆地大, 蘖牙其間, 肅宗代宗, 德祖順考, 以勤以容, 大慝適去, 稂莠不薅. 相臣將臣, 文恬武嬉, 習熟見聞, 以爲當然. 睿聖文武皇帝, 旣受群臣朝, 乃考圖數貢, 曰: “嗚呼, 天旣全付予有家, 今傳次在予. 予不能事事, 其何以見于郊廟?” 群臣震懾, 犇走率職. 明年平夏, 又明年平蜀, 又明年平江東, 又明年平澤潞, 遂定易定, 致魏博貝衛澶相, 無不從志. 皇帝曰: “不可究武, 予其..
회서를 평정한 기념비에 쓴 명문평회서비(平准西碑) 한유(韓愈) 解說 2. 한유가 지은 명문과 단문창이 지은 비문의 차이 ○ 唐自安ㆍ史亂後, 藩鎭跋扈, 累代姑息, 養成叛逆. 父死子繼, 否則備裨繼, 匪由朝命, 要求節鉞, 一纔不從, 反叛繼. 憲宗立發憤, 欲張已墜之網, 亦旣平夏蜀澤潞諸鎭矣. 淮蔡節度吳少誠死, 子元濟自立, 請不許. 遂反, 朝臣中, 惟武元衡ㆍ裴度, 請討之. 兵連未捷, 元衡死於刺客, 度傷, 幸不死. 俱請罷兵, 惟度贊上, 終討之. 度除淮西節度使, 奏請韓公爲行軍司馬, 卒平蔡還朝, 詔公撰碑. 公以蔡平, 由度固上意, 多歸功焉, 度功所以成, 又由上意之明且斷, 當矣. 李愬自恃奇兵入蔡擒吳功高, 其妻, 唐安公主女也. 遣入宮, 泣訴碑不實, 上命斷碑, 更詔段文昌爲之.文昌之碑, 今雖見『唐文粹』, 然委弱猥冗, 人誰目者? ..
회서를 평정한 기념비에 쓴 명문 평회서비(平准西碑) 한유(韓愈) 解說 1. 억양기복함에 법도가 있는 글 迂齋曰: “布置回護, 叙事有法.” 又云: “看他抑揚起伏鋪張回護布置收拾之法, 當與「元和聖德」詩並看.” 해석 迂齋曰: “布置回護, 叙事有法.” 우재가 “글을 펴서 두고 돌려 획득하여 일을 서술함에 법도가 있다.”라고 말했다. 又云: “看他抑揚起伏鋪張回護布置收拾之法, 또한 말했다. “다른 ‘억누르고 드날리며 일으키고 누름[抑揚起伏]’과 ‘펼쳐 늘어뜨리고 돌려 획득함[鋪張回護]’과 ‘펴서 두고 수습함[布置收拾]’을 보면 當與「元和聖德」詩並看.” 마땅히 「원화성덕」 시와 아울러 보아야 한다.” 인용 목차 전문
불자 문창대사를 전송하는 글송부도문창사서(送浮屠文暢師序) 한유(韓愈) 解說. 스님에게 척불을 얘기하다 洪容齋曰: “韓公送文暢云: ‘文暢, 浮屠也, 欲聞浮屠之說, 當自就其師而問之, 何故謁吾徒而來請也?’ 元微之「永福寺石壁記」云: ‘佛書之妙奧, 僧當爲予言, 予不當爲僧言.’ 二公之語, 可謂至當.” ○ 此篇, 告以吾聖人之道, 而欲拔之浮屠之中, 略與「原道」之說, 相表裏. 1. 스님에게 글을 써주게 된 이유 이단을 사귀어야 하는가人固有儒名而墨行者, 問其名則是, 校其行則非, 可以與之游乎? 如有墨名而儒行者, 問其名則非, 校其行則是, 可以與之游乎? 揚子雲稱: “在門墻則揮之, 在夷狄則進之.” 吾取以爲法焉. 문창에게 시를 써주것을 요청 받다文暢喜爲文章, 其周遊天下, 凡有行, 必請於搢紳先生, 以求詠謌其所志. 貞元十九年春, 將行..
불자 문창대사를 전송하는 글 송부도문창사서(送浮屠文暢師序) 한유(韓愈) 2. 스님에게 유학을 알려주는 이유 도통론을 통해 유학은 근본이 있는 학문이다 民之初生, 固若禽獸然, 聖人者立然後, 知宮居而粒食, 親親而尊尊, 生者養而死者藏. 是故道莫大乎仁義, 敎莫正乎禮樂刑政, 施之於天下, 萬物得其宜, 措之於其躬, 體安而氣平. 堯以是傳之舜, 舜以是傳之禹, 禹以是傳之湯, 湯以是傳之文ㆍ武, 文ㆍ武以是傳之周公ㆍ孔子, 書之於冊, 中國之人, 世守之, 今浮屠者, 孰爲而孰傳之邪. 성왕들이 유학의 이념으로 다스려 우린 편안히 살 수 있지 夫鳥俛以啄, 仰而四顧, 夫獸深居而簡出, 懼物之爲己害也. 猶且不脫焉, 弱之肉, 强之食, 今吾與文暢, 安居而暇食, 優游以生死, 與禽獸異者, 寧可不知其所自邪. 夫不知者, 非其人之罪也, 知而不爲之者惑也,..
불자 문창대사를 전송하는 글송부도문창사서(送浮屠文暢師序) 한유(韓愈) 1. 스님에게 글을 써주게 된 이유 이단을 사귀어야 하는가人固有儒名而墨行者, 問其名則是, 校其行則非, 可以與之游乎? 如有墨名而儒行者, 問其名則非, 校其行則是, 可以與之游乎? 揚子雲稱: “在門墻則揮之, 在夷狄則進之.” 吾取以爲法焉. 문창에게 시를 써주것을 요청 받다文暢喜爲文章, 其周遊天下, 凡有行, 必請於搢紳先生, 以求詠謌其所志. 貞元十九年春, 將行東南, 柳君宗元, 爲之請作詩. 解其裝, 得所得叙詩累百餘篇, 非至篤好, 其何能致多如是邪. 惜其無以聖人之道告之者, 而徒擧浮屠之說, 贈焉. 스님에게 유학을 알려주다夫文暢浮屠也, 如欲聞浮屠之說, 當自就其師而問之, 何故, 謁吾徒而來請也? 彼見吾君臣父子之懿, 文物禮樂之盛, 其心必有慕焉, 拘其法而未能入. ..
불자 문창대사를 전송하는 글송부도문창사서(送浮屠文暢師序) 한유(韓愈) 解說. 스님에게 척불을 얘기하다 洪容齋曰: “韓公送文暢云: ‘文暢, 浮屠也, 欲聞浮屠之說, 當自就其師而問之, 何故謁吾徒而來請也?’ 元微之「永福寺石壁記」云: ‘佛書之妙奧, 僧當爲予言, 予不當爲僧言.’ 二公之語, 可謂至當.” ○ 此篇, 告以吾聖人之道, 而欲拔之浮屠之中, 略與「原道」之說, 相表裏. 해석洪容齋曰: “韓公送文暢云: 홍용재가 말했다. “한유가 문창을 전송하며 서(序)에서 말했다. ‘文暢, 浮屠也, 欲聞浮屠之說, ‘문창은 스님이니 불교의 말을 듣고자 한다면 當自就其師而問之, 마땅히 스스로 스승에게 나가 물어야지 何故謁吾徒而來請也?’ 어떤 이유로 우리들을 뵈러 와서 청하는가?’ 元微之「永福寺石壁記」云: 미지 원진(元稹)의 「영복사 석..
상서 맹간(孟簡)에게 준 편지여맹간상서서(與孟簡尙書書) 한유(韓愈) 解說. 한유는 촤천 당하자 척불(斥佛)에서 숭불(崇佛)로 바뀌었을까? 唐憲宗, 自鳳翔, 迎佛骨入宮, 韓公上表, 乞以此骨投之水火, 因此得罪, 貶守潮州. 州有僧, 號太顚, 公召與之遊, 及自潮移袁州, 又留衣贈別. 故人傳: ‘公因攻佛遭貶, 信奉釋氏.’ 孟簡者, 孟郊之從叔也. 以書問此事, 故公答書, 力辨之. 朱文公考異中, 有一段議論, 甚妙, 今載于後. ○ 樓迂齋曰: “出脫孟子, 是自出脫, 推尊孟子, 亦是自推尊, 文字抑揚, 此篇須看大開闔.” ○ 愚謂攘斥佛老, 乃公平生大節, 公文字及此者, 「答張籍書」最先, 「原道」次之, 「佛骨表」又次之, 此書最後作者也. 1. 스님과의 인연만 있을 뿐, 불교는 신봉치 않습니다 구구하게 스님과의 인연을 해명하다蒙惠書云,..
상서 맹간(孟簡)에게 준 편지여맹간상서서(與孟簡尙書書) 한유(韓愈) 2. 맹자의 공로와 맹자를 따르려는 나 맹자의 공로揚子雲曰: “古者楊墨塞路, 孟子辭而闢之廓如也.” 夫楊墨行, 王道廢, 且將數百年, 以至於秦, 卒滅先王之法, 燒除經書, 坑殺學士, 天下遂大亂. 及秦滅漢興, 且百年尙未知修明先王之道, 其後始除挾書之律, 稍求亡書, 招學士, 經雖少得, 尙皆殘缺, 十亡二三. 故學士多老死, 新者不見全經, 不能盡知先王之事, 各以所見爲守, 分離乖隔, 不合不公, 二帝三王群聖人之道, 於是大壞. 後之學者, 無所尋逐, 以至于今泯泯也, 其禍出於楊墨肆行而莫之禁故也. 孟子雖聖賢, 不得位, 空言無施, 雖切何補. 然賴其言, 而今學者尙知宗孔氏, 崇仁義, 貴王賤覇而已. 其大經大法, 皆亡滅而不救, 壞爛而不收, 所謂存十一於千百, 安在其能廓如也?..
상서 맹간(孟簡)에게 준 편지여맹간상서서(與孟簡尙書書) 한유(韓愈) 1. 스님과의 인연만 있을 뿐, 불교는 신봉치 않습니다 구구하게 스님과의 인연을 해명하다蒙惠書云, 有人傳愈近少奉釋氏者妄也. 潮州時有一老僧號太顚, 頗聰明識道理, 遠地無所可與語者. 故自山召至州郭, 留十數日. 實能外形骸, 以理自勝, 不爲事物侵亂, 與之語, 雖不盡解, 要自胸中, 無滯礙, 以爲難得, 因與往來. 及祭神至海上, 遂造其廬, 及來袁州, 留衣服爲別, 乃人之情, 非崇信其法, 求福田利益也. 불교는 근거가 없는 것인데 신봉한다뇨孔子云: “丘之禱久矣.” 凡君子行己立身, 自有法度, 聖賢事業, 具在方冊, 可效可師. 仰不愧天, 俯不愧人, 內不愧心, 積善積惡, 殃慶自各以其類至, 何有去聖人之道, 捨先王之法, 而從夷狄之敎, 以求福利也? 『詩』不云乎. “愷悌..
상서 맹간(孟簡)에게 준 편지여맹간상서서(與孟簡尙書書) 한유(韓愈) 解說. 한유는 촤천 당하자 척불(斥佛)에서 숭불(崇佛)로 바뀌었을까? 唐憲宗, 自鳳翔, 迎佛骨入宮, 韓公上表, 乞以此骨投之水火, 因此得罪, 貶守潮州. 州有僧, 號太顚, 公召與之遊, 及自潮移袁州, 又留衣贈別. 故人傳: ‘公因攻佛遭貶, 信奉釋氏.’ 孟簡者, 孟郊之從叔也. 以書問此事, 故公答書, 力辨之. 朱文公考異中, 有一段議論, 甚妙, 今載于後. ○ 樓迂齋曰: “出脫孟子, 是自出脫, 推尊孟子, 亦是自推尊, 文字抑揚, 此篇須看大開闔.” ○ 愚謂攘斥佛老, 乃公平生大節, 公文字及此者, 「答張籍書」最先, 「原道」次之, 「佛骨表」又次之, 此書最後作者也. 해석唐憲宗, 自鳳翔, 迎佛骨入宮, 당헌종이 봉상으로부터 부타의 뼈를 맞이하고 궁궐로 들이려 하니 ..
진상(陳商)께 답한 편지답진상서(答陳商書) 한유(韓愈) 以明理之文, 而求仕於當世, 不投時好, 如操瑟而立於齊門, 不能投合齊王之好竽. 然君子之所守, 不隨時而爲之遷就. 愈白. 辱惠書, 語高而旨深, 三四讀, 尙不能通曉, 茫然增愧赧. 又不以其淺弊無過人智識, 且喩以所守, 幸甚. 愈敢不吐露情實. 然自識其不足補吾子所須也. 齊王好竽, 有求仕於齊者, 操瑟而往, 立王之門三年, 不得入. 叱曰: “吾瑟鼓之, 能使鬼神上下, 吾鼓瑟合軒轅氏之律呂.” 客罵之曰: “王好竽, 而子鼓瑟, 瑟雖工, 如王之不好何?” 是所謂工於瑟而不工於求齊也. 今擧進士於此世, 求祿利行道於此世, 而爲文必使一世人不好, 得無與操瑟立齊門者比歟. 文誠工, 不利於求, 求不得, 則怒且怨, 不知君子必爾爲不也. 故區區之心, 每有來訪者, 皆有意於不肖者也. 略不辭讓, 遂盡言, 惟..
복야 장봉건(張封建)에게 올린 편지 상장복야서(上張僕射書) 한유(韓愈) 할 수 없는 일을 억지로 행하게 한다면 力月一日, 愈再拜. 受牒之明日, 在使院中, 有小吏持院中故事節目十餘事, 來示愈. 其中不可者有, 自九月至明年二月之終, 皆晨入夜歸, 非有疾病事故, 輒不許出. 當時以初受命, 不敢言. 古人有言曰: “人各有能有不能.” 若此者非愈之所能也. 抑而行之, 必發狂疾, 上無以承事于公, 忘其將所以報德者, 下無以自立, 喪失其所以爲心, 夫如是, 則安得而不言. 재주에 맞게 할 수 있는 일을 있도록 해주세요 凡執事之擇於愈者, 非謂其能晨入夜歸也, 必將有以取之, 苟有以取之, 雖不晨入夜歸, 其所取者猶在也. 下之事上, 不一其事, 上之使下, 不一其事, 量力而任之, 度才而處之, 其所不能, 不强使爲. 是故爲下者不獲罪於上, 爲上者不得怨於下..
장적(張籍)에게 다시 쓴 편지중답장적서(重答張籍書) 한유(韓愈) 解說. 이 글은 「원도(原道)」와 밀접하게 관계된 글이다 張司業籍, 韓公門人也. 時初與公遊, 貽公書, 言排釋老事. 公前一書答之云: “吾子所論, 排釋老不如著書, 囂囂多言, 徒相爲訾. 若僕所見則異乎此. 化當世, 莫若口, 傳來世, 莫若書, 請待五六十然後爲之.” 又云: “吾子又譏吾與人爲無實駁雜之說, 此吾所以戱耳. 若商論, 不能下氣, 當更思而悔之.” 此書, 再答之, 不過申前書之意而加慷慨耳. 按公是時, 年未四十, 蓋未著「原道」以前文字也, 衛道之勇也, 若是, 至著「原道」時, 所見, 又進一格矣. 只觀己之道乃夫子ㆍ孟軻ㆍ揚雄所傳之道一句, 便可見, 此以揚雄與軻並稱, 彼謂軻死無傳, 荀揚, 擇不精, 語不詳, 其得失之判, 何如耶? 以其與「原道」相關, 故選以次之. 1..
장적(張籍)에게 다시 쓴 편지중답장적서(重答張籍書) 한유(韓愈) 2. 노불의 글을 쓸 시기와 남을 이기길 좋아한다는 지적에 대해 5~60살에 노불을 배척하는 글을 쓰리然觀古人, 得其時, 行其道, 則無所爲書, 爲書者, 皆所爲不得行乎今而行乎後者也. 今吾之得吾志失吾志, 未可知, 俟五六十爲之, 未失也. 天不欲使玆人有知乎, 則吾之命, 不可期, 如使玆人有知乎, 非我, 其誰哉. 其行道, 其爲書, 其化今, 其傳後, 必有在矣, 吾子其何遽戚戚於吾所爲哉. 남을 이기길 좋아한다는 지적에 대한 변前書謂吾與人商論, 不能下氣, 若好己勝者然. 雖誠有之, 抑非好己勝也, 好己之道勝也, 己之道, 乃夫子ㆍ孟軻ㆍ揚雄所傳之道也. 若不勝, 則無以爲道, 吾豈敢避是名哉. 夫子之言曰: “吾與回言, 終日不違如愚.” 則其與衆人辯也有矣. 駁雜之譏, 前書盡..
장적(張籍)에게 다시 쓴 편지중답장적서(重答張籍書) 한유(韓愈) 1. 노불을 배척하는 글을 감히 쓰지 않는 이유 예전에 구술보다 저술이 늦었던 이유吾子不以愈無似, 意欲推而納之聖賢之域, 拂其邪心, 增其所未高, 謂愈之質, 有可至於道者, 浚其源, 道其所歸, 漑其根, 將食其實, 此盛德者之所辭讓, 況於愈者哉. 抑其中, 有宜復者, 故不可遂已. 昔者聖人之作『春秋』也, 旣深其文辭矣, 然猶不敢公傳道之, 口授弟子, 至於後世然後, 其書出焉, 其所以慮患之道微矣. 홀로 저술하는 것보다 함께 하는 것의 소중함今夫二氏之所宗而事之者, 下及公卿輔相, 吾豈敢昌言排之哉. 擇其可語者, 誨之, 猶時與吾悖, 其聲譊譊, 若遂成其書, 則見而怒之者必多矣. 必且以我爲狂爲惑, 其身之不能恤, 書於吾何有. 夫子聖人也, 且曰: “自吾得子路而惡聲不入於耳.” ..
장적(張籍)에게 다시 쓴 편지중답장적서(重答張籍書) 한유(韓愈) 解說. 이 글은 「원도(原道)」와 밀접하게 관계된 글이다 張司業籍, 韓公門人也. 時初與公遊, 貽公書, 言排釋老事. 公前一書答之云: “吾子所論, 排釋老不如著書, 囂囂多言, 徒相爲訾. 若僕所見則異乎此. 化當世, 莫若口, 傳來世, 莫若書, 請待五六十然後爲之.” 又云: “吾子又譏吾與人爲無實駁雜之說, 此吾所以戱耳. 若商論, 不能下氣, 當更思而悔之.” 此書, 再答之, 不過申前書之意而加慷慨耳. 按公是時, 年未四十, 蓋未著「原道」以前文字也, 衛道之勇也, 若是, 至著「原道」時, 所見, 又進一格矣. 只觀己之道乃夫子ㆍ孟軻ㆍ揚雄所傳之道一句, 便可見, 此以揚雄與軻並稱, 彼謂軻死無傳, 荀揚, 擇不精, 語不詳, 其得失之判, 何如耶? 以其與「原道」相關, 故選以次之. 해..
대목장과 재상의 공통점재인전(梓人傳) 유자후(柳子厚) 迂齋云: “規模從『呂氏春秋』來, 但他人不曾讀, 故不能用, 此不知子厚來處耳.” ○ 此篇, 以梓人喩相業, 法度整嚴, 論議適當. 1. 대목장을 의심하다가 믿게 되다 목수를 의심하다裵封叔之第, 在光德里, 有梓人款其門, 願傭隙宇而處焉. 所職尋引規矩繩墨, 家不居礱斲之器. 問其能曰: “吾善度材, 視棟宇之制, 高深圓方短長之宜, 吾指使而群工役焉, 捨我衆莫能就一宇. 故食官府, 吾受祿三倍, 作於私家, 吾收其直大半焉.” 他日入其室, 其牀闕足, 而不能理, 曰: “將求他工.” 余甚笑之, 謂其無能而貪祿嗜貨者. 집 짓는 걸 보니 목수는 진짜였다其後京兆尹, 將飾官署, 余往過焉, 委群材, 會衆工, 或執斧斤, 或執刀鋸, 皆環立嚮之. 梓人左執引, 右執杖, 而中處焉, 量棟宇之任, 視木之能..
대목장과 재상의 공통점재인전(梓人傳) 유자후(柳子厚) 3. 재상의 직책을 인정하고 그 능력에 맡기라 도를 서로 얻게 되면 기려지는 사람相道旣得, 萬國旣理, 天下擧首而望曰: “吾相之功也.” 後之人循跡而慕曰: “彼相之才也.” 士或談殷周之理者曰: “伊傳周召.” 其百執事之勤勞, 而不得紀焉, 猶梓人自名其功而執用者不列也. 大哉. 相乎. 通是道者, 所謂相而已矣. 대목장으로 재상으로 일을 잘못하는 사례其不知體要者反此, 以恪勤爲公, 簿書爲尊, 衒能矜名, 親小勞侵衆官, 竊取六職百役之事, 听听於府庭而遺其大者遠者焉, 所謂不通是道也. 猶梓人而不知繩墨之曲直, 規矩之方圓, 尋引之短長, 姑奪衆工之斧斤刀鉅, 以佐其藝, 又不能備其工, 以至敗績用而無所成也, 不亦謬歟. 재상이 되어 군주의 요구에만 맞추어선 안 된다或曰: “彼主爲室者, 儻或..
대목장과 재상의 공통점재인전(梓人傳) 유자후(柳子厚) 2. 대목장의 일처리를 보며 재상의 일을 생각하다 대목장이 일을 맡기듯 정치에도 인사가 중요하다繼而歎曰: “彼將捨其手藝, 專其心智, 而能知體要者歟. 吾聞勞心者役人, 勞力者役於人. 彼其勞心者歟. 能者用而智者謀, 彼其智者歟. 是足爲佐天子, 相天下法矣, 物莫近乎此也. 彼爲天下者本於人, 其執役者, 爲徒隷爲鄕師里胥, 其上爲下士, 又其上爲中士爲上士, 又其上爲大夫爲卿爲公, 離而爲六職, 判而爲百役. 外薄四海, 有方伯連帥, 郡有守, 邑有宰, 皆有佐政, 其下有胥史, 又其下有嗇夫版尹, 以就役焉, 猶衆工之各有執伎, 以食力也. 대목장과 재상의 공통점彼佐天子相天下者, 擧而加焉, 指而使焉, 條其紀綱而盈縮焉, 齊其法度而整頓焉, 猶梓人之有規矩繩墨, 以定制也. 擇天下之士, 使稱其職,..
대목장과 재상의 공통점재인전(梓人傳) 유자후(柳子厚) 1. 대목장을 의심하다가 믿게 되다 迂齋云: “規模從『呂氏春秋』來, 但他人不曾讀, 故不能用, 此不知子厚來處耳.” ○ 此篇, 以梓人喩相業, 法度整嚴, 論議適當. 목수를 의심하다裵封叔之第, 在光德里, 有梓人款其門, 願傭隙宇而處焉. 所職尋引規矩繩墨, 家不居礱斲之器. 問其能曰: “吾善度材, 視棟宇之制, 高深圓方短長之宜, 吾指使而群工役焉, 捨我衆莫能就一宇. 故食官府, 吾受祿三倍, 作於私家, 吾收其直大半焉.” 他日入其室, 其牀闕足, 而不能理, 曰: “將求他工.” 余甚笑之, 謂其無能而貪祿嗜貨者. 집 짓는 걸 보니 목수는 진짜였다其後京兆尹, 將飾官署, 余往過焉, 委群材, 會衆工, 或執斧斤, 或執刀鋸, 皆環立嚮之. 梓人左執引, 右執杖, 而中處焉, 量棟宇之任, 視木之能..
사관(史官)이 된 한유에게 보낸 편지여한유논사서(與韓愈論史書) 유종원(柳宗元) 解說 1. 침착하고도 통쾌한 글 迂齋云: “掊擊辨難之體, 沈著痛快.” ○ 退之爲史官, 柳子厚ㆍ劉秀才皆勉以作史. 柳書首云: “前獲書言史事.” 退之集中, 與柳子之書不存, 所存者, 答劉秀才論史書, 今載外集. 解說 2. 사관이 될 수 없음을 알리다 ○ 云: “辱問敎, 勉以所宜務. 愚以爲, 凡史氏褒貶大法, 『春秋』已備之矣. 後之作者, 在據事跡實錄則善惡自見. 然此尙非淺陋偸惰者所能就, 況褒貶邪. 孔子聖人, 作『春秋』, 辱於魯衛陳宋齊楚, 卒不遇而死. 齊太史氏, 兄弟幾盡, 左丘明, 紀春秋時事, 以失明, 司馬遷作『史記』刑誅, 班固瘦死, 陳壽起又廢, 卒亦無所至, 王隱謗退死家, 習鑿齒無一足, 崔浩ㆍ范曄亦誅, 魏收夭絶, 宋孝王誅死, 足下所稱吳競, 亦..
사관(史官)이 된 한유에게 보낸 편지여한유논사서(與韓愈論史書) 유종원(柳宗元) 解說 3. 한유는 사관(史官)의 재능이 있기에 발탁되었다 元和八年三月乙亥, 國子博士韓愈, 遷比部郞中史館修撰. 先是, 愈數黜官, 又下遷, 乃作「進學解」以自喩, 執政覽之, 以其有史才, 故除是官. 制詞曰: “太學博士韓愈, 學術精博, 文力雄健, 立詞措意, 有班馬之風, 求之一時, 甚不易得. 加以性方道直, 介然有守, 不交勢利, 自致名望, 可使執簡, 列爲史官, 記事書法, 必無所苟, 仍遷郞位, 用示褒升.” 白居易詞也. 觀此, 豈可謂宰相苟加史職榮之邪? 해석元和八年三月乙亥, 國子博士韓愈, 원화 8년 3월 을해에 국자박사 한유가 遷比部郞中史館修撰. 비부낭중 사관수찬으로 전직되었다. 先是, 愈數黜官, 又下遷, 이에 앞서 한유는 몇 차례 관직에서 축..
사관(史官)이 된 한유에게 보낸 편지여한유논사서(與韓愈論史書) 유종원(柳宗元) 2. 핑계대고 사관의 일을 소홀히 해선 안 됩니다 나 한 사람이란 핑계로 도망갈 수 없다凡言二百年文武士多, 有誠如此者, 今退之曰: “我一人也何能明?” 則同職者又所云若是, 後來繼今者又所云若是, 人人皆曰: “我一人.” 則卒誰能紀傳之邪? 如退之但以所聞知, 孜孜不敢怠, 同職者, 後來繼今者亦各以所聞知, 孜孜不敢怠, 則庶幾不墜, 使卒有明也. 不然, 徒信人口語, 每每異辭, 日以滋久, 則所云磊磊軒天地者, 決(未)必不沈沒, 且亂雜無可考, 非有志者所忍恣也, 果有志, 豈當待人督責迫蹙然後, 爲官守邪? 사관의 일을 하려면 하고 아니면 떠나십쇼又凡鬼神事, 眇茫荒惑, 無可準, 明者所不道. 退之之智, 而猶懼於此, 今學如退之, 辭如退之, 好言論, 如退之, ..
사관(史官)이 된 한유에게 보낸 편지여한유논사서(與韓愈論史書) 유종원(柳宗元) 1. 녹봉만 받아먹는 사관이어선 안 됩니다 사관이 되어 사사롭게 붓을 휘둘러서야正月二十一日, 某頓首十八丈退之侍者. 前獲書, 言史事云, 具與劉秀才書, 及今見書槀, 私心甚不喜. 與退之往年言史事, 甚大謬, 若書中言, 退之不宜一日在館下, 安有探宰相意, 以爲苟以史筆, 榮一韓退之邪. 若果爾, 退之豈宜虛受宰相榮己, 而冒居館下近密地, 食奉養, 役使掌故, 利紙筆爲私書, 取以供子弟費. 古之志於道者, 不宜若是. 녹봉만 빌어먹는 사관이 되련지且退之以爲紀錄者有刑禍, 避不肯就尤非也. 史以名爲褒貶, 猶且恐懼不敢爲, 設使退之爲御史中丞大夫, 其褒貶成敗人愈益顯, 其宜恐懼尤大也. 則又將揚揚入臺府, 美食安坐, 行呼唱於朝廷而已邪. 在御史猶爾, 設使退之爲宰相, 生殺..
사관(史官)이 된 한유에게 보낸 편지여한유논사서(與韓愈論史書) 유종원(柳宗元) 解說 3. 한유와 유종원은 서로를 책선할 수 있는 좋은 친구 ○ 讀退之此書然後, 讀子厚此書, 皆是排闢退之書中所說, 意了然矣. 居其職則宜稱其職, 柳之以史事責韓, 與韓之以諫責陽城, 一也. 以韓之平生剛正而有不敢作史之失, 受責何疑? 然卒能成『順宗實錄』五卷, 亦可以塞責矣. 與陽城救陸贄, 沮延齡, 略足相當, 能補過如此, 何損二子之賢哉? 亦朋友責善之力也. 해석○ 讀退之此書然後, 讀子厚此書, 퇴지의 이 편지를 읽은 후에 유자후의 이 편지를 읽어보면 皆是排闢退之書中所說, 意了然矣. 모두 퇴지가 편지 중에 말한 것을 배척한 뜻이 분명하다. 居其職則宜稱其職, 그 직책에 있으면 마땅히 그 직책에 알맞아야 하니 柳之以史事責韓, 유자후가 역사의 일로 ..
사관(史官)이 된 한유에게 보낸 편지여한유논사서(與韓愈論史書) 유자후(柳子厚) 解說 2. 사관이 될 수 없음을 알리다 ○ 云: “辱問敎, 勉以所宜務. 愚以爲, 凡史氏褒貶大法, 『春秋』已備之矣. 後之作者, 在據事跡實錄則善惡自見. 然此尙非淺陋偸惰者所能就, 況褒貶邪. 孔子聖人, 作『春秋』, 辱於魯衛陳宋齊楚, 卒不遇而死. 齊太史氏, 兄弟幾盡, 左丘明, 紀春秋時事, 以失明, 司馬遷作『史記』刑誅, 班固瘦死, 陳壽起又廢, 卒亦無所至, 王隱謗退死家, 習鑿齒無一足, 崔浩ㆍ范曄亦誅, 魏收夭絶, 宋孝王誅死, 足下所稱吳競, 亦不聞身貴而今其後有聞也. 夫爲史者, 不有人禍則有天刑, 豈可不畏懼而輕爲之? 唐有天下二百年, 聖君賢相, 相踵, 其餘文武之士立功名, 跨越前後者, 不可勝數, 豈一人卒卒能紀而傳之邪? 僕年志已就衰退, 不可自敦率. 宰..
사관(史官)이 된 한유에게 보낸 편지여한유논사서(與韓愈論史書) 유종원(柳宗元) 解說 1. 침착하고도 통쾌한 글 迂齋云: “掊擊辨難之體, 沈著痛快.” ○ 退之爲史官, 柳子厚ㆍ劉秀才皆勉以作史. 柳書首云: “前獲書言史事.” 退之集中, 與柳子之書不存, 所存者, 答劉秀才論史書, 今載外集. 해석迂齋云: “掊擊辨難之體, 우재가 말했다. “때리고 논란을 판별하는 체제가 沈著痛快.”침착하고 통쾌하다.” ○ 退之爲史官, 柳子厚ㆍ劉秀才皆勉以作史. 퇴지가 사관이 되니 유자후와 유수재가 모두 역사서를 지으라 권면했다. 柳書首云: “前獲書言史事.” 유종원이 보낸 편지의 머리에 “이전에 편지를 받아보니 역사의 일을 말했습니다.”라고 썼으니, 退之集中, 與柳子之書不存, 퇴지의 문집 중엔 유자후에게 보낸 편지는 있지 않지만 所存者, ..
우계에 살며 지은 시에 단 서문우계시서(愚溪詩序) 유종원(柳宗元) 解說. ‘우(愚)’ 한 글자로 무궁한 뜻을 담다 迂齋曰: “只一箇愚字, 旁引曲取, 橫說竪說, 更無窮已, 宛轉紆餘, 含意深遠. 自不愚而入於愚, 自愚而終於不愚, 屢變而不可詰, 此文字妙處.” ○ 子厚自謫永州, 文章大進, 凡今柳文膾炙人口者, 皆永柳諸作也. 永州遊山水諸記皆奇, 零陵一山水, 一木石, 至今猶衣被柳文之聲光. 如愚溪之境, 後來詩人文士足跡至焉者, 未嘗不見之歌詠焉. 篇中用意變態, 迂齋之批盡之矣. 진짜 어리석은 사람이 되려 거처하는 곳의 지명을 정하다 우계란 이름의 유래灌水之陽, 有溪焉, 東流入于瀟水. 或曰: “冉氏嘗居也. 故姓是溪, 爲冉溪.” 或曰: “可以染也, 名之以其能. 故謂之染溪.” 余以愚觸罪, 謫瀟水上, 愛是溪, 入二三里, 得其尤絶者,..
우계에 살며 지은 시에 단 서문우계시서(愚溪詩序) 유종원(柳宗元) 진짜 어리석은 사람이 되려 거처하는 곳의 지명을 정하다 우계란 이름의 유래灌水之陽, 有溪焉, 東流入于瀟水. 或曰: “冉氏嘗居也. 故姓是溪, 爲冉溪.” 或曰: “可以染也, 名之以其能. 故謂之染溪.” 余以愚觸罪, 謫瀟水上, 愛是溪, 入二三里, 得其尤絶者, 家焉. 古有愚公谷, 今予家是溪而名莫能定, 土之居者, 尤齗齗焉, 不可以不更也. 故更之爲愚溪. ‘우(愚)’란 이름으로 만든 것들愚溪之上, 買小丘, 爲愚丘, 自愚丘, 東北行六十步, 得泉焉, 又買居之, 爲愚泉. 愚泉凡六穴, 皆出山下平地, 蓋上出也. 合流屈曲而南, 爲愚溝, 遂負土累石, 塞其隘, 爲愚池, 愚池之東, 爲愚堂, 其南爲愚亭, 池之中, 爲愚島, 嘉木異石錯置, 皆山水之奇者, 以余故, 咸以愚辱焉...
우계에 살며 지은 시에 단 서문우계시서(愚溪詩序) 유종원(柳宗元) 解說. ‘우(愚)’ 한 글자로 무궁한 뜻을 담다 迂齋曰: “只一箇愚字, 旁引曲取, 橫說竪說, 更無窮已, 宛轉紆餘, 含意深遠. 自不愚而入於愚, 自愚而終於不愚, 屢變而不可詰, 此文字妙處.” ○ 子厚自謫永州, 文章大進, 凡今柳文膾炙人口者, 皆永柳諸作也. 永州遊山水諸記皆奇, 零陵一山水, 一木石, 至今猶衣被柳文之聲光. 如愚溪之境, 後來詩人文士足跡至焉者, 未嘗不見之歌詠焉. 篇中用意變態, 迂齋之批盡之矣. 해석迂齋曰: “只一箇愚字, 旁引曲取, 우재가 말했다. “다만 한 개의 ‘우(愚)’자로 널리 인용하고 곡진하게 취해 橫說竪說, 更無窮已, 횡설수설하여 다시 무궁하도록 했고 宛轉紆餘, 含意深遠. 완곡히 전환하여 남음이 있도록 함으로 함의가 깊고도 원대하게..
오동잎으로 아우를 봉해줬다는 것에 대한 논변동엽봉제변(桐葉封弟辯)어린 나이로 즉위한 주성왕(周成王)은 동생 숙우(叔虞)와 장난을 잘 쳤다. 하루는 성왕(成王)이 오동나무 잎을 오려 제후왕을 봉할 때에 주는 규(圭) 모양을 만들어주면서 “이것으로 제후에 봉한다”고 말했다. 이 말을 듣고 사관(史官)인 윤일(尹佚)이 택일(擇日)하여 제후왕으로 봉할 것이라 청했다. 성왕은 “이것은 내가 장난으로 한 말이다”라고 했지만 윤일은 “천자에게 농담이란 없습니다.”라고 말하며 결국 숙우를 당(唐)에 봉했다. 『사기(史記)』 「진세가(晉世家)」 유종원(柳宗元) 字數不多, 曲折甚多, 婉而切, 辯而明, 此柳子所長也. 後之爲文者爲之, 添數百字不啻矣. 「守原議」亦然, 與「非國語」, 皆一樣手段. 장난일지라도 마땅함이 기준이 되어..
진문공이 원땅을 지킬 사람을 내시인 발제에게 물은 것에 대한 의론진문공문수원의(晉文公問守原議) 유종원(柳宗元) 事見『左傳』僖公二十四年. 정책 결정을 공식기구를 통해 하지 않고 내시와 하다晉門公旣受原於王, 難其守, 問於寺人勃鞮, 以畀趙衰. 余謂守原政之大者也. 所以承天子樹覇功, 致命諸侯, 不宜謀及媟近, 以添王命. 而晉君擇大任, 不公議於朝, 而私議於宮, 不博謀於卿相, 而獨謀於寺人, 雖或衰之賢, 足以守, 國之政不爲敗, 而賊賢失政之端, 由是滋矣. 況當其時, 不乏言議之臣乎. 狐偃爲謀臣, 先軫將中軍, 晉君疏而不咨, 外而不求, 乃卒定於內竪, 其可以爲法乎. 진문공이 자문을 잘못 구한 일은 후대의 나쁜 선례가 됐다且晉君將襲齊桓之業, 以翼天子, 乃大志也. 然而齊桓, 任管仲以興, 進竪刁以敗, 則獲原啓疆, 適其始政, 所以觀視諸..
아방궁에 대한 부(賦)아방궁부(阿房宮賦) 두목지(杜牧之) 解說. 1 아방궁이란 명칭에 대해 秦始皇, 以咸陽人多, 先王宮庭小, 乃營作朝宮渭南上林苑中, 先作前殿於阿房, 阿山曲也, 房旁也, 乃舊地名. 旣成未更名而燬, 故天下只云阿房宮. ○ 按『前漢書』「賈山傳」, 阿房宮顔注, “殿之四阿, 皆爲房也. 房或作旁, 說云: ’作此殿, 初未有名, 以其去咸陽近, 且號阿房.’ 房近也, 與房舍義不同.” 解說. 2 이 글은 양경지의 작품을 모방한 글이다 ○ 陳止齋曰: “杜牧之「阿房賦」, 非吳武陵, 不重.” ○ 洪容齋曰: “唐人作賦, 多以造語爲奇, 杜牧「阿房賦」明星熒熒一節, 比興引喩如是其侈, 然楊敬之「華山賦」在前, 叙述尤壯. 曰: ‘見若咫尺, 田千畝矣. 見若環堵, 城千雉矣. 見若杯水, 池百里矣. 見若蟻垤, 臺九層矣. 醯鷄往來, 周..
아방궁에 대한 부(賦)아방궁부(阿房宮賦) 두목지(杜牧之) 휘황찬란한 아방궁, 진나라의 패망의 단초 휘황찬란한 아방궁六王畢, 四海一. 蜀山兀, 阿房出. 覆壓三百餘里, 隔離天日. 驪山北搆而西折, 直走咸陽. 二川溶溶, 流入宮墻. 五步一樓, 十步一閣. 廊腰縵廻, 簷牙高啄. 各抱地勢, 鉤心鬪角. 盤盤焉. 囷囷焉. 蜂房水渦, 矗不知其幾千萬落. 長橋臥波, 未雩何龍. 複道行空, 不霽何虹. 高低冥迷, 不知西東. 歌臺暖響, 春光融融. 舞殿冷袖, 風雨凄凄. 一日之內, 一宮之間, 而氣候不齊. 아방궁 궁궐의 정경 아름답지만 보물들 여기저기 버려두었다妃嬪媵嬙, 王子皇孫, 辭樓下殿, 輦來于秦. 朝歌夜絃, 爲秦宮人. 明星熒熒, 開粧鏡也. 綠雲擾擾, 梳曉鬟也. 渭流漲膩, 棄脂水也. 煙斜霧橫, 焚椒蘭也. 雷霆乍驚, 宮車過也. 轆轆遠聽,..
아방궁에 대한 부(賦)아방궁부(阿房宮賦) 두목지(杜牧之) 解說. 2 이 글은 양경지의 작품을 모방한 글이다 ○ 陳止齋曰: “杜牧之「阿房賦」, 非吳武陵, 不重.” ○ 洪容齋曰: “唐人作賦, 多以造語爲奇, 杜牧「阿房賦」明星熒熒一節, 比興引喩如是其侈, 然楊敬之「華山賦」在前, 叙述尤壯. 曰: ‘見若咫尺, 田千畝矣. 見若環堵, 城千雉矣. 見若杯水, 池百里矣. 見若蟻垤, 臺九層矣. 醯鷄往來, 周西東矣. 蠛蠓紛紛, 秦速亡矣. 蜂窠聯聯, 起阿房矣. 俄而復然, 立建章矣. 小星奕奕, 焚咸陽矣. 纍纍繭栗, 朝龍藏矣.’ 高彦休『闕史』云: ‘敬之賦五千字, 唱在人口, 賦之句如上數語, 杜司徒佑, 李太尉德裕, 常所誦.’ 杜之乃佑孫則「阿房賦」, 實模倣楊作也.” 해석○ 陳止齋曰: “杜牧之「阿房賦」, 진지재가 말했다. “두목지의 「아방부..
아방궁에 대한 부(賦)아방궁부(阿房宮賦) 두목지(杜牧之) 解說. 1 아방궁이란 명칭에 대해 秦始皇, 以咸陽人多, 先王宮庭小, 乃營作朝宮渭南上林苑中, 先作前殿於阿房, 阿山曲也, 房旁也, 乃舊地名. 旣成未更名而燬, 故天下只云阿房宮. ○ 按『前漢書』「賈山傳」, 阿房宮顔注, “殿之四阿, 皆爲房也. 房或作旁, 說云: ’作此殿, 初未有名, 以其去咸陽近, 且號阿房.’ 房近也, 與房舍義不同.” 해석秦始皇, 以咸陽人多, 先王宮庭小, 진시황이 함양에 사람이 많고 선왕의 궁실과 정원이 작다고 생각하여 乃營作朝宮渭南上林苑中, 조궁을 위수 남쪽 상림원 안에 치수를 재어 짓고서 先作前殿於阿房, 먼저 앞의 궁궐을 아방이라 지었으니 阿山曲也, 房旁也, 아(阿)는 산굽이라는 것이고 방(房)은 곁이란 것이니 乃舊地名. 곧 옛 지명이다...
재상이 조회 보기 전에 잠시 머물던 대루원에 쓰다 대루원기(待漏院記) 왕우칭(王禹偁) 解說. 강직하고도 절차탁마의 늠름함이 담긴 글 迂齋云: “句句見待漏意. 是時, 五代氣習未除, 未免少俳, 然辭嚴義正, 可以想見其人, 亦自得體.” ○ 王黃州, 名禹偁, 字元之, 太宗朝名臣也. 平生出處, 可見於「竹樓記」. 自黃移蘄, 遂卒, 以剛直不容於時, 觀此篇切磨凛凛則可見矣. 所以東坡作元之畵像贊, 不勝重之云, 近年時文, 亦用其語. 周益公詞科文字中, 有「唐政堂記」, 仍不能外其意度也. 나라를 위해 재상이 해야할 일과 하지 말아야 일 신하들이 직분을 잘 수행했기에 天道不言而品物亨, 歲功成者, 何謂也. 四時之吏, 五行之佐, 宣其氣矣. 聖人不言而百姓親, 萬邦寧者, 何謂也. 三公論道, 六卿分職, 張其敎矣, 是知君逸於上, 臣勞於下, 法..
재상이 조회 보기 전에 잠시 머물던 대루원에 쓰다대루원기(待漏院記) 왕우칭(王禹偁) 나라를 위해 재상이 해야할 일과 하지 말아야 일 신하들이 직분을 잘 수행했기에 天道不言而品物亨, 歲功成者, 何謂也. 四時之吏, 五行之佐, 宣其氣矣. 聖人不言而百姓親, 萬邦寧者, 何謂也. 三公論道, 六卿分職, 張其敎矣, 是知君逸於上, 臣勞於下, 法乎天也. 古之善相天下者, 自咎蘷至房魏, 可數也, 是不獨有其德, 亦皆務于勤爾. 況夙興夜寐, 以事一人, 卿大夫猶然, 況宰相乎. 재상이 할 일朝廷自國初, 因舊制, 設宰臣待漏院于丹鳳門之右, 示勤政也. 至若北闕向曙, 東方未明, 相君啓行, 煌煌火城, 相君至止, 噦噦鸞聲. 金門未闢, 玉漏猶滴, 撤蓋下車, 于焉以息, 待漏之際, 相君其有思乎. 其或兆民未安, 思所泰之, 四夷未附, 思所來之, 兵革未息..
재상이 조회 보기 전에 잠시 머물던 대루원에 쓰다 대루원기(待漏院記) 왕우칭(王禹偁) 解說. 강직하고도 절차탁마의 늠름함이 담긴 글 迂齋云: “句句見待漏意. 是時, 五代氣習未除, 未免少俳, 然辭嚴義正, 可以想見其人, 亦自得體.” ○ 王黃州, 名禹偁, 字元之, 太宗朝名臣也. 平生出處, 可見於「竹樓記」. 自黃移蘄, 遂卒, 以剛直不容於時, 觀此篇切磨凛凛則可見矣. 所以東坡作元之畵像贊, 不勝重之云, 近年時文, 亦用其語. 周益公詞科文字中, 有「唐政堂記」, 仍不能外其意度也 해석 迂齋云: “句句見待漏意. 우재가 말했다. “구절마다 시간을 기다리는 뜻을 볼 수 잇다. 是時, 五代氣習未除, 未免少俳, 이때는 오대의 변려문(騈儷文)의 기습이 제거되지 않아 다소 안배함을 면치 못했지만 然辭嚴義正, 可以想見其人, 亦自得體.” ..
황주로 좌천되어 지은 대나무 누대를 두고 가는 아쉬움에 대해황주죽루기(黃州竹樓記) 왕우칭(王禹偁) 죽루이기에 하면 좋은 것들黃岡之地多竹, 大者如椽. 竹工破之, 刳去其節, 用代陶瓦, 比屋皆然, 以其價廉而工省也. 子城西北隅, 雉堞圮毁, 蓁莽荒穢, 因作小樓二間, 與月波樓通. 遠呑山光, 平挹江瀨. 幽闃遼夐, 不可具狀. 夏宜急雨, 有瀑布聲, 冬宜密雪, 有碎玉聲, 宜鼓琴, 琴調和暢, 宜詠詩, 詩韻淸絶, 宜圍棋, 子聲丁丁然, 宜投壺, 矢聲錚錚然, 皆竹樓之所助也. 한가롭게 죽루에 오르는 여유로움公退之暇, 披鶴氅衣, 戴華陽巾, 手執『周易』一卷, 焚香黙坐, 消遣世慮, 江山之外, 第見風帆沙鳥, 煙雲竹樹而已. 待其酒力醒, 茶煙歇, 送夕陽, 迎素月, 亦謫居之勝槪也. 彼齊雲落星, 高則高矣, 井幹麗譙, 華則華矣, 止于貯妓女, 藏歌..
광무제의 절친 엄광의 사당에 기문엄선생사당기(嚴先生祠堂記) 범중엄(范仲淹) 解說. 덕(德)을 풍(風)으로 바꾸자는 논의에 대해 迂齋云: “字少詞嚴, 筆力老健. 嚴光, 字子陵, 少與光武同學, 光武旣卽位, 避之. 釣于富春山中. 物色召之至, 卒不仕, 事見『後漢書』. 富春山中, 卽今嚴州桐廬縣之釣臺也. 嚴州, 舊爲睦州, 後改爲嚴, 亦取嚴光所隱之義. 范文正, 守嚴州, 首爲祠堂, 祠之, 擧千載之欠事, 唱萬世之靑風, 至今范公附祀嚴祠焉. 此篇, 辭甚簡嚴, 義甚宏闊, 天下之至文也. 非嚴先生之事, 不能稱此文, 非范文正之文, 不能記此事.” 『容齋隨筆』, 載“范公旣爲此文, 以示南豊李太白, 李讀之, 歎味不已, 起言曰: ‘公文一出, 必將名世, 妄意輒易一字, 以成盛美.’ 公瞿然, 握手扣之, 答曰: ‘雲山江水之語, 於義甚大, 於辭甚悽..
광무제의 절친 엄광의 사당에 기문엄선생사당기(嚴先生祠堂記) 범중엄(范仲淹) 서로에게 필요한 존재였던 엄광과 광무제 광무제의 친구임에도 은둔자의 전형이 된 엄광先生漢光武之故人也. 相尙以道, 及帝握赤符, 乘六龍, 得聖人之時, 臣妾億兆, 天下孰加焉. 惟先生以節高之. 旣而動星象, 歸江湖. 得聖人之淸, 泥塗軒冕, 天下孰加焉. 惟光武以禮下之. 광무제와 엄광의 관계在蠱之上九, ‘衆方有爲, 而獨不事王侯, 高尙其事.’ 先生以之, 在屯之初九, ‘陽德方亨, 而能以貴下賤, 大得民也.’ 光武以之. 蓋先生之心, 出乎日月之上, 光武之量, 包乎天地之外, 微先生, 不能成光武之大, 微光武, 豈能遂先生之高哉. 而使貪夫廉, 懦夫立, 是大有功於名敎也. 仲淹來守是邦, 始構堂而奠焉, 乃復其爲後者四家, 以奉祠事, 又從而歌曰: “雲山蒼蒼, 江水泱泱..
광무제의 절친 엄광의 사당에 기문엄선생사당기(嚴先生祠堂記) 범중엄(范仲淹) 解說. 덕(德)을 풍(風)으로 바꾸자는 논의에 대해 迂齋云: “字少詞嚴, 筆力老健. 嚴光, 字子陵, 少與光武同學, 光武旣卽位, 避之. 釣于富春山中. 物色召之至, 卒不仕, 事見『後漢書』. 富春山中, 卽今嚴州桐廬縣之釣臺也. 嚴州, 舊爲睦州, 後改爲嚴, 亦取嚴光所隱之義. 范文正, 守嚴州, 首爲祠堂, 祠之, 擧千載之欠事, 唱萬世之靑風, 至今范公附祀嚴祠焉. 此篇, 辭甚簡嚴, 義甚宏闊, 天下之至文也. 非嚴先生之事, 不能稱此文, 非范文正之文, 不能記此事.” 『容齋隨筆』, 載“范公旣爲此文, 以示南豊李太白, 李讀之, 歎味不已, 起言曰: ‘公文一出, 必將名世, 妄意輒易一字, 以成盛美.’ 公瞿然, 握手扣之, 答曰: ‘雲山江水之語, 於義甚大, 於辭甚悽..
요사한 뱀을 죽인 홀에 새긴 명격사홀명(擊蛇笏銘) 석개(石介) 石介, 字守道, 魯人, 號徂徠先生, 孔公, 名道輔, 二公, 皆剛正人也. 非孔公之剛正, 不能爲此事, 非徂徠之剛正, 不能發揮此事, 讀之, 可以廉頑立懦. 1. 요사한 뱀을 섬기던 백성들 요사한 뱀에 미혹한 백성들을 깨우치다天地至大, 有邪氣干於其間, 爲凶暴, 爲殘賊, 聽其肆行, 如天地卵育之而莫禦也; 人生最靈, 或異類出於其表, 爲妖怪, 爲淫惑, 信其異端, 如人蔽覆之而莫露也. 祥符年, 寧州天慶觀, 有蛇妖, 極怪異. 郡刺史日兩至於其庭, 朝焉, 人以爲龍, 擧州人內外遠近, 岡不駿奔於門以覲, 恭莊肅祗, 無敢怠者. 今龍圖待制孔公, 時佐幕在是邦. 亦隨郡刺史於其庭, 公曰: “明則有禮樂, 幽則有鬼神, 是蛇不以誣乎. 惑吾民, 亂吾俗, 殺無赦.” 以手板, 擊其首, 遂斃於..
요사한 뱀을 죽인 홀에 새긴 명격사홀명(擊蛇笏銘) 석개(石介) 2. 요사한 뱀을 잡듯 조정에서도 일을 톡톡히 하리 바른 기운이 시대별로 흩어간 예들夫天地間, 有純剛至正之氣, 或鍾於物, 或鍾於人, 人有死, 物有盡, 此氣不滅烈烈, 彌亘億萬世而長在. 在堯時, 爲指佞草, 在魯, 爲孔子誅少正卯刃, 在晉在齊, 爲董ㆍ史筆, 在漢武帝朝, 爲東方朔戟, 在成帝朝, 爲朱雲劒, 在東漢, 爲張綱輪, 在唐, 爲韓愈「論佛骨表」ㆍ「逐鰐魚文」, 爲段太尉擊朱泚笏, 今爲公擊蛇笏. 故佞人去, 堯德聰, 少正卯戮, 孔法擧, 罪趙盾, 晉人懼, 辟崔子, 齊刑明, 距董偃, 折張禹, 劾梁冀, 漢室乂, 佛老微, 聖道行, 鰐魚徙, 潮患息, 朱泚傷, 唐朝振, 怪蛇死, 妖氣散. 이 홀이 이루어낼 관리의 역활噫, 天地鍾純剛至正之氣, 在公之笏, 豈徒斃一蛇而已...
요사한 뱀을 죽인 홀에 새긴 명격사홀명(擊蛇笏銘) 석개(石介) 1. 요사한 뱀을 섬기던 백성들 石介, 字守道, 魯人, 號徂徠先生, 孔公, 名道輔, 二公, 皆剛正人也. 非孔公之剛正, 不能爲此事, 非徂徠之剛正, 不能發揮此事, 讀之, 可以廉頑立懦. 요사한 뱀에 미혹한 백성들을 깨우치다天地至大, 有邪氣干於其間, 爲凶暴, 爲殘賊, 聽其肆行, 如天地卵育之而莫禦也; 人生最靈, 或異類出於其表, 爲妖怪, 爲淫惑, 信其異端, 如人蔽覆之而莫露也. 祥符年, 寧州天慶觀, 有蛇妖, 極怪異. 郡刺史日兩至於其庭, 朝焉, 人以爲龍, 擧州人內外遠近, 岡不駿奔於門以覲, 恭莊肅祗, 無敢怠者. 今龍圖待制孔公, 時佐幕在是邦. 亦隨郡刺史於其庭, 公曰: “明則有禮樂, 幽則有鬼神, 是蛇不以誣乎. 惑吾民, 亂吾俗, 殺無赦.” 以手板, 擊其首, 遂斃於..
낙양이 지은 독락원에 쓴 기문독락원기(獨樂園記) 사마광(司馬光) 司馬溫公, 自號迂叟, 其退居, 適意於園圃, 其樂如此. 迂叟平日讀書, 上師聖人, 下友群賢, 窺仁義之原, 探禮樂之緖, 自未始有形之前, 曁四達無窮之外, 事物之理, 擧集目前, 可者學之, 未至夫可, 何求於人, 何待於外哉. 志倦體疲, 則投竿取魚, 執衽采藥, 決渠灌花, 操斧剖竹, 濯熱盥水, 臨高縱目, 逍遙徜徉, 惟意所適, 明月時至, 淸風自來. 行無所牽, 止無所柅, 耳目肺腸, 卷爲己有, 踽踽焉, 洋洋焉, 不知天壤之間, 復有何樂, 可以代此也. 因合而命之曰獨樂. 해석司馬溫公, 自號迂叟, 사마온공은 스스로 우수(迂叟)라 호를 짓고 其退居, 適意於園圃, 其樂如此.물러나 거처할 땐 마침 후원(後園)에 뜻을 두어 즐거움이 이와 같다. 迂叟平日讀書, 上師聖人, 下友群..
상주의 주금당에 쓴 기문 상주주금당기(相州晝錦堂記) 구양수(歐陽脩) 解說. 고향으로 돌아와 뻗대지 않고 단심(丹心)을 드러낸 글 迂齋曰: “文字委曲, 善於形容.” ○ 富貴不歸故鄕, 如衣錦夜行, 後人, 遂以富貴歸故鄕者, 爲衣錦晝行, 盖本前說而反言之也. 韓魏公琦, 字稚圭, 以德量文章政事功業, 爲宋相臣第一. 時封魏國公, 本相州人. 仁宗朝, 旣罷相, 以武康軍節度使, 知本州, 上蓋以是榮之也. 公因作晝錦堂于州宅後圃, 又有詩焉. 歐陽公, 爲作此記, 謂: “公不以常情之榮爲榮.” 末又謂: “非徒爲州里一時之榮.” 盖本韓公詩意, 述其心事而廣之. 文甚明白正大, 兒童執不熟讀之. 而韓公「晝錦堂」詩則鮮知之, 今附見於此云. 詩曰: “古人之富貴, 歸於本郡縣. 譬若衣錦游, 白晝自光絢. 否則如夜行, 雖麗胡由見. 事累載方冊, 今復著俚諺. ..
상주의 주금당에 쓴 기문상주주금당기(相州晝錦堂記) 구양수(歐陽脩) 현달을 뽐내지 않고 선정을 펼친 위국공 한기(韓琦) 염량세태(炎凉世態)仕宦而至將相, 富貴而歸故鄕, 此人情之所榮, 而今昔之所同也. 蓋士方窮時, 困阨閭里, 庸人孺子皆得易而侮之, 若季子不禮於其嫂, 買臣見棄於其妻. 一旦高車駟馬, 旗旄導前而騎卒擁後, 夾道之人, 相與騈肩累跡, 瞻望咨嗟, 而所謂庸夫愚婦者, 奔走駭汗, 羞愧俯伏, 以自悔罪於車塵馬足之間, 此一介之士, 得志當時, 而意氣之盛, 昔人比之衣錦之榮也. 현달했음에도 자랑하기보다 기본에 충실히 하다惟大丞相魏國公則不然, 公相人也. 世有令德, 爲時名卿. 自公少時, 已擢高科, 登顯仕, 海內之士, 聞下風而望餘光者, 蓋亦有年矣. 所謂將相而富貴, 皆公所宜素有, 非如窮阨之人, 僥倖得志於一時, 出於庸夫愚婦之不意, 以..
상주의 주금당에 쓴 기문상주주금당기(相州晝錦堂記) 구양수(歐陽脩) 解說. 고향으로 돌아와 뻗대지 않고 단심(丹心)을 드러낸 글 迂齋曰: “文字委曲, 善於形容.” ○ 富貴不歸故鄕, 如衣錦夜行, 後人, 遂以富貴歸故鄕者, 爲衣錦晝行, 盖本前說而反言之也. 韓魏公琦, 字稚圭, 以德量文章政事功業, 爲宋相臣第一. 時封魏國公, 本相州人. 仁宗朝, 旣罷相, 以武康軍節度使, 知本州, 上蓋以是榮之也. 公因作晝錦堂于州宅後圃, 又有詩焉. 歐陽公, 爲作此記, 謂: “公不以常情之榮爲榮.” 末又謂: “非徒爲州里一時之榮.” 盖本韓公詩意, 述其心事而廣之. 文甚明白正大, 兒童執不熟讀之. 而韓公「晝錦堂」詩則鮮知之, 今附見於此云. 詩曰: “古人之富貴, 歸於本郡縣. 譬若衣錦游, 白晝自光絢. 否則如夜行, 雖麗胡由見. 事累載方冊, 今復著俚諺. 或..
저주(滁州)에 유배되어 취옹정을 짓고 쓴 기문취옹정기(醉翁亭記) 구양수(歐陽脩) 解說. 저주(滁州)의 산수를 사랑하여 남긴 글 迂齋云: “此文, 所謂筆端有畵. 又如累疊階級, 一層高一層, 逐旋上去, 都不覺.” ○ 歐陽公年四十, 守滁州, 愛其山水之勝, 作醉翁亭而日遊之. 今觀公詩, 有曰: “四十未爲老, 醉翁偶題篇. 醉中遺萬物, 豈復記吾年.” 又贈沈遵曰: “我時四十猶强健, 自號醉翁聊戱客. 爾來憂患十年間, 鬢髮未老嗟先白.” 又曰: “顔摧鬢改眞一翁, 心以憂醉安知樂.” 大略可見守滁之樂, 後來不復有矣. 他如「醉翁吟」ㆍ「憶滁南幽谷」, 眷眷不忘, 不一而足, 不能盡述于此也. 年方四十而云年又最高, 盖是時僚佐賓客, 偶皆妙年耳. 一篇二十七也字, 讀之, 不覺其多, 此又一體. 公有「祈雨祭漢高祭文」, 又有「祭吳尙書文」, 皆是此體. 坡..
저주(滁州)에 유배되어 취옹정을 짓고 쓴 기문취옹정기(醉翁亭記) 구양수(歐陽脩) 취옹정을 지은 사람 따로, 즐기며 자호로 삼고서 즐기는 사람 따로 산으로 둘러싸인 취옹정環滁皆山也. 其西南諸峰, 林壑尤美, 望之蔚然而深秀者, 瑯琊也, 山行六七里, 漸聞水聲潺潺, 而瀉出于兩峰之間者, 釀泉也, 峰回路轉, 有亭翼然, 臨于泉上者, 醉翁亭也. 作亭者誰? 山之僧智僊也. 名之者誰? 太守自謂也. 太守與客, 來飮于此, 飮少輒醉, 而年又最高. 故自號曰: “醉翁也.” 醉翁之意, 不在酒, 在乎山水之間也. 山水之樂, 得之心而寓之酒也. 취옹정에서 본 절경若夫日出而林霏開, 雲歸而巖穴暝, 晦明變化者, 山間之朝暮也, 野芳發而幽香, 嘉木秀而繁陰, 風霜高潔, 水落而石出者, 山間之四時也. 朝而往, 暮而歸, 四時之景不同而樂亦無窮也. 태수의 즐거움..
저주(滁州)에 유배되어 취옹정을 짓고 쓴 기문취옹정기(醉翁亭記) 구양수(歐陽脩) 解說. 저주(滁州)의 산수를 사랑하여 남긴 글 迂齋云: “此文, 所謂筆端有畵. 又如累疊階級, 一層高一層, 逐旋上去, 都不覺.” ○ 歐陽公年四十, 守滁州, 愛其山水之勝, 作醉翁亭而日遊之. 今觀公詩, 有曰: “四十未爲老, 醉翁偶題篇. 醉中遺萬物, 豈復記吾年.” 又贈沈遵曰: “我時四十猶强健, 自號醉翁聊戱客. 爾來憂患十年間, 鬢髮未老嗟先白.” 又曰: “顔摧鬢改眞一翁, 心以憂醉安知樂.” 大略可見守滁之樂, 後來不復有矣. 他如「醉翁吟」ㆍ「憶滁南幽谷」, 眷眷不忘, 不一而足, 不能盡述于此也. 年方四十而云年又最高, 盖是時僚佐賓客, 偶皆妙年耳. 一篇二十七也字, 讀之, 不覺其多, 此又一體. 公有「祈雨祭漢高祭文」, 又有「祭吳尙書文」, 皆是此體. 坡..
남쪽으로 돌아가는 서무귀를 전송하며송서무당남귀서(送徐無黨南歸序) 구양수(歐陽脩) 解說. 문장보다 덕행에 더 신경 쓰길 바라 此篇, 謂古人有三不朽, 德行功業文章是也. 文章之虛, 不如功業之實, 而文章功業, 皆本於德行之深, 功業之不朽者, 固不待見於文章, 而德行之不朽者, 亦不待見於功業. 後世之士, 其不得以功業自見, 而以文章自見者多矣. 然往往泯沒不傳, 而不能終古不朽者, 豈非徒用力於文章, 而不知本於德行哉. 所以勉徐生以思, 欲其因文章而反求諸其本也. 글 짓길 좋아하는 사람에게 불후함에 대해 알려주겠다 성현만이 불후하는 이유草木鳥獸之爲物, 衆人之爲人, 其爲生雖異, 而爲死則同, 一歸於腐壞澌盡泯滅而已. 而衆人之中, 有聖賢者, 固亦生且死於其間, 而獨異於草木鳥獸衆人者, 雖死而不朽, 愈遠而彌存也. 其所以爲聖賢者, 修之於身, 施之..
남쪽으로 돌아가는 서무귀를 전송하며송서무당남귀서(送徐無黨南歸序) 구양수(歐陽脩) 글 짓길 좋아하는 사람에게 불후함에 대해 알려주겠다 성현만이 불후하는 이유草木鳥獸之爲物, 衆人之爲人, 其爲生雖異, 而爲死則同, 一歸於腐壞澌盡泯滅而已. 而衆人之中, 有聖賢者, 固亦生且死於其間, 而獨異於草木鳥獸衆人者, 雖死而不朽, 愈遠而彌存也. 其所以爲聖賢者, 修之於身, 施之於事, 見之於言, 是三者, 所以能不朽而存也. 공업을 일에 베푼 사람, 덕행을 몸으로 닦은 사람修於身者, 無所不獲, 施於事者, 有得有不得焉, 其見於言者, 則又有能, 有不能焉. 施於事矣, 不見於言可也. 自『詩』ㆍ『書』ㆍ『史記』所傳, 其人豈必皆能言之士哉. 修於身矣, 而不施於事, 不見於言, 亦可也. 孔門弟子, 有能政事者矣, 有能言語者矣, 若顔回者, 在陋巷, 曲肱飢臥..
남쪽으로 돌아가는 서무귀를 전송하며송서무당남귀서(送徐無黨南歸序) 구양수(歐陽脩) 解說. 문장보다 덕행에 더 신경 쓰길 바라 此篇, 謂古人有三不朽, 德行功業文章是也. 文章之虛, 不如功業之實, 而文章功業, 皆本於德行之深, 功業之不朽者, 固不待見於文章, 而德行之不朽者, 亦不待見於功業. 後世之士, 其不得以功業自見, 而以文章自見者多矣. 然往往泯沒不傳, 而不能終古不朽者, 豈非徒用力於文章, 而不知本於德行哉. 所以勉徐生以思, 欲其因文章而反求諸其本也. 해석此篇, 謂古人有三不朽, 이 글은 옛 사람이 세 가지 썩지 않는 게 있다고 했으니 德行功業文章是也. 덕행(德行)과 공업(功業)과 문장(文章)이 이것이다. 文章之虛, 不如功業之實문장의 공허함이 공업의 내실함만 못하고 而文章功業, 皆本於德行之深, 문장과 공업이 모두 덕행의 ..
사형수를 풀어주고 사면한 사건을 비판하다종수론(縱囚論) 구양수(歐陽脩) 解說. 간명하지만 분명한 내용을 지닌 글 唐太宗貞觀七年, 去年帝親錄繫囚, 見應死者, 悶之, 縱使歸家, 期以來秋來就死. 仍勅天下死囚皆縱遣, 至期來詣京師. 至是九月, 去歲所縱天下死囚凡三百九十人, 無人督率, 皆如期自詣朝堂, 無一人亡匿者, 上皆赦之. ○ 歐公論此事, 得太宗之情, 盡用刑之理. 文尤簡而當, 婉而明, 宜熟讀. 죄인이 돌아온 특별한 상황이 일반적인 상황이 될 순 없다 사형수들이 기한 내에 모두 돌아오다信義行於君子, 而刑戮施於小人, 刑入于死者, 乃罪大惡極, 此又小人之尤甚者也. 寧以義死, 不苟幸生, 而視死如歸, 此又君子之尤難者也. 方唐太宗之六年, 錄大辟囚三百餘人, 縱使還家, 約其自歸以就死, 是以君子之難能, 期小人之尤者以必能也. 其囚及期..
사형수를 풀어주고 사면한 사건을 비판하다종수론(縱囚論) 구양수(歐陽脩) 죄인이 돌아온 특별한 상황이 일반적인 상황이 될 순 없다 사형수들이 기한 내에 모두 돌아오다信義行於君子, 而刑戮施於小人, 刑入于死者, 乃罪大惡極, 此又小人之尤甚者也. 寧以義死, 不苟幸生, 而視死如歸, 此又君子之尤難者也. 方唐太宗之六年, 錄大辟囚三百餘人, 縱使還家, 約其自歸以就死, 是以君子之難能, 期小人之尤者以必能也. 其囚及期而卒自歸, 無後者, 是君子之所難, 而小人之所易也, 此豈近於人情? 풀어준 것도, 돌아왔다고 사면해준 것도 잘못이다或曰: “罪大惡極, 誠小人矣, 及施恩德以臨之, 可使變而爲君子, 蓋恩德入人之深而移人之速, 有如是者矣.” 曰: “太宗之爲此, 所以求此名也. 然安知夫縱之去也, 不意其必來以冀免, 所以縱之乎, 又安知夫被縱而去也, ..
사형수를 풀어주고 사면한 사건을 비판하다종수론(縱囚論) 구양수(歐陽脩) 解說. 간명하지만 분명한 내용을 지닌 글 唐太宗貞觀七年, 去年帝親錄繫囚, 見應死者, 悶之, 縱使歸家, 期以來秋來就死. 仍勅天下死囚皆縱遣, 至期來詣京師. 至是九月, 去歲所縱天下死囚凡三百九十人, 無人督率, 皆如期自詣朝堂, 無一人亡匿者, 上皆赦之. ○ 歐公論此事, 得太宗之情, 盡用刑之理. 文尤簡而當, 婉而明, 宜熟讀. 해석唐太宗貞觀七年, 去年帝親錄繫囚, 당태종 정관 7년에 지난해 황제가 친해 갇혀 있는 죄수를 기록하다 見應死者, 悶之, 사형에 응하는 사람들을 보고 안타깝게 여겨 縱使歸家, 期以來秋來就死. 풀어주고서 집으로 돌아가게 했고 내년 가을으로 기한을 정하고 와서 사형장에 나오도록 했다. 仍勅天下死囚皆縱遣, 인하여 천하의 사형수들을 ..
미주(眉州)에 사는 소씨들의 족보를 만들며족보서(族譜序) 소순(蘇洵) 解說. 이글을 보면 효제(孝悌)의 마음이 일어난다 迂齋曰: “議論簡嚴, 字數少而曲折多, 非特文章之妙, 可以見忠厚氣象.” ○ 族譜規模, 分親踈詳略, 可爲世法. 中分兩段, 結語同而意略不同, 前段, 是自己身單說上祖考去, 後段, 是自祖考旁說開近族去, 各以孝悌之心可油然而生, 結之. 使人自思而得之 有有餘不盡一唱三歎之意焉. 老泉, 又有「蘇氏族譜亭記」及「譜例序」, 皆可以警世, 宜倂觀之. 족보를 만든 이유 족보에 적는 것과 적지 않는 것의 이유蘇氏族譜, 譜蘇之族也. 蘇氏出於高陽, 而蔓延於天下. 唐神堯初, 長史味道刺眉州, 卒于官, 一子留于眉, 眉之有蘇氏, 自此始而譜不及者, 親盡也. 親盡則曷爲不及? 譜爲親作也. 凡子得書而孫不得書者, 何也? 著代也. 自吾之..
미주(眉州)에 사는 소씨들의 족보를 만들며족보서(族譜序) 소순(蘇洵) 족보를 만든 이유 족보에 적는 것과 적지 않는 것의 이유蘇氏族譜, 譜蘇之族也. 蘇氏出於高陽, 而蔓延於天下. 唐神堯初, 長史味道刺眉州, 卒于官, 一子留于眉, 眉之有蘇氏, 自此始而譜不及者, 親盡也. 親盡則曷爲不及? 譜爲親作也. 凡子得書而孫不得書者, 何也? 著代也. 自吾之父, 以至吾之高祖, 仕不仕, 娶某氏, 享年幾, 某日卒皆書, 而它不書者, 何也? 詳吾之所自出也. 自吾之父, 以至吾之高祖, 皆曰諱某, 而它則遂名之, 何也? 尊吾之所自出也. 譜爲蘇氏作, 而獨吾之所自出, 得詳與尊, 何也? 譜吾作也. 嗚呼, 觀吾之譜者, 孝悌之心, 可以油然而生矣. 형제가 남남처럼 되는 걸 막기 위해情見于親, 親見于服, 服始于衰, 而至于緦麻, 而至于無服, 無服則親盡, ..
미주(眉州)에 사는 소씨들의 족보를 만들며족보서(族譜序) 소순(蘇洵) 解說. 이글을 보면 효제(孝悌)의 마음이 일어난다 迂齋曰: “議論簡嚴, 字數少而曲折多, 非特文章之妙, 可以見忠厚氣象.” ○ 族譜規模, 分親踈詳略, 可爲世法. 中分兩段, 結語同而意略不同, 前段, 是自己身單說上祖考去, 後段, 是自祖考旁說開近族去, 各以孝悌之心可油然而生, 結之. 使人自思而得之, 有有餘不盡一唱三歎之意焉. 老泉, 又有「蘇氏族譜亭記」及「譜例序」, 皆可以警世, 宜倂觀之. 해석迂齋曰: “議論簡嚴, 우재가 말했다. “의론이 간략하고 엄정하며 字數少而曲折多, 글자 수는 적지만 복잡한 부분이 많으니 非特文章之妙, 可以見忠厚氣象.”문장이 오묘할 뿐만 아니라 충성스러움이 두터운 기상을 볼 만하다.” ○ 族譜規模, 分親踈詳略, 족보의 규모가 친..
장방평(張方平)의 화상을 기리고 쓴 기문장익주화상기(張益州畵像記) 소순(蘇洵) 解說. 두 아들도 짓지 못할 소순의 장점이 드러난 글 張方平, 字安道, 號樂全居士. 除參知政事, 不拜, 以宣徽使太子太保致仕卒, 年八十五. ○ 迂齋曰: “詞氣嚴重, 有法度. 說不必有像而亦不可以無像, 此三四轉, 奇甚, 是好處. 是善回護蜀人, 公蜀人也, 所以尤難言.” ○ 老泉之文, 老辣健峭, 頓挫宛轉, 甚有古氣, 子由, 固遠不及, 子瞻亦不能爲此也. 1. 촉지방을 안정시켜 백성들에게 인정받은 정방평 정방평이 도적이 쳐들어온 촉지방을 안정시키다至和元年秋, 蜀人傳言, 有寇至邊. 邊軍夜呼, 野無居人, 妖言流聞, 京師震驚. 方命擇帥, 天子曰: “毋養亂, 毋助變. 衆言朋興, 朕志自定. 外亂不作, 變且中起, 旣不可以文令, 又不可以武競. 惟朕一二..
장방평(張方平)의 화상을 기리고 쓴 기문장익주화상기(張益州畵像記) 소순(蘇洵) 2. 백성들의 성화로 사당을 만들고 화상을 만들다 화상으로라도 공을 추억하고 싶은 백성들蘇洵又曰: “公之恩在爾心, 爾死在爾子孫, 其功業在史官, 無以像爲也. 且公意不欲, 如何?” 皆曰: “公則何事於斯? 雖然於我心, 有不釋焉. 今夫平居, 聞一善, 必問其人之姓名, 與其鄕里之所在, 以至於其長短大小美惡之狀, 甚者或詰其平生所嗜好, 以想見其爲人, 而史官亦書之於其傳, 意使天下之人, 思之於心, 則存之於目. 存之於目, 故其思之於心也固, 由此觀之, 像亦不爲無助.” 蘇洵無以詰, 遂爲之記. 公南京人, 爲人慷慨有大節, 以度量雄天下, 天下有大事, 公可屬. 공의 사당이 만들어진 내역을 시로 읊다系之以詩曰: “天子在祚, 歲在甲午, 西人傳言, 有寇在垣. 庭有..
장방평(張方平)의 화상을 기리고 쓴 기문장익주화상기(張益州畵像記) 소순(蘇洵) 1. 촉지방을 안정시켜 백성들에게 인정받은 정방평 정방평이 도적이 쳐들어온 촉지방을 안정시키다至和元年秋, 蜀人傳言, 有寇至邊. 邊軍夜呼, 野無居人, 妖言流聞, 京師震驚. 方命擇帥, 天子曰: “毋養亂, 毋助變. 衆言朋興, 朕志自定. 外亂不作, 變且中起, 旣不可以文令, 又不可以武競. 惟朕一二大吏, 孰能爲處玆文武之間? 其命往撫朕師.” 乃惟曰: “張公方平, 其人.” 天子曰: “然.” 公以親辭, 不可. 遂行冬十一月至蜀, 至之日歸屯軍, 撤守備, 使謂郡縣, “寇來在吾, 無以勞苦.” 明年正月朔旦, 蜀人相慶如它日, 遂以無事. 又明年正月, 相告留公像于淨衆寺, 公不能禁. 장방평을 소순이 기리는 말眉陽蘇洵, 言于衆曰: “未亂易治也, 旣亂易治也, 有..
장방평(張方平)의 화상을 기리고 쓴 기문장익주화상기(張益州畵像記) 소순(蘇洵) 解說. 두 아들도 짓지 못할 소순의 장점이 드러난 글 張方平, 字安道, 號樂全居士. 除參知政事, 不拜, 以宣徽使太子太保致仕卒, 年八十五. ○ 迂齋曰: “詞氣嚴重, 有法度. 說不必有像而亦不可以無像, 此三四轉, 奇甚, 是好處. 是善回護蜀人, 公蜀人也, 所以尤難言.” ○ 老泉之文, 老辣健峭, 頓挫宛轉, 甚有古氣, 子由, 固遠不及, 子瞻亦不能爲此也. 해석張方平, 字安道, 號樂全居士. 장방평의 자는 안도이고 호는 낙전거사이다. 除參知政事, 不拜, 참지정사에 제수(除授) 되었지만 부임하지 않았고 以宣徽使太子太保致仕卒, 年八十五.선휘사 태자태보로 벼슬하다가 죽었으니 나이 85세였다. ○ 迂齋曰: “詞氣嚴重, 有法度. 우재가 말했다. “말의..
유방은 번쾌를 처리하여 후환을 남기지 말았어야 했다고조론(高祖論) 소순(蘇洵) 解說. 번쾌 처리의 문제 『漢』「樊噲傳」, 盧綰叛, 帝遣噲伐之, 人有言: “噲黨呂氏, 一日宮車晏駕, 噲欲以兵誅戚氏趙王.” 帝大怒, 使陳平載絳侯代將, 卽軍中斬噲. 平畏呂氏, 執噲詣長安, 至則帝已崩, 后釋噲, 惠帝六年噲卒. ○ 此篇, 反覆論高帝爲身後慮, 全在斬樊噲上, 樊噲妻, 呂后女弟嬃也. 不去呂后者, 欲扶惠帝之弱, 斬樊噲者, 欲剪呂后之黨, 斬噲則高帝可死而無憂矣. 平ㆍ勃不悟此, 乃留噲不斬, 豈非遺帝身後之憂也. 幸噲後來自先死耳. 議論抑揚反覆, 極有精神. 1. 고제의 부족한 부분과 여후를 없애지 않은 이유 유방의 부족한 부분漢高祖挾數用術, 以制一時之利害, 不如陳平, 揣摩天下之勢, 擧指搖目, 以劫制項羽, 不如張良, 微此二人, 則天下不歸..
유방은 번쾌를 처리하여 후환을 남기지 말았어야 했다고조론(高祖論) 소순(蘇洵) 2. 번쾌는 남겨두지 말았어야 했다 번쾌를 남겨둔 것은 큰 후환이다呂后旣不可去, 故削其黨, 以損其權, 使雖有變, 而天下不搖. 是故以樊噲之功, 一旦遂欲斬之而無疑. 嗚呼! 彼獨於噲不仁耶. 且噲與帝偕起, 拔城陷陣, 功不爲少, 方亞父嗾項莊時, 微噲譙羽, 則漢之爲漢, 未可知也. 一旦人有惡噲, 欲滅戚氏者, 時噲出伐燕, 立命平ㆍ勃, 卽軍中斬之. 夫噲之罪未形也. 惡之者誠僞, 未必也. 且帝之不以一女子, 斬天下功臣, 亦明矣. 彼其娶於呂氏, 呂氏之族, 若産祿輩, 皆庸才, 不足恤, 獨噲豪健, 諸將所不能制, 後世之患, 無大於此矣. 번쾌가 그나마 일찍 죽어 다행이지夫高帝之視呂后, 猶醫者之視菫也, 使其毒, 可使治病, 而無至於殺人而已. 噲死則呂氏之毒, 將..
유방은 번쾌를 처리하여 후환을 남기지 말았어야 했다고조론(高祖論) 소순(蘇洵) 1. 고제의 부족한 부분과 여후를 없애지 않은 이유 유방의 부족한 부분漢高祖挾數用術, 以制一時之利害, 不如陳平, 揣摩天下之勢, 擧指搖目, 以劫制項羽, 不如張良, 微此二人, 則天下不歸漢, 而高帝乃木强之人而止耳. 然天下已定, 後世子孫之計, 陳平ㆍ張良, 智之所不及, 則高帝常先爲之規畫處置, 使夫後世之所爲, 曉然如目見其事而爲之者. 蓋高帝之智, 明於大而暗於小, 至於此而後見也. 고제가 여후를 없애지 않은 이유帝常語呂后曰: “周勃重厚少文, 然安劉氏者, 必勃也, 可令爲太尉.” 方是時, 劉氏旣安矣, 勃又將誰安耶? 故吾之意曰: ‘高帝之以太尉屬勃也, 知有呂氏之禍也.’ 雖然其不去呂后, 何也? 勢不可也. 昔者武王沒, 成王幼而三監叛, 帝意百歲後, 將相大..
유방은 번쾌를 처리하여 후환을 남기지 말았어야 했다고조론(高祖論) 소순(蘇洵) 解說. 번쾌 처리의 문제 『漢』「樊噲傳」, 盧綰叛, 帝遣噲伐之, 人有言: “噲黨呂氏, 一日宮車晏駕, 噲欲以兵誅戚氏趙王.” 帝大怒, 使陳平載絳侯代將, 卽軍中斬噲. 平畏呂氏, 執噲詣長安, 至則帝已崩, 后釋噲, 惠帝六年噲卒. ○ 此篇, 反覆論高帝爲身後慮, 全在斬樊噲上, 樊噲妻, 呂后女弟嬃也. 不去呂后者, 欲扶惠帝之弱, 斬樊噲者, 欲剪呂后之黨, 斬噲則高帝可死而無憂矣. 平ㆍ勃不悟此, 乃留噲不斬, 豈非遺帝身後之憂也. 幸噲後來自先死耳. 議論抑揚反覆, 極有精神. 해석『漢』「樊噲傳」, 盧綰叛, 『한서(漢書)』 「번쾌전」에 연왕(燕王) 노관이 배반하자 帝遣噲伐之, 人有言: “噲黨呂氏, 황제가 번쾌에게 정벌하게 하니 사람들이 말했다. “번쾌의 무..
내한 구양수에게 올린 편지상구양내한서(上歐陽內翰書) 소순(蘇洵) 解說. 배움의 태도를 배울 수 있는 글 離合二字, 爲前段綱領而以己之道未成, 將成, 粗成, 大成等字, 參錯之. 中間, 叙六君子中有已先死而不及見者, 有貴與遠而難見者, 可以書見者, 唯歐公而已. 遂以一段, 頌公之文, 又以一段, 自述己之文, 節節相生, 前後照應, 無一語出律令外. ○ 選此篇, 又有一說. 老泉二十五歲, 方知讀書學文, 彼其用力精專, 後來成就高卓如此. 後生徒以過時自棄而不肯用力者, 尤宜讀此, 以自鞭策焉. 1. 자천할 타이밍이 기어코 왔구나 실력을 길러 자천하려 했지만 좋은 관리들은 다들 떠나버렸네洵布衣窮居, 常竊自歎, 以爲: “天下之人, 不能皆賢, 不能皆不肖. 是以賢人君子之處於世, 合必離, 離必合.” 往者天子方有意於治, 而范公在相府, 富公在樞..
내한 구양수에게 올린 편지상구양내한서(上歐陽內翰書) 소순(蘇洵) 3. 제 실력은 이미 갖춰졌으니 맘껏 쓰소서 저 여기에 있다는 걸 잊으면 아니 되오夫樂道人之善而不爲謟者, 以其人誠足以當之也. 彼不知者, 則以爲譽人以求其悅己也, 夫譽人以求其悅己, 洵亦不爲也. 而其所以道執事光明盛大之德而不自知止者, 亦欲執事之知其知我也. 雖然執事之名, 滿於天下, 雖不見其文, 而固已知有歐陽子矣, 而洵也不幸, 墮在草野泥塗之中, 而其知道之心, 又近而粗成, 欲徒手奉咫尺之書, 自托於執事. 將使執事, 何從而知之, 何從而信之哉. 부족한 실력을 알고 학문을 연마하다洵少年不學, 生二十五歲, 始知讀書, 從士君子游, 年旣已晩, 而又不遂刻意厲行, 以古人自期, 而視與己同列者, 皆不勝己. 則遂以爲可矣. 其後困益甚, 復取古人之文而讀之, 始覺其出言用意與己大異..
내한 구양수에게 올린 편지상구양내한서(上歐陽內翰書) 소순(蘇洵) 2. 자천하고 싶지만 쉽지가 않네 찾아가 뵈며 자천해야 하는데旣又反而思其向之所慕望愛悅之而不得見之者, 蓋有六人焉, 今將往見之矣, 而六人者, 已有范公尹公二人亡焉, 則又爲之潸焉出涕以悲. 嗚呼, 二人者不可復見矣, 而所恃以慰此心者, 猶有四人也. 則又以自解, 思其止於四人也. 則又汲汲欲一識其面, 以發其心之所欲言. 而富公又爲天子之宰相, 遠方寒士, 未可遽以言通於其前, 而余公蔡公, 遠者又在萬里外. 獨執事在朝廷間, 而其位差不甚貴, 可以叫呼攀援而聞之以言, 而飢寒衰老之病, 又痼而留之, 使不克自至於執事之庭. 夫以慕望愛悅其人之心, 十年而不得見, 而其人已死, 如范公尹公二人者, 則四人者之中, 非其勢不可遽以言通者, 何可以不能自往而遽已也. 집사의 문장을 가장 잘 아는 나執事..
내한 구양수에게 올린 편지상구양내한서(上歐陽內翰書) 소순(蘇洵) 1. 자천할 타이밍이 기어코 왔구나 실력을 길러 자천하려 했지만 좋은 관리들은 다들 떠나버렸네洵布衣窮居, 常竊自歎, 以爲: “天下之人, 不能皆賢, 不能皆不肖. 是以賢人君子之處於世, 合必離, 離必合.” 往者天子方有意於治, 而范公在相府, 富公在樞密, 執事與余公蔡公爲諫官, 尹公馳騁上下, 用力於兵革之地, 方是之時, 天下之人, 毛髮絲粟之才, 紛紛而起, 合而爲一. 而洵也自度其愚魯無用之身, 不足以自奮於其間. 退而養其心, 幸其道之將成, 而可以復見於當世之賢人君子. 不幸道未成, 而范公西, 富公北, 執事與余公蔡公, 分散四出, 而尹公亦失勢奔走於小官. 소인이 판치는 세상에 나는 나의 도를 기르며 기다리리洵時在京師, 親見其事, 忽忽仰天歎息, 以爲斯人之去, 而道雖成,..
내한 구양수에게 올린 편지상구양내한서(上歐陽內翰書) 소순(蘇洵) 解說. 배움의 태도를 배울 수 있는 글 離合二字, 爲前段綱領而以己之道未成, 將成, 粗成, 大成等字, 參錯之. 中間, 叙六君子中有已先死而不及見者, 有貴與遠而難見者, 可以書見者, 唯歐公而已. 遂以一段, 頌公之文, 又以一段, 自述己之文, 節節相生, 前後照應, 無一語出律令外. ○ 選此篇, 又有一說. 老泉二十五歲, 方知讀書學文, 彼其用力精專, 後來成就高卓如此. 後生徒以過時自棄而不肯用力者, 尤宜讀此, 以自鞭策焉. 해석離合二字, 爲前段綱領而以己之道未成, 이(離)와 합(合) 두 글자로 앞 단락의 강령을 삼고 자기의 도가 ‘완성되지 않았다[未成]’ 將成, 粗成, 大成等字, ‘장차 완성되면[將成]’과 ‘대강 완성되면[粗成]’와 ‘크게 완성되면[大成]’ 등의 ..
추밀 전황(田況)께 올린 편지 상전추밀서(上田樞密書) 소순(蘇洵) 田公名況, 字元鈞, 嘉祐三年, 爲樞密使. ○ 東萊云: “此篇, 議論反覆, 極有法度, 最宜詳味. 意實求知, 辭不卑屈.” 1.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에 최선을 다한 공자와 맹자 내가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 天之所以與我者, 夫豈偶然哉. 堯不得以與丹朱, 舜不得以與商均, 而瞽瞍不得奪諸舜, 發於其心, 出於其言, 見於其事, 確乎其不可易也. 聖人不得以與人, 父不得奪諸其子, 於此見天之所以與我者, 不偶然也. 夫其所以與我者, 必有以用我也, 我知之, 不得行之, 不以告人, 天固用之, 我實置之, 其名曰棄天. 自卑以求幸其言, 自小以求用其道, 天之所以與我者何如, 而我如此也, 其名曰褻天. 棄天我之罪也, 褻天亦我之罪也, 不棄不褻而人不我用, 不我用之罪也, 其名曰..
추밀 전황(田況)께 올린 편지 상전추밀서(上田樞密書) 소순(蘇洵) 3. 이젠 일 했으면 좋겠네 일취월장한 학문과 작문 실력 曩者見執事於益州, 當時之文, 淺狹可笑. 飢寒窮困, 亂其心, 而聲律記問, 又從而破壞其體, 不足觀也已, 數年來, 退居山野, 自分永棄, 與世俗日疏闊. 得以大肆其力於文章, 詩人之優游, 騷人之淸深, 孟ㆍ韓之溫醇, 遷ㆍ固之雄剛, 孫ㆍ吳之簡切, 投之所向, 無不如意. 嘗試以爲董生, 得聖人之經, 其失也流而爲迂, 鼂錯得聖人之權, 其失也流而爲詐, 有二子之才而不流者, 其惟賈生乎. 惜乎, 今之世, 愚未見其人也. 저술을 드리니 국정에 활용하고 저의 등용까지도…… 作策二道曰: “審勢審敵.” 作書十篇曰: “權書.” 洵有山田一頃, 非凶歲, 可以無飢, 力耕而節用, 亦足以自老, 不肖之身, 不足惜, 而天之所與者, 不忍..
추밀 전황(田況)께 올린 편지상전추밀서(上田樞密書) 소순(蘇洵) 2. 열심히 공부하여 한 마디 말이 도에 가깝게 되다 나의 일을 할 뿐, 등용되느냐는 다른 사람에 달렸다夫聖人賢人之用心也, 固如此, 如此而生, 如此而死, 如此而貧賤, 如此而富貴, 升而爲天, 沈而爲淵, 流而爲川, 止而爲山, 彼不預吾事, 吾事畢矣. 竊怪夫後之賢者, 不能自處其身也, 飢寒窮困之不勝而號於人. 嗚呼! 使吾誠死於飢寒困窮耶, 則天下後世之責, 將必有在, 彼其身之責, 不自任以爲憂, 而我取而加之吾身, 不亦過乎. 성인과 현인에 가깝길 강구하여 말 한 마디가 도에 가깝게 되다今洵之不肖, 何敢亦自列於聖賢? 然其心, 有所甚不自輕者, 何則? 天下之學者, 孰不欲一蹴而造聖人之域? 然及其不成也, 求一言之幾乎道, 而不可得也. 千金之子, 可以貧人, 可以富人, 非..
추밀 전황(田況)께 올린 편지상전추밀서(上田樞密書) 소순(蘇洵) 1.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에 최선을 다한 공자와 맹자 田公名況, 字元鈞, 嘉祐三年, 爲樞密使.○ 東萊云: “此篇, 議論反覆, 極有法度, 最宜詳味. 意實求知, 辭不卑屈.” 내가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天之所以與我者, 夫豈偶然哉. 堯不得以與丹朱, 舜不得以與商均, 而瞽瞍不得奪諸舜, 發於其心, 出於其言, 見於其事, 確乎其不可易也. 聖人不得以與人, 父不得奪諸其子, 於此見天之所以與我者, 不偶然也. 夫其所以與我者, 必有以用我也, 我知之, 不得行之, 不以告人, 天固用之, 我實置之, 其名曰棄天. 自卑以求幸其言, 自小以求用其道, 天之所以與我者何如, 而我如此也, 其名曰褻天. 棄天我之罪也, 褻天亦我之罪也, 不棄不褻而人不我用, 不我用之罪也, 其名曰逆天...
식(軾)과 철(轍)로 두 아들의 이름을 지은 이유명이자설(名二子說) 소순(蘇洵) 老泉先生二子, 長曰軾, 次曰轍. 觀此老之所以逆料二子之終身, 不差毫釐, 可謂深於知二子矣. 迂齋云: “字數不多而宛轉折族, 有無限意思 此文字之妙也.” 輪輻蓋軫, 皆有職乎車, 而軾獨若無所爲者. 雖然去軾則吾未見其爲完車也, 軾乎, 吾懼汝之不外飾也. 天下之車, 莫不由轍, 而言車之功, 轍不與焉. 雖然車仆馬斃, 而患不及轍, 是轍者禍福之間. 轍乎, 吾知免矣. 해석老泉先生二子, 長曰軾, 次曰轍. 노천선생은 두 아들을 낳았으니 장남은 식이고 차남은 철이다. 觀此老之所以逆料二子之終身, 노천 생각이 두 아들의 종신을 미리 헤아린 것을 보면 不差毫釐, 可謂深於知二子矣. 터럭만큼도 차이가 없으니 두 아들을 앎에 깊었다고 할 만하다. 迂齋云: “字數不多而..
조주에 만들어진 문공 한유의 사당에 쓴 명조주한문공묘비(潮州韓文公廟碑) 소식(蘇軾) 解說. 불교의 말이 깊이 들어 있는 글이다 郞曰: “『東坡外集』, 載與吳子野書, 論此碑云: ‘文公廟碑, 近已寄去矣. 潮州自文公來到, 已有文行之士如趙德者, 蓋風俗之美久矣. 先伯父與陳文惠公相知, 公在政府, 未嘗一日忘潮也, 云: ‘潮民雖小民, 亦知禮義.’ 信如子野言也, 碑中已具論矣.’” ○ 洪容齋曰: “劉夢得ㆍ李習之ㆍ皇甫湜ㆍ李南紀, 皆稱頌文公之文, 各極其至, 及東坡之碑一出而衆說盡廢. 騎龍白雲之詩, 蹈厲發越, 直到雅頌, 所謂若捕龍蛇搏虎豹者, 大哉言乎.” ○ 秦漢以後, 振文章而反之古, 一昌黎耳. 此碑, 誠大題目, 非東坡大手筆, 誰宜爲之? 坡文之雄偉不常者, 此是也. 然方虛谷, 嘗因論感生帝之說而言曰: “維嶽降神, 生甫及申.” 詩人盖盛..
조주에 만들어진 문공 한유의 사당에 쓴 명조주한문공묘비(潮州韓文公廟碑) 소식(蘇軾) 3. 한유의 사당에 지은 시 한유는 죽어서도 어디에나 있다或曰: “公去國萬里而謫于潮, 不能一歲而歸, 沒而有知, 其不眷戀于潮也審矣.” 軾曰: “不然. 公之神在天下者, 如水之在地中, 無所往而不在也, 而潮人獨信之深思之至, 焄蒿悽愴, 若或見之, 譬如鑿井得泉而曰, ‘水專在是.’ 豈理也哉.” 元豊元年, 詔封公昌黎伯. 故榜曰: ‘昌黎伯韓文公之廟.’ 潮人請書其事于石, 因爲作詩以遺之, 使歌以祀公. 한유의 사당에 소식이 지은 시其辭曰: “公昔騎龍白雲鄕, 手抉雲漢分天章, 天孫爲織雲錦裳. 飄然乘風來帝旁, 下與濁世掃粃糠. 西游咸池略扶桑, 草木衣被昭回光, 追逐李杜參翶翔, 汗流籍湜走且僵, 滅沒倒景不得望. 作書詆佛譏君王, 要觀南海窺衡湘, 歷舜九疑弔英..
조주에 만들어진 문공 한유의 사당에 쓴 명 조주한문공묘비(潮州韓文公廟碑) 소식(蘇軾) 2. 한유가 하늘에 일에 최선을 다했기에 죽어서도 기름을 받다 한유는 하늘의 일엔 영향을 줄 수 있었지만 사람 마음엔 영향을 줄 수 없었다 蓋嘗論天人之辨, 以謂, 人無所不至, 惟天不容僞. 智可以欺王公, 不可以欺豚魚, 力可以得天下, 不可以得匹夫匹婦之心. 故公之精誠, 能開衡山之雲, 而不能回憲宗之惑, 能馴鰐魚之暴, 而不能弭皇甫鎛李逢吉之謗, 能信於南海之民, 廟食百世, 而不能使其身一日安於朝廷之上, 蓋公之所能者天也, 其所不能者人也. 조주의 백성들이 한유를 아껴 새로운 사당을 짓게 되다 始潮人未知學, 公命進士趙德, 爲之師, 自是潮之士, 皆篤於文行, 延及齊民. 至于今號稱易治, 信乎. 孔子之言曰: “君子學道則愛人, 小人學道則易使也.”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