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한문놀이터/한문과 교육과정 (174)
건빵이랑 놀자
Ⅴ. 고등학교 언어생활과 한자 성취수준 1 성취기준별 성취수준성취기준성취기준별 성취수준[12언한01-01] 한자의 음과 뜻을 파악한다. A한자의 음과 뜻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B한자의 음과 뜻을 대체로 파악할 수 있다.C한자의 음과 뜻을 부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D 한자의 음과 뜻을 찾아볼 수 있다. E한자의 음과 뜻을 설명에 따라 찾아볼 수 있다.[12언한01-02] 어휘를 표준 발음법에 맞게 읽는다. A어휘를 표준 발음법에 따라 정확하게 읽을 수 있다. B어휘를 표준 발음법에 따라 대체로 읽을 수 있다. C어휘를 표준 발음법에 따라 부분적으로 읽을 수 있다. D 어휘의 표준 발음을 찾아볼 수 있다.E어휘의 표준 발음을 설명에 따라 찾아볼 수 있다.[12언한01-03] 어휘의 의미와 어원을..
Ⅳ. 고등학교 한문 고전 읽기 성취수준 1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성취기준성취기준별 성취 수준[12한고01-01] 한자의 음과 뜻을 알아 글을 읽고 풀이한다.A한자의 음과 뜻을 알아 글을 정확하게 읽고 풀이할 수 있다.B한자의 음과 뜻을 알아 글을 대체로 읽고 풀이할 수 있다.C한자의 음과 뜻을 알아 글을 부분적으로 읽고 풀이할 수 있다.D 한자의 음과 뜻을 찾아 글을 읽고 풀이할 수 있다.E한자의 음과 뜻을 찾아 설명에 따라 글을 읽고 풀이할 수 있다.[12한고01-02] 허사의 쓰임과 문장의 구조에 유의하여 문장을 풀이한다. A허사의 쓰임과 문장의 구조에 유의하여 문장을 정확하게 풀이할 수 있다.B허사의 쓰임과 문장의 구조에 유의하여 문장을 대체로 풀이할 수 있다.C허사의 쓰임과 문장의 구조에 유의..
Ⅲ. 중학교/고등학교 한문 성취수준 1성취기준별 성취수준 (1) 한자와 어휘성취기준성취기준별 성취수준[9한01-01] 한자의 모양·음·뜻을 구별한다. [12한문01-01] 한자의 모양ㆍ음ㆍ뜻을 구별한다. A한자의 모양·음·뜻을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다. B한자의 모양·음·뜻을 대체로 구별할 수 있다.C한자의 모양·음·뜻을 부분적으로 구별할 수 있다.D 한자의 모양·음·뜻을 찾아볼 수 있다. E한자의 모양·음·뜻을 설명에 따라 찾아볼 수 있다. [9한01-02]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구별한다.[12한문01-02]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구별한다. A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다.B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대체로 구별할 수 있다.C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부분적으로 구별할 수 있다.D ..
Ⅱ. 성취수준 활용 1 성취기준 도달 정도 예측 및 개념화 근거 성취기준은 수업 및 평가의 근거로서의 역할을 하지만 성취기준 자체는 도달 정도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추가적으로 성취수준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교사는 성취수준에 대한 일관된 이해를 가지고 수업과 평가를 계획하고 운영해야 하는데 성취기준별 성취수준이나 영역별 성취수준은 이러한 이해와 개념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성취기준별 성취수준은 각 성취기준에 도달한 정도를 해당 교과목 평정 단계에 따라 구체화하여 제시한 것으로 성취기준별로 도달할 수행 목표를 예측하거나 가늠할 수 있다. 영역별 성취수준은 해당 교과목의 영역별로 도달할 목표를 범주(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에 따라 제시한 것으로 교과목 전체 수준에서 각 범주별로 도달할..
Ⅰ. 성취수준 개발의 이해 1 주요 용어 설명 ◉ 성취기준 : 학생들이 각 교과(목)의 “영역별 내용 요소(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를 학습한 결과 궁극적으로 할 수 있거나 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도달점”을 진술한 것 ◉ 성취수준 : 학생들이 각 교과목 성취기준(들)에 도달한 정도를 나타낸 것. 이러한 도달 정도는 몇 개의 수준으로 구분하고, 각 수준에 속한 학생들이 무엇을 알고 할 수 있는지를 기술- 성취기준별 성취수준 : 성취기준 단위 성취수준으로, 학교급・교과목・성취기준의 특성에 따라 3 또는 5수준으로 구분하여 진술 - 영역별 성취수준 : 영역 단위 성취수준으로, 영역 내 성취기준들을 포괄하는 전반적인 특성을 학교급・교과목의 특성에 따라 3수준 또는 5수준으로 구분하여 진술 ..
2. 영역별 성취수준 ∘한자와 어휘성취수준일반적 특성A한자의 모양․음․뜻을 알고, 한자와 한자 어휘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B한자의 모양․음․뜻을 알고, 한자와 한자 어휘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C한자의 모양․음․뜻을 알고, 한자와 한자 어휘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대체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D일부 한자의 모양․음․뜻을 알고, 한자와 한자 어휘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E일부 한자의 모양․음․뜻을 알고, 한자와 한자 어휘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부분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문의 독해성취수준일반적 특성A문장의 구조, 문장 성분의 생략과 도치 등 문법적인 지식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글의 내용과 ..
고등학교 한문 II 1. 교육과정 성취기준⋅평가준거 성취기준⋅평가기준 교육과정 성취기준 평가기준 [12한문Ⅱ01-01] 한자의 모양․음․뜻을 구별한다. 상 모양․음․뜻이 다른 한자를 구별할 수 있다. 중 해당 한자의 모양․음․뜻을 알 수 있다. 하 해당 한자의 모양이나 음이나 뜻을 알 수 있다. [12한문Ⅱ01-02] 문장에 사용된 단어의 짜임을 구별한다. 상 문장에 사용된 서로 다른 단어의 짜임을 구별할 수 있다. 중 문장에 사용된 단어의 짜임을 알 수 있다. 하 문장에 사용된 단어의 짜임을 추측해 볼 수 있다. [12한문Ⅱ01-03] 문장에 사용된 실사와 허사를 구별한다. 상 문장에 사용된 실사와 허사의 쓰임을 구별할 수 있다. 중 문장에 사용된 실사와 허사를 알 수 있다. 하 문장에 사용된 실사와 ..
2. 영역별 성취수준 ∘한자와 어휘 성취수준 일반적 특성 A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의 모양․음․뜻을 알고, 한자와 한자 어휘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B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중 다수 한자의 모양․음․뜻을 알고, 한자와 한자 어휘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C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중 다수 한자의 모양․음․뜻을 알고, 한자와 한자 어휘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대체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D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중 일부 한자의 모양․음․뜻을 알고, 한자와 한자 어휘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E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중 일부 한자의 모양․음․뜻을 알..
고등학교 한문 Ⅰ 1. 교육과정 성취기준⋅평가준거 성취기준⋅평가기준 교육과정 성취기준 평가기준 [12한문Ⅰ01-01] 한자의 모양․음․뜻을 구별한다. 상 모양․음․뜻이 다른 한자를 구별할 수 있다. 중 해당 한자의 모양․음․뜻을 알 수 있다. 하 해당 한자의 모양이나 음이나 뜻을 알 수 있다. [12한문Ⅰ01-02] 한자의 부수를 알고 자전에서 한자를 찾는 데 활용한다. 상 해당 한자의 부수를 알고 자전에서 한자를 찾을 수 있다. 중 해당 한자의 부수를 추측하여 자전에서 한자를 찾는 데 활용할 수 있다. 하 해당 한자의 부수를 추측해 볼 수 있다. [12한문Ⅰ01-03] 한자를 순서에 맞게 바르게 쓴다. 상 한자를 순서에 맞게 바른 모양으로 쓸 수 있다. 중 한자를 순서에 맞게 쓸 수 있다. 하 한자를 ..
2. 영역별 성취수준 ∘한자와 어휘 성취수준 일반적 특성 A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의 모양․음․뜻을 알고, 한자와 한자 어휘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B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 중 다수 한자의 모양․음․뜻을 알고, 한자와 한자 어휘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C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 중 다수 한자의 모양․음․뜻을 알고, 한자와 한자 어휘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대체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D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 중 일부 한자의 모양․음․뜻을 알고, 한자와 한자 어휘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E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 중 일..
Ⅱ. 성취기준ㆍ평가기준 중학교 한문 1. 교육과정 성취기준⋅평가준거 성취기준⋅평가기준 교육과정 성취기준 평가기준 [9한01-01] 한자의 모양․음․뜻을 구별한다. 상 모양․음․뜻이 다른 한자를 구별할 수 있다. 중 해당 한자의 모양․음․뜻을 알 수 있다. 하 해당 한자의 모양이나 음이나 뜻을 알 수 있다. [9한01-02] 한자의 부수를 알고 자전에서 한자를 찾는 데 활용한다. 상 해당 한자의 부수를 알고 자전에서 한자를 찾을 수 있다. 중 해당 한자의 부수를 추측하여 자전에서 한자를 찾는 데 활용할 수 있다. 하 해당 한자의 부수를 추측해 볼 수 있다. [9한01-03] 한자를 순서에 맞게 바르게 쓴다. 상 한자를 순서에 맞게 바른 모양으로 쓸 수 있다. 중 한자를 순서에 맞게 쓸 수 있다. 하 한자를..
5. 예시 평가도구의 활용 방안 학교 현장의 교사는 교과 교육과정에 입각하여 교수·학습을 진행하며, 수업과 연계된 평가를 통해 학생의 교육목표 도달도를 확인하여야 한다. 교과별로 다양한 평가 유형(선다형, 서술형, 수행평가) 및 상황(토론, 체크리스트, 관찰보고서, 체험 활동 보고서, 포트폴리오)에 알맞은 예시 평가도구를 개발하여 제시함으로써 학교현장에서의 평가활동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예시 평가도구는 지역별, 학교별 특성에 따라 개발되었다기보다는 전국의 평균적인 학교의 여건 및 수준을 고려하여 개발하였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단위학교에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학교별 특성과 여건, 학생들의 실제 능력 수준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수정·보완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예시 평가도구의 활용 방안..
4. 단원/영역별 성취수준의 활용 방안 단원/영역별 성취수준은 각 단원 또는 영역에 해당하는 교수·학습이 끝났을 때 학생이 성취하기를 기대하는 지식, 기능, 태도에 도달한 정도를 수준별로 ‘종합적’이고 ‘포괄적’으로 기술한 것이다. 이 성취수준은 단원/영역별 교수‧학습의 계획 수립을 비롯하여 학생의 성취 정도 평가, 학생 및 학부모와의 의사소통 등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활용 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 단원/영역별 교수‧학습 설계 및 개선에 활용 단원/영역별 성취수준은 무엇보다 교수‧학습을 설계하거나 개선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평가기준이 개별 성취기준에 따른 학생의 성취 정도를 수준별로 제시하고 있어 단위 수업의 교수‧학습을 설계할 때 도움이 된다면, 단원/영역별 성취수준의 경..
3. 평가기준의 활용 방안 평가기준이란 학습 정도를 판단하기 위해 성취기준에 도달한 정도를 상/중/하로 구분하여 학생들이 무엇을 알고 있고 할 수 있는지를 기술한 것을 의미한다. 평가기준은 단위 학교에서 반드시 그대로 따라야 하는 것이 아니라 예시적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학교의 상황 및 여건 등을 고려하여 평가기준을 수정‧보완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 성취기준에 대한 학생의 도달 정도 판단에 활용 기본적으로 평가기준은 해당 성취기준에서 기대하는 지식, 기능, 태도 등을 학생들이 어느 정도 성취하였는가를 판별하는 데 활용된다. 즉, 성취기준의 도달정도를 질적인 수준으로 구분하여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의 성취를 파악하고 부족한 부분을 확인하며, 차후의 형성적 지도를 계획하는 일련의 과정의 토대가 된다. 이와..
2. 성취기준의 활용 방안 우리나라 교과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되어 있는 ‘성취기준’은 전국의 모든 학교에 적용하기 위한 일반적이고 공통적인 기준의 성격을 갖는다. 이 성취기준은 학교 현장에서 수업의 방향을 설정하고 교수·학습 내용 선정뿐만 아니라 교과서 개발 및 검·인정을 위한 중요한 기준으로도 활용된다. 나아가 단위 학교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기준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즉 학생들이 어느 정도 학습되었는지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달성 정도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교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성취기준은 단위 학교 현장의 구체적 수업 및 평가 상황 등을 모두 고려하여 개발되기 어려운 측면이 있기 때문에 어떤 성취기준의 경우에는 다소 포괄적이고 추상적인 부분이 있을 수 있다. 이 때..
Ⅰ. 평가기준, 성취수준, 예시 평가도구의 이해 1. 성취기준, 평가기준, 성취수준의 의미 가. 교육과정 성취기준 •국가 교육과정에 진술된 성취기준 •교과를 통해 학생들이 배워야 할 지식과 기능, 수업 후 학생들이 할 수 있어야 할, 또는 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결과 중심의 도달점 교과의 내용(지식)을 적용하고 문제해결을 하는 수행 능력 •학생들이 교과를 통해 배워야 할 내용과 이를 통해 수업 후 할 수 있거나 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능력을 결합하여 나타낸 수업 활동의 기준(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고시 문서 ‘일러두기’) 나. 평가기준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도달한 정도를 상/중/하로 나누어 진술한 것 •평가 활동에서 학생들이 어느 정도의 수준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실질적인 기..
나. 평가 한문(중) (1) 평가의 방향 (가) 성취기준별로 적합한 평가 방법을 모색하여 학습자의 학습 성취 정도를 타당하고 객관적이며 신뢰성 있게 평가할 수 있도록 계획을 수립하고 운용한다.• 평가의 목적, 주체, 대상, 기준, 시기,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지필평가와 수행평가, 양적 평가와 질적 평가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계획을 수립한다.• ‘한자와 어휘’, ‘문장’에 관한 평가가 특정 영역에 편중되지 않도록 유의하며 평가를 운용한다. (나) 평가를 학습의 과정에 통합하여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가 보인 여러 가지 변화를 평가할 수 있도록 계획을 수립하고 운용한다.• ‘한문’ 학습의 결과로 측정할 수 있는 지식이나 행동의 변화에 대한 평가뿐 아니라, 학습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기능과..
3. 교수⋅학습 및 평가 가. 교수⋅학습 한문(중) (1) 교수⋅학습의 방향 (가) ‘한문’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목표와 성취기준을 고려하여 깊이 있는 학습으로 학습자가 미래 사회에 필요한 능력과 인성을 기를 수 있도록 교수⋅학습을 계획하고 운용한다.• ‘한문’의 교수⋅학습은 의사소통, 지식정보처리, 창의적 사고 능력을 기르고, 심미적 감성 및 인성을 함양하는 데 중점을 둔다. ‘한문’ 학습 내용이 실생활에 쉽게 전이되어 학습자가 지식을 실제로 적용⋅활용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을 계획한다.• ‘한자’, ‘어휘’, ‘문장’을 대상, 목적, 맥락에 맞게 이해하고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공동체의 구성원과 소통하고 참여하는 언어 소양을 기를 수 있도록 교수⋅학습을 운용한다. (나) 학습자가..
언어생활과 한자 [12언한01-01] 한자의 음과 뜻을 파악한다. [12언한01-02] 어휘를 표준 발음법에 맞게 읽는다. [12언한01-03] 어휘의 의미와 어원을 설명한다. [12언한01-04] 성어의 의미와 유래를 파악하여 삶의 가치를 이해한다. [12언한01-05] 한자 어휘의 어휘 관계를 파악하여 효율적 언어생활과 문해에 활용한다. [12언한01-06] 사회ㆍ문화 현상에 대응하여 생성된 한자 어휘를 파악하고 조어 특성을 이해한다. [12언한01-07] 학습을 위한 어휘의 개념적 특성을 파악하여 교과 학습에 활용한다. [12언한01-08] 품격 있는 어휘 활용으로 바른 인성을 함양하려는 태도를 지닌다. [12언한01-09] 맥락에 맞는 어휘 활용으로 공동체에서 협력적 소통을 실천한다. [12언한0..
한문 고전 읽기 [12한고01-01] 한자의 음과 뜻을 알아 글을 읽고 풀이한다.[12한고01-02] 허사의 쓰임과 문장의 구조에 유의하여 문장을 풀이한다.[12한고01-03] 글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내용과 주제를 파악한다.[12한고01-04] 글에 담긴 심미적 요소를 찾아 감상한다.[12한고01-05] 다양한 학습 자료를 활용하여 글에 대한 이해를 심화한다.[12한고01-06] 글과 관련한 탐구 활동을 통해 진로를 탐색한다.[12한고01-07] 글을 읽고 자신의 삶에 대입하여 반성적으로 사고한다.[12한고01-08] 다양한 삶의 양태를 존중하고 더불어 사는 포용적 태도를 갖춘다.[12한고01-09] 자연과 생태의 가치를 알고 상생하고자 하는 태도를 지닌다. (가) 성취기준 해설 • [12한..
(2) 문장 한문(중) [9한02-01] 문장의 구조를 구별한다.[9한02-02] 글을 의미에 맞게 읽는다.[9한02-03] 글을 바르게 풀이한다.[9한02-04] 글의 내용을 이해하고 주제를 파악한다.[9한02-05] 글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를 이해하여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성을 함양한다.[9한02-06] 글에 담긴 전통문화의 의미와 가치를 알고 소중하게 여기는 태도를 기른다. (가) 성취기준 해설 • [9한02-01] 이 성취기준은 문장의 구조를 이해하여 기초적인 한문 독해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하였다. ‘문장의 구조’에는 주술 구조, 주술목 구조, 주술보 구조, 주술목보 구조가 있다.• [9한02-02] 이 성취기준은 글을 의미와 맥락에 맞도록 정확하게 읽을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하였..
나. 성취기준 (1) 한자와 어휘 한문(중) [9한01-01] 한자의 모양⋅음⋅뜻을 구별한다.[9한01-02]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구별한다.[9한01-03] 단어의 짜임을 구별한다.[9한01-04] 단어와 성어를 읽고 풀이한다.[9한01-05] 단어와 성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하여 소통하는 태도를 기른다.[9한01-06]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익혀 이해와 교류 증진에 참여하려는 태도를 기른다. (가) 성취기준 해설 • [9한01-02] 이 성취기준은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이해하여 한자의 모양과 음과 뜻을 익힐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하였다.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는 상형(象形), 지사(指事), 회의(會意), 형성(形聲)으로 나눌 수 있다.• [9한01-03] 이 성취기준은 ..
2.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가. 내용 체계 한문(중) (1) 한자와 어휘 핵심 아이디어∙ 한자는 모양⋅음⋅뜻을 지니고 있다. ∙ 단어를 구성하는 의미 요소들 사이에는 일정한 결합 관계가 있다.∙ 성어는 삶의 태도와 가치를 내포하고 있다. 내용 요소지식⋅이해∙ 한자의 모양⋅음⋅뜻∙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 단어의 짜임∙ 단어와 성어의 음과 뜻∙ 한자 문화권의 문화과정⋅기능∙ 한자의 모양⋅음⋅뜻 파악하기∙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 파악하기∙ 단어의 짜임 파악하기∙ 단어와 성어 읽기 ∙ 단어와 성어 풀이하기∙ 단어와 성어 활용하기가치⋅태도∙ 어휘를 활용하여 소통하는 태도∙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이해와 교류 증진에 참여하려는 태도 (2) 문장 핵심 아이디어∙ 문장을 구성하는 성분들 사이에는 일정한 결합 ..
1. 성격 및 목표 한문(중) 가. 성격 한문과는 한문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언어생활과 한문 독해에 활용하며, 한문 자료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심미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교과이다. 또한 선인들의 삶과 지혜, 사상과 감정을 이해하여 자아 정체성과 공동체의 가치를 바탕으로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성을 함양하고 전통문화를 창조적으로 계승⋅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교과이다. 아울러 한자 문화권의 문화를 이해하여 교류 증진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교과이다. 중학교 ‘한문’은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를 중심으로 언어생활에서 한자 어휘의 뜻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맥락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한자 어휘 활용 능력과 기초적인 한문 독해 능력을 기르는 과목이다. 일상생활에 쓰는 ..
교육과정 설계의 개요 한문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은 총론에서 제시한 인간상 및 핵심역량을 한문 교과 차원에서 구현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즉, 한문과 교육과정은 총론의 핵심역량과 연계하여 미래 사회에서 자기 삶의 주체로서 자아를 실현하고 창의적인 삶을 영위하는 데 요구되는 ‘지식정보처리’, ‘창의적 사고’, ‘심미적 감성’, ‘의사소통’, ‘인성 역량’을 교과 역량으로 설정하고, 이러한 역량을 효과적으로 함양할 수 있는 방향으로 교육과정 전반을 구성하였다. 또한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 강조하고 있는 기초 소양 및 다양한 국가⋅사회적 요구 등을 교육과정 문서에 반영하려고 하였다. 중학교 선택 과목 ‘한문’은 한자 및 한문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한자 어휘 활용 능력 및 한문 독해..
3. 다음은 2015 개정 고등학교 한문Ⅰ 교육과정에 따라 ‘한문과 문화’를 지도하기 위해 작성한 와 이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대화이다. 에 따라 서술하시오. [4점]京中則鑄鐵爲器 名曰(㉠) 長一尺五寸 經七寸 用周尺作臺於書雲觀 置器於臺上 每當雨水後 本觀官員 親視下雨之狀 以周尺量水深淺 具書下雨及雨晴日時 水深寸分數 隨卽啓聞置簿 - 『世宗實錄』 - 교사 : 오늘 수업한 내용을 질문하겠습니다. 먼저 ‘강우량을 측정하는 기구’인 (㉠)을/를 설치한 장소는 어디였나요?학생 : 서운관에 받침대를 만들고 그 위에 설치했습니다.교사 : 서운관 관원은 비가 내리는 상황을 직접 살피고 난 후, 어떤 일을 먼저 했나요?학생 : (㉡)교사 : 그 후에 서운관 관원이 기록한 내용은 무엇인가요? 학생 : (㉢)교사 : 지금까지 우..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목차 1. 추구하는 인간상 2. 교육목표 3. 목표 4. 내용의 영역과 기준 1. 내용 체계 2. 학교급별 성취기준 3. 영역 성취 기준 4. 학습내용 성취기준 영 역 내 용 비고 독 해 읽기 소리 내어 읽기 끊어 읽기 Ⅱ 제외 이해 풀이하기 이해하기 감상하기 문 화 한자 문화 전통문화의 이해와 계승 한자문화권의 상호 이해와 교류 언어생활과 한자문화 언어생활 속의 한자 어휘 알고 활용하기 한문학의 이해 한문학 고전 작품 이해하기 Ⅱ만 한문학 고전 작품 감상하기 Ⅱ만 한 문 지 식 한자 한자의 특징 한자의 짜임 Ⅱ 제외 어휘 단어의 짜임 Ⅱ 제외 단어의 갈래 성어의 의미 Ⅱ 제외 문장 문장의 구조 문장의 유형 한문 만 문장의 수사 한문 제외 5. 교수·학습 방법 6. 평가 인..
2015 개정 교육과정한문과 교육과정 목차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7] 1. 성격 2. 목표 3.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가. 내용 체계나. 성취기준 ① 한자와 어휘성취기준[9한01-01]한자의 모양・음・뜻을 구별한다.[12한문Ⅰ01-01]한자의 모양・음・뜻을 구별한다.[12한문Ⅱ01-01]한자의 모양・음・뜻을 구별한다.[9한01-02]한자의 부수를 알고 자전에서 한자를 찾는 데 활용한다.[12한문Ⅰ01-02]한자의 부수를 알고 자전에서 한자를 찾는 데 활용한다. [9한01-03]한자를 순서에 맞게 바르게 쓴다.[12한문Ⅰ01-03]한자를 순서에 맞게 바르게 쓴다. [9한01-04]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구별한다.[12한문Ⅰ01-04]한자의 짜임을 구별한다. [9한01-05]단어의 짜임..
나. 평가 방향 한문 ⑴의사소통 능력, 정보처리 능력, 창의적 사고 능력, 인성 역량, 심미적 감성의 교과 역량을 바탕으로 성취기준별로 적합한 평가 방법을 모색하여 학습자의 학습 성취 정도를 타당하고 신뢰성 있게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⑵융합・연계 교육, 학습자 중심 교육, 핵심역량을 계발할 수 있는 평가를 실시하여 학습자의 성장과 수업 개선을 도모한다. ⑶평가의 목적, 주체, 대상, 기준, 시기,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지필 평가와 수행평가, 양적 평가와 질적 평가를 적절하게 활용한다. ⑷다양한 평가 방법과 기법 및 도구를 적절하게 활용하여 타당성, 객관성, 신뢰성을 확보한 평가를 실시한다. • ‘한문의 이해’, ‘한문의 활용’ 영역의 평가 목표와 평가 내용에 적합한 선택형・서술형・논술형 지필..
4.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 가. 교수・학습 방향 한문 ⑴미래 사회에서 자기 삶의 주체로서 자아를 실현하고 창의적인 삶을 영위하는 데 요구되는 의사소통 능력, 정보처리 능력, 창의적 사고 능력, 인성 역량, 심미적 감성의 교과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 ⑵목표 달성에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다양하게 운영하되, 학습자가 중심이 되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창의적인 학습 활동이 될 수 있도록 한다. ⑶학습자의 발달 수준 및 교육 목표와 내용을 고려하여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선택하여 적용한다. ⑷학습자의 학습 준비 정도나 성취기준 도달 정도를 파악하고, 개인차를 해소하기 위한 교수・학습 방법을 계획한다. ⑸학습자, 가정, 사회의 요구를 수렴하여 학습자의 일상생활에 도움이 되고, 학교급 간 및 다른 ..
(나)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① 교수・학습 방법 한문 • ‘전통문화의 계승과 발전’을 학습할 때에는 토의・토론을 통한 전통문화 이해하기, 전통문화 그림으로 표현하기, 문화유산 답사하기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 ‘한자문화권의 상호 이해와 교류’를 학습할 때에는 토의・토론을 통한 한자문화권 이해하기, 한자문화권 언어・문화 사전 만들기, 한자문화권의 상호 교류 사례 찾아보기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한문 Ⅰ • ‘전통문화의 계승과 발전’을 학습할 때에는 토의・토론을 통한 전통문화 이해하기, 전통문화 그림으로 표현하기, 문화유산 답사하기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 ‘한자문화권의 상호 이해와 교류’를 학습할 때에는 토의・토론을 통한 한..
(5) 한문과 문화 한문 우리 생활에 면면히 이어져 내려온 전통문화는 대부분 한자를 주된 기록 수단으로 하여 보존・전승되고 있다. 또한 우리는 우리만의 민족 문화와 별도로 한자문화권에 속하는 국가들과 일정 부분 공유하는 정신문화도 지니고 있다. 따라서 한문 기록에 담긴 우리의 전통문화 및 한자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기초적 지식을 익혀 전통문화를 계승・발전시키고 한자문화권 내에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를 증진시킬 수 있는 태도를 형성하도록 한다. [9한05-01]한문 기록에 담긴 우리의 전통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미래 지향적인 새로운 문화 창조의 원동력으로 삼으려는 태도를 형성한다. [9한05-02]한자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기초적 지식을 통해 상호 이해와 교류를 증진시키려는 태도를 형성한다. 한문 Ⅰ 우리 생..
(나)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① 교수・학습 방법 한문 • ‘선인들의 지혜와 사상’을 학습할 때에는 명언・명구 속에서 핵심 사상 찾기, 영상 매체를 활용한 토의・토론하기, 명언・명구 암송하기, 자경문(自警文) 만들기, 성찰 일지 쓰기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한문 Ⅰ • ‘선인들의 지혜와 사상’을 학습할 때에는 명언・명구 속에서 핵심 사상 찾기, 영상 매체를 활용한 토의・토론하기, 명언・명구 암송하기, 자경문(自警文) 만들기, 성찰 일지 쓰기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한문 Ⅱ • ‘선인들의 지혜와 사상’을 학습할 때에는 명언・명구 속에서 핵심 사상 찾기, 영상 매체를 활용한 토의・토론하기, 명언・명구 암송하기, 자경문(自警文) 만들기, 성찰 일지 쓰기 등..
(4) 한문과 인성 한문 한문 기록 속에는 현대 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 예컨대 인간의 존엄성 상실, 사회적 약자에 대한 무시, 물질 만능주의와 극단적 이기주의의 만연 등에 대해 해답을 찾을 수 있는 자료들이 많다. 따라서 현재적 의미에서 가치가 있고 실천 가능한 내용을 정선하여 학습함으로써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다. [9한04-01]한문 기록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 사상 등을 이해하고, 현재적 의미에서 가치가 있는 것을 내면화하여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한다. 한문 Ⅰ 한문 기록 속에는 현대 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 예컨대 인간의 존엄성 상실, 사회적 약자에 대한 무시, 물질 만능주의와 극단적 이기주의의 만연 등에 ..
(다)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① 교수・학습 방법 한문 • ‘일상용어’, ‘학습 용어’를 학습할 때에는 나만의 학습 노트 만들기, 짧은 글 짓기, 의미망 만들기, 신문이나 방송 영상 활용하기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 ‘성어’를 학습할 때에는 나만의 학습 노트 만들기, 짧은 글 짓기, 의미망 만들기, 신문이나 방송 영상 활용하기, 성어의 유래 조사하여 발표하기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한문 Ⅰ • ‘일상용어’, ‘학습 용어’를 학습할 때에는 나만의 학습 노트 만들기, 짧은 글 짓기, 의미망 만들기, 신문이나 방송 영상 활용하기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 ‘성어’를 학습할 때에는 나만의 학습 노트 만들기, 짧은 글 짓기, 의미망 만..
(3)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 한문 우리가 일상생활에 쓰는 어휘는 상당 부분 한자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함축적이고 비유적인 뜻을 지닌 성어를 이용해 표현하는 경우도 흔하다. 또한 다른 교과에서 사용하는 학습 용어의 상당수도 한자 어휘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를 중심으로, 한자에 바탕을 둔 일상용어와 학습 용어, 성어를 익혀 언어생활을 원활히 하고 다른 교과에서 사용하는 학습 용어를 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9한03-01]한자로 이루어진 일상용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한다. [9한03-02]한자로 이루어진 다른 교과 학습 용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한다. [9한03-03]한자로 이루어진 성어의 의미를 이해하고 맥락에 맞게 활용한다. 한문 Ⅰ 우리가 일상생활에 쓰는 ..
(라)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 한문 • 문장의 구조나 문장 성분 찾기, 문장의 유형을 구별하도록 하되, 학습 과정 중심의 수행평가 형태가 되도록 하고 문법적 내용보다는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하는 데 중점을 두어 평가한다. • 학습의 경험 이전과 이후의 변화에 집중하며 학습의 과정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 지필 평가, 관찰, 면담, 점검표, 논술 등 다양한 방법으로 평가를 실시하고, 지필 평가의 결과, 토의 및 토론의 참여도와 결과물 등 교수・학습 과정에서의 다양한 산출물 및 참여 태도를 종합하여 평가 자료로 활용한다. 한문 Ⅰ • 문장의 구조나 문장 성분 찾기, 문장의 유형을 구별하도록 하되, 학습 과정 중심의 수행평가 형태가 되도록 하고 문법적 내용보다는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하는 데..
(다)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① 교수・학습 방법 한문 • ‘문장의 구조’를 학습할 때에는 문장 구조 분석하기, 어순에 유의하여 문장 독해하기, 허사의 쓰임에 유의하여 문장 독해하기, 비교・분석하기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 ‘문장의 유형’을 학습할 때에는 비교・분석하기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 ‘소리 내어 읽기’를 학습할 때에는 낭송하기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 ‘끊어 읽기’를 학습할 때에는 토 달아 읽기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 ‘내용과 주제’를 학습할 때에는 토의・토론하기, 역할 놀이 학습, 그림・만화 활용하기, 연극・방송 대본 만들기, 역사 신문 만들기, 가상 인터뷰하기 등 다양한 교수・학습 ..
• 한시의 형식 한문 [9한02–07] 한시(漢詩)의 시상(詩想) 전개 방식은 기승전결(起承轉結)의 네 단계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곧, 네 구(句)로 된 한시인 절구(絶句)의 경우, 기구(起句)에서 시상을 불러일으키고, 승구(承句)에서 시상을 이어받아 확대・발전시키며, 전구(轉句)에서 시상에 변화를 주어 장면이나 분위기를 비약・전환시켰다가, 결구(結句)에서 전체의 시상을 마무리하는 것이다. 한시를 바르게 이해하고 감상하려면 시상 전개 과정을 잘 살펴서 시 전체의 분위기를 읽어내고 제목, 작가와 작품에 대한 배경지식을 바탕으로 한시에 사용된 시어나 시구의 의미와 이미지, 비유 대상 등을 통해 시의 내용과 연결하여 시가 지닌 참다운 맛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문 Ⅰ [12한문Ⅰ02–..
• 서술 방식 및 문체 한문 [9한02–06] 한문 산문은 문학적인 글은 물론 역사적・철학적인 글이나 심지어 실용적인 글조차도 각기 감상의 대상이 되는 하나의 작품이기도 하다. 여기서 감상(鑑賞)은 작품의 내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작품의 가치를 평가・감정(鑑定)하고 아름다움과 재미를 느끼는 심미적(審美的) 활동이다. 작품의 가치를 평가하고 감정할 때에는 작품의 내용이 가지는 의미를 자신의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어야 하며, 작품의 아름다움과 재미를 느낄 때에는 작품에서 자신이 느끼기에 특별히 멋있거나 재미있는 부분이 왜, 그리고 어떻게 멋있거나 재미있는지를 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문 Ⅰ [12한문Ⅰ02–07] 한문 산문은 글의 종류와 목적에 따라 서로 다른 서술 방식을 사용한다. 가령,..
• 글의 풀이와 글의 주제 이해 한문 [9한02–05] 글을 바르게 풀이하기 위해서는 단문, 산문, 한시 등에 사용된 단어나 구절의 뜻, 문장이나 문단의 의미, 글의 구조나 전개 방식, 그리고 문체와 분위기 등을 고려하여 풀이할 수 있도록 한다. 글의 내용을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글을 구성하는 단어, 구절, 문장, 그리고 시구의 의미를 먼저 알도록 한다. 글의 주제를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단문, 산문, 한시 등 글의 내용 가운데 중심이 되는 내용이나 핵심이 되는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문 Ⅰ [12한문Ⅰ02–06] 글을 바르게 풀이하기 위해서는 단문, 산문, 한시 등에 사용된 단어나 구절의 뜻, 문장이나 문단의 의미, 글의 구조나 전개 방식, 그리고 문체와 분위기 등을 고..
• 문장의 유형 한문 [9한02–02] 문장의 유형은 문장을 일정한 기준에 의거하여 분류한 것이다. 문장의 유형을 화자(話者)가 나타내는 어기(語氣)를 기준으로 나누면 평서문(平敍文), 의문문(疑問文), 명령문(命令文), 감탄문(感歎文)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평서문은 화자가 청자에게 특별히 요구하는 바 없이 하고 싶은 말을 단순하게 진술하는 문장이다. 의문문은 화자가 청자에게 질문하여 대답을 요구하는 문장이다. 명령문은 화자가 청자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요구하거나 요청하는 문장이다. 감탄문은 사물이나 사실에 느낌을 받아 슬픔, 기쁨, 놀라움 등의 감정을 나타내는 문장이다. 한문 Ⅰ [12한문Ⅰ02–03] 문장의 유형은 문장을 일정한 기준에 의거하여 분류한 것이다. 문장의 유형을 화자(話者)가 나타내..
(나) 성취기준 해설 • 문장의 구조 한문 [9한02–01] 문장의 구조는 문장을 구성하는 성분들 사이의 일정한 결합 방식을 말한다. 문장 성분에는 주성분과 부속성분, 독립성분이 있다. 문장의 구조는 주성분들 사이의 관계를 중심으로 보면 주술 구조, 주술목 구조, 주술보 구조, 주술목보 구조 등이 있다. 주술 구조는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로 이루어진 구조로 주어가 앞에 놓이고 서술어가 뒤에 놓인다. 주술목 구조는 주어, 서술어, 목적어의 관계로 이루어진 구조로 서술어가 앞에 놓이고 목적어가 뒤에 놓인다. 주술보 구조는 주어, 서술어, 보어의 관계로 이루어진 구조로 서술어가 앞에 놓이고 보어가 뒤에 놓인다. 주술목보 구조는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의 관계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한문 Ⅰ [12한문Ⅰ02–..
(2) 한문의 독해 한문 한문은 고전 문언문으로 한자문화권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던 국제적 표기 수단의 하나로서, 우리 조상들 역시 수천 년 동안 한문을 사용하여 사상과 감정을 표현해 왔다. 따라서 문장의 구조와 유형 등 문법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글의 내용과 주제를 바르게 파악하고 한문 전적에 담긴 조상들의 사상과 감정을 올바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9한02-01] 문장의 구조를 구별한다. [9한02-02]문장의 유형을 구별한다. [9한02-03]글의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바르게 소리 내어 읽는다. [9한02-04]토가 달려 있는 글을 토의 역할에 유의하여 바르게 끊어 읽는다. [9한02-05]글을 바르게 풀이하고 내용과 주제를 설명한다. [9한02-06]한문 산문의 내용을 이해하고 감상한다. [9한..
(라)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 한문 • 한자는 그와 관련된 기초적인 지식의 성취와 활용에 중점을 두어 평가한다. • 단순히 한자를 쓰는 순서를 묻기보다는 한자를 정확하고 바르게 쓰는 것에 중점을 두어 평가한다. • 단순히 한자의 짜임이 무엇인지를 묻기보다는 한자의 짜임을 이해하고 한자 학습에 활용할 수 있는가에 중점을 두어 평가한다. • 단순히 단어의 짜임이 무엇인지를 묻기보다는 단어의 짜임을 이해하고 한문 학습에 활용할 수 있는가에 중점을 두어 평가한다. • 단순히 실사와 허사가 무엇인지를 묻기보다는 그 차이점을 구분할 수 있는가에 중점을 두어 평가한다. • 텍스트만 제시하기보다는 삽화나 사진, 신문, 광고 등 실생활 관련 자료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평가 방식을 다양화한다. 한문..
(다) 교수ㆍ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① 교수・학습 방법 한문 • ‘한자의 모양・음・뜻’, ‘한자의 부수’, ‘한자의 필순’을 학습할 때에는 자전(사전, 옥편) 활용하기, 자원(字源) 활용하기, 부수(部首) 활용하기, 필순대로 따라 쓰기, 한자 카드 활용하기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 ‘한자의 짜임’을 학습할 때에는 한자 구조 분석하기, 한자의 구성 성분 활용하기, 한자 카드 활용하기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 ‘단어의 짜임’을 학습할 때에는 단어 구조 분석하기, 비교・분석하기, 어휘 만들기, 한자 카드 활용하기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 ‘실사와 허사’를 학습할 때에는 비교・분석하기, 허사 쓰임 유추하기, 한자 카드 활용하기 등 다양..
11. 기타(其他) ● 가능(可能) ◇ 대표글자 - [ ~할 수 있다, ~할 만하다] 가(可), 능(能), 득(得), 족(足), 가이(可以), 족이(足以), 득이(得以) 등 * 夫婦之不肖 可以能行焉(부부지불초 가이능행언) : 부부의 부족함으로도 행할 수 있다. 『중용』 12장 * 足以保四海(족이보사해) : 온 세상을 보존할 수 있다. 『맹자』 「양혜왕」 * 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온고이지신 가이위사의) : 옛 것을 익혀 새 것을 안다면 스승이 될 만하다. 『논어』 「위정」 ● 부정(否定) 부정보조사는 부정문(否定文)을 만드는 역할을 하는데, ‘비(非, 아니다)’나 ‘무(無, 없다)’ 등은 보조사가 아니고 자체가 서술어 성분으로 사용됩니다. 대표글자 - [아니다, 없다] 불(不), 불(弗), 미(未), 막(..
10. 감탄사(感歎詞) 문장의 밖에 독립적으로 놓여 화자(話者)의 부름, 느낌, 놀람이나 응답을 나타내는 단어 ⇒2007 개정 감탄사는 독립어(獨立語)로 떨어져 문장 앞에 사용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구별하기는 쉽습니다. 해석은 “아!”라고 탄식하는 표현입니다. ◇ 대표 글자 : 오(惡), 어(於), 오호(嗚呼), 희(噫), 어호(於乎), 차호(嗟乎) 등 * 惡 是何言也(오 시하언야) : 아! 이것이 무슨 말인가? 『孟子』 「公孫丑」 품사 (品詞) 실사 (實辭) 명사(名詞) 대명사(代名詞) 수사(數詞) 동사(動詞) 형용사(形容詞) 부사(副詞) 허사 (虛辭) 개사(介詞) 접속사(接續詞) 어조사(語助詞) 감탄사(感歎詞) 인용 목차 내용체계 07 개정
9. 어조사(語助詞) 단어나 어구 또는 문장의 앞, 가운데나 뒤에 와서 문법적인 의미나 어기(語氣) 등을 나타내는 단어 ⇒2007 개정 종결사는 단순하게 문장의 끝에 놓이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역시 문장의 종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활용됩니다. ● 단정, 지정, 서술 평서문(平敍文)의 종결사로 사용하는데, 큰 의미를 지니지는 않습니다. 의문문에 사용되는 경우는 의문종결사가 되기도 합니다. ◇ 대표글자 – 야(也), 의(矣), 언(焉) 등 * 閉戶先生來也: 폐호선생이 온다. 「楚國先賢傳」 * 今夕盡矣: 오늘 밤에 모두 끝납니다. 「雲英傳」 * 三人行 必有我師焉: 세 사람이 가는 곳에는 반드시 나의 스승이 있다. 『논어』 「술이」 ▲ 언(焉)은 ‘어차(於此)’, ‘어지(於之)’의 의미로 쓰이기도 합니다...
8. 접속사(接續詞) 단어와 단어, 어구(語句)와 어구, 문장과 문장 등을 서로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단어 ⇒2007 개정 말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접속사들은 문장의 흐름을 이해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문장의 종류를 결정하는 요소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1. 일반 접속사 ● 단어 + 단어 여(與), 급(及): 대칭적인 단어나 구를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 富與貴 人之所欲也: 부와 귀는 사람이 욕구하는 것이다. 『논어』 「里仁」 * 予及女偕亡: 나와 너 함께 망하자. 『孟子』 「梁惠王」 ● 용언 + 용언 而, 且: 절 이상 문장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데, 반드시 서술어 성분의 글자를 연결하기 때문에 독해에 유의해야 합니다. * 說而不繹: 기뻐하기만 하고 실마리를 찾지 않는다. 『論語』 「子罕」..
7. 개사(介詞) 일반적으로 명사나 대명사 등 명사류(名詞類) 앞에 놓여 그 명사류를 서술어와 연결해주면서 처소, 대상, 도구, 시간, 원인, 비교 등의 뜻을 나타내는 단어 ⇒2007 개정전치사(前置詞)와 후치사(後置詞)로 나뉜다. 전치사(前置詞) 문장 속의 위치로 인하여 전치사(前置詞)라는 명칭을 사용했지만, 일반적으로는 개사(介辭)라 불립니다. 문장 속에서 명사의 앞에 놓여 문장의 흐름을 이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일반 전치사(於, 于, 乎) ‘서술어+於+목적어’의 구조로 사용되는데, 특히 일반적인 의미와 비교의 의미로 사용되는 것을 유의해야 합니다. ● 처소, 출발, 대상 * 繞壁而轉 至于生所坐處: 벽을 돌아오더니 심생이 앉은 곳에 이르렀다. 「沈生傳」* 皆根於天具於性而然者:..
6. 부사(副詞) 동사나 형용사 또는 다른 부사를 수식하여 정도, 범위, 시간, 부정 등을 나타내는 단어 ⇒2007 개정 특히 문장의 의미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활용되기에 주의해서 이해해야 하고, 서술어 앞에서 부사어로 활용됩니다(부사는 허사로 분류하는 학술적 주장도 있음). ● 정도 ◇ 대표글자 - 最(가장), 甚(매우), 大(크게), 至(지극히), 益(더욱), 必(반드시), 尙(아직도), 常(항상) * 必援筆箚記: 반드시 붓을 들고 기록했다. 『過庭錄』 * 非至文也: 지극한 문장이 아니다. 『小華詩評』 ● 시간 시제의 개념이 없는 한문에서는 서술어 앞에 시간을 의미하는 부사를 사용해서 시간적 개념을 표현합니다. [과거] 이미: 已, 旣 / 일찍이: 嘗, 曾 [현재] 方(바야흐로), 今(이제), 始..
5. 형용사(形容詞) 사람이나 사물의 성질 또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 ⇒2007 개정 문장 속에서 수식어 역할을 하는 경우와 서술어 성분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1. 수식어 역할 문장 속에서 명사를 수식하는 수식어 역할의 경우입니다. * 同病相憐: 같은 병을 갖은 사람끼리 서로 불쌍하게 여긴다. 「崔陟傳」 2. 서술어 역할 문장 속에서 서술어 성분으로 사용되는 경우입니다. * 少年易老學難成: 소년은 늙기가 쉽고 학문은 이루기가 어렵다 . 품사 (品詞) 실사 (實辭) 명사(名詞) 대명사(代名詞) 수사(數詞) 동사(動詞) 형용사(形容詞) 부사(副詞) 허사 (虛辭) 개사(介詞) 접속사(接續詞) 어조사(語助詞) 감탄사(感歎詞) 인용 목차 내용체계 07 개정
4. 동사(動詞) 사람이나 사물의 동작, 행위, 심리 활동, 소유, 존재 등을 나타내는 단어 ⇒2007 개정 일반적으로 문장 속의 서술어 성분으로 활용되는 글자입니다. * 擧槍射之: 총을 꺼내 그를 쐈다. 『韶濩堂集』 * 溫故而知新: 옛 것을 익혀서 새 것을 안다. 『논어』 「위정」 * 徐以一言條析之: 천천히 하나의 말로 그것들을 조리 있게 분석했다.『鶴峰集』 품사 (品詞) 실사 (實辭) 명사(名詞) 대명사(代名詞) 수사(數詞) 동사(動詞) 형용사(形容詞) 부사(副詞) 허사 (虛辭) 개사(介詞) 접속사(接續詞) 어조사(語助詞) 감탄사(感歎詞) 인용 목차 내용체계 07 개정
3. 수사(數詞) 사물의 수량(數量)이나 차례를 나타내는 단어 ⇒2007 개정 * 백옥만이천 일일조점훼(白玉萬二千 一一遭點毁): 백옥 같은 일만이천 봉이 점으로 만나 뭉그러지네. 「觀鄭元伯霧中畫毗盧峯」 * 양아세공전오백(兩兒歲貢錢五百): 두 아이 한 해에 돈 500을 공납하고 나니 「奉旨廉察到積城村舍作」 품사 (品詞) 실사 (實辭) 명사(名詞) 대명사(代名詞) 수사(數詞) 동사(動詞) 형용사(形容詞) 부사(副詞) 허사 (虛辭) 개사(介詞) 접속사(接續詞) 어조사(語助詞) 감탄사(感歎詞) 인용 목차 내용체계 07 개정
2. 대명사(代名詞) 사람이나 사물, 장소 및 상태나 동작 등을 대신하여 가리키는 뜻을 나타내는 단어 ⇒2007 개정인칭대명사와 지시대명사, 의문대명사로 분리할 수 있는데, 각각 대표글자들에 유의하여 이해하면 됩니다. 1. 인칭대명사문장 속의 인칭대명사는 1인칭과 2인칭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실제 사용되는 빈도수는 1인칭에 ‘아(我)’, ‘오(吾)’, 2인칭에 ‘여(汝)’, ‘자(子)’가 주종을 이룹니다.● 1인칭 – 아(我), 오(吾), 여(予), 여(余), 기(己), 소인(小人), 과인(寡人), 짐(朕), 불초(不肖), 불녕(不佞) 등* 予一以貫之: 나는 하나로 모든 것을 꿰뚫었다. 『논어』 「위령공」* 干戈朕, 琴朕, 弤朕, 二嫂使治朕棲: 방패와 창은 나에게로, 거문고는 나에게로, 조각하여 만든 ..
1. 명사(名詞) 사물이나 개념의 이름을 나타내는 단어 ⇒2007 개정 한문 문장 속에서 성분상으로 주어(主語)와 목적어(目的語), 보어(補語)로 활용되는 글자들입니다. 1. 완전 명사 일반적인 명사들을 의미합니다. * 春來向富人: 봄이 와 부잣집에 가다. 「田家秋夕」 * 携幼入室: 어린아이를 데리고 집에 들어가다. 「歸去來辭」 2. 불완전 명사 의존명사로도 불리는 글자들로 반드시 수식하는 글자를 수반하는 글자입니다. 보통 ‘자(者)’와 ‘소(所)’ 두 개의 글자만 알고 있으면 됩니다. ▲ 자(者)는 글자 앞에 수식어가 오고 사물을 의미할 때는 ‘~하는 것’이라 해석하고, 사람을 의미할 때는 ‘~하는 사람’이라고 해석됩니다. ▲ 소(所)는 글자의 뒤에 수식어가 오고 해석은 ‘~하는 것’이라 해석됩니다. ..
• 품사 한문 [9한01–06] 품사(品詞)는 어휘를 의미와 기능에 따라 분류하여 공통된 성질을 가진 것끼리 모아 놓은 단어들의 갈래를 말한다. 한문의 품사에는 단독으로 어휘적 의미를 가지는 ‘실사(實辭)’와 단지 문법적 의미만을 나타내고 단독으로는 어휘적 의미를 가지지 못하는 ‘허사(虛辭)’가 있다. ‘실사’에 속하는 품사로는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부사가 있다. ‘허사’에 속하는 품사로는 개사, 접속사, 어조사, 감탄사가 있다. 한문 Ⅰ [12한문Ⅰ01–06] 품사(品詞)는 어휘를 의미와 기능에 따라 분류하여 공통된 성질을 가진 것끼리 모아 놓은 단어들의 갈래를 말한다. 한문의 품사에는 단독으로 어휘적 의미를 가지는 ‘실사’와 문법적 의미만을 나타내는 ‘허사’가 있다. 실사에 속하는 ..
• 단어의 짜임 한문 [9한01–05] ‘단어의 짜임’은 단어를 형성하는 의미 요소들 사이의 결합 관계를 말한다. 단어의 짜임은 문법적 기능에 따라 주술(主述) 관계, 술목(述目) 관계, 술보(述補) 관계, 수식(修飾) 관계, 병렬(竝列) 관계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주술 관계는 주어(主語)와 서술어(敍述語)의 관계로 이루어진 단어이다. 서술어는 주어에 대해 진술하는 내용을 나타내고, 주어는 서술어의 진술을 받는 대상이 된다. 주어를 먼저 새기고, 서술어는 나중에 새긴다. 술목 관계는 서술어와 목적어(目的語)의 관계로 이루어진 단어이다. 서술어는 동작이나 행위 또는 소유(예: 有, 無)를 나타내고, 목적어는 그 대상이 된다. 목적어를 먼저 새기고, 서술어를 나중에 새긴다. 술목 관계의 단어는 어순(語順..
(나) 성취기준 해설 •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한자의 짜임) 한문 [9한01–04]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이해하면 한자의 모양과 음과 뜻을 익히는 데 도움이 된다.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는 ‘상형(象形)’, ‘지사(指事)’, ‘회의(會意)’, ‘형성(形聲)’으로 나눌 수 있다. ‘상형’은 구체적인 사물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것이고, ‘지사’는 추상적인 생각이나 뜻을 점이나 선으로 나타낸 것이다. ‘회의’는 이미 만들어진 둘 이상의 글자들을 결합하여 새로운 글자를 만들되, 그 글자들이 지닌 뜻을 합쳐서 새로운 뜻을 나타낸 것이다. ‘형성’은 이미 만들어진 글자를 결합하여 새로운 뜻을 만들되, 일부는 뜻을 나타내고 일부는 음을 나타낸 것이다. 한문 Ⅰ [12한문Ⅰ01–04] 한자의 짜임은 일정한 구성 원리와..
나. 성취기준 (1) 한자와 어휘 한문 한자는 글자 하나하나가 높은 형상성과 강력한 의미 전달력, 풍부한 조어력을 지닌 문자이다. 따라서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를 중심으로 한자와 한자 어휘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문장 학습과 언어생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9한01-01]한자의 모양・음・뜻을 구별한다.[9한01-02]한자의 부수를 알고 자전에서 한자를 찾는 데 활용한다.[9한01-03]한자를 순서에 맞게 바르게 쓴다.[9한01-04]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구별한다.[9한01-05]단어의 짜임을 구별한다.[9한01-06]문장에 사용된 실사와 허사를 구별한다. 한문 Ⅰ 한자는 글자 하나하나가 높은 형상성과 강력한 의미 전달력, 풍부한 조어력을 지닌 문자이다. 따라서 한문 교육용 기..
2. 목표 한문 한문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한문 독해와 언어생활에 활용하며, 다양한 유형의 한문 자료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심미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또한 한문 기록에 담긴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여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하고, 전통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창조적으로 계승・발전시키며, 한자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한자문화권 내에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에 기여하려는 태도를 지닌다. 중학교 ‘한문’은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를 중심으로 한문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한문 독해와 언어생활에 활용하며, 한문 자료를 이해하고 향유할 수 있는 기본적인 능력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둔다. 그리고 한문 기록에 담긴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여..
1. 성격 한문은 고전 문언문(文言文)으로 한자문화권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던 국제적 표기 수단의 하나였다. 우리 조상들 역시 수천 년 동안 한자와 한문을 사용하여 사상과 감정을 표현해 왔으므로 우리 조상들의 지혜와 사상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한문으로 기록된 각종 전적(典籍)들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독해력을 길러야 한다. 또한 우리가 일상생활에 쓰는 상당 부분의 어휘가 한자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특히 다른 교과에서 주로 사용하는 학습 용어의 상당수가 한자 어휘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원활한 언어생활과 다른 교과에서 사용하는 학습 용어를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 한문 학습이 필요하다. 그리고 한문 기록 속에는 우리의 정신문화가 대부분 축적되어 있어 현재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여러 가지 가치관의 문제 등을 치유할 ..
3.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가. 내용 체계 영역핵심 개념일반화된 지식내용 요소기능한문의 이해한자와 어휘한자는 하나의 글자가 모양・음・뜻을 지니고 있다.한자의 모양・음・뜻읽기풀이하기이해하기표현하기탐구하기조사하기분석하기활용하기한자의 부수한자의 필순한자의 짜임단어를 구성하는 의미 요소들 사이에는 일정한 결합 관계가 있다.단어의 짜임한문의 품사에는 단독으로 어휘적 의미를 가지는 실사와 문법적 의미만을 나타내는 허사가 있다.실사와 허사한문의 독해문장을 구성하는 성분들 사이에는 일정한 결합 방식이 있다.문장의 구조읽기풀이하기이해하기표현하기비평하기감상하기탐구하기조사하기분석하기토의・토론하기활용하기화자(話者)가 자기의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하는 문장에는 여러 가지 유형이 있다.문장의 유형글을 이루는 단어, 구절, 문장은..
2007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목차 Ⅰ. 개정의 배경 Ⅱ. 개정의 중점 Ⅲ. 한문과 선택 과목 교육과정 해설 1. 성격 2. 목표 3. 내용 체계 영역 내용 한문 읽기 단문의 읽기와 풀이 단문을 소리 내어 읽을 수 있다 단문을 끓어 읽을 수 있다 단문을 바르게 풀이할 수 있다 산문의 읽기와 풀이 산문을 소리 내어 읽을 수 있다 산문을 끊어 읽을 수 있다 산문을 바르게 풀이할 수 있다 한시의 읽기와 풀이 한시를 소리 내어 읽을 수 있다 한시를 끊어 읽을 수 있다 한시를 바르게 풀이할 수 있다 이해 단문의 이해와 감상 단문의 내용과 주제를 이해한다 단문의 특수한 표현방식을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다 산문의 이해와 감상 산문의 문체와 특징을 이해한다 Ⅰ만 산문의 내용과 주제를 이해한다 산문의 특수한 표현방식을 ..
Ⅳ. 기타 한문과 선택 과목 신・구 교육과정의 비교 고등학교 한문과 선택 과목 교육과정 개정의 중점, 개정 사항의 요약 그리고 제7차와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을 비교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개정의 중점◦학습자의 한문 능력 향상을 중시◦학습자의 의미 있는 학습 경험을 중시◦기초・기본 교육의 내실화◦교육 내용의 사회적, 개인적, 학문적 적합성을 추구 2. 개정 사항 요약◦한문 과목 성격 규정의 명료화◦한문 과목 목표 체계의 일원화◦교육 내용의 정선 및 내적 구조화 지향◦교육 내용의 범위와 수준의 구체화◦교육 내용 제시 방식의 개선(내용+행동)◦‘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의 구체화 3. 신・구 교육과정 비교제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한문과 선택 과목의 중요한 차이점을 교육과..
[Ⅰ문화(1)]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고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한다. 이 학습 내용은 중학교 한문 [1문화(1)], [2문화(1)], [3문화(1)]과 연계된다. ‘한문 Ⅰ’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범위의 한자가 활용된 한문 학습을 통하여 선인(先人)들의 삶과 지혜를 바르게 이해하고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할 수 있어야 한다.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한다.’는 것은 한문 학습을 통하여 한문에 담겨 있는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바르게 이해하는 것을 말한다. 한글이 창제되기 이전에 우리의 선인들은 주로 한문으로 문자 생활을 영위하였다. 한글이 창제된 이후에도 오랫동안 한문은 우리 민족의 삶과 역사를 표현하고 기록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우리의 선인..
2. 목 표 한문 Ⅰ 개정 교육과정에서 설정한 고등학교 ‘한문 Ⅰ’ 교육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한문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한문 독해와 언어생활에 활용하며, 다양한 유형의 한문 자료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심미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또, 한문 기록에 담긴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여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하고, 전통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창조적으로 계승, 발전시키며,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한자 문화권 내에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에 기여하려는 태도를 지닌다. 가. 고등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의 음과 뜻을 알고 쓸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나. 한문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한문 독해와 언어생활에 활용하는 능력을 기른다.다...
Ⅱ. 한문과 선택 중심 교육과정 개정의 중점 고등학교 한문 과목 교육에 대한 국가・사회적 요구와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과목의 위상, 현행 한문 선택 과목 교육과정이 안고 있는 내적 문제를 개선하고자 한 2007년 개정 한문 선택 과목 교육과정 개정의 중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문 과목의 도구 교과적 성격을 새롭게 규정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한문 과목의 도구 교과적 성격을 국어 어휘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한자어 학습을 통하여 언어생활을 원활하게 하고 다른 교과를 학습하는 데 도움을 주는 과목이라는 점에서 찾았다. 그러나 한문 과목에서 다루는 내용은 언어생활에서의 활용과 다른 교과를 학습하는 데 도구가 될 뿐만 아니라 한문으로 이루어진 각종 자료 및 이와 관련된 학문과 문화의 제 분야를 이해..
라. 평가 결과의 활용 양적 평가와 질적 평가, 형식 평가와 비형식 평가, 직접 평가와 간접 평가 등 다양한 평가 방식을 선택, 활용하여 학습자의 한문 학습 과정과 결과를 측정한 뒤, 그 결과를 교사와 학습자의 교 수・학습 과정의 문제점 진단과 개선에 활용하는 것을 ‘평가 결과의 활용’이라고 할 수 있다. ‘평가 결과의 활용’에 고려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⑴ 평가 결과는 선수 학습의 정도나 성취 수준의 진단, 교수・학습 계획의 수립 등에 활용한다.평가는 진단 평가나 형성 평가의 경우처럼, 학기 초, 혹은 교수・학습을 시작하기 전이나 도중에 실시하여, 학습자의 선수 학습의 정도나 성취 수준의 진단, 학습 목표의 성취 가능성을 파악하는 데 활용하도록 한다. 그리고 총괄 평가와 같은 대단원 및 소단원 ..
다. 평가 방법 한문 과목 평가에서 ‘평가 방법’은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와 관련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평가 방법 선택, 활용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⑴ 평가 목표, 평가 내용, 평가 기준 등과 연계하여 다양한 평가 방법을 활용한다.⑵ 단순 암기력보다는 이해력, 사고력, 창의력 등 고등 정신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 방법과 평가 도구를 개발, 활용한다.평가 목표, 평가 내용, 평가 기준 등과 연계하여 다양한 평가 방법을 고려하되, ‘한문’ 영역의 ‘읽기’, ‘이해’, ‘문화’ 그리고 ‘한문 지식’ 영역의 ‘한자’, ‘어휘’, ‘문장’을 분절적으로 구분한 결과, 단편적 지식이나 정보의 기억과 회상에 의존하는 단순 암기력을 측정하기보다는 한문 학습을 통한 학습자의 사고력, 창의력 등 고등..
나. 평가 목표와 내용 한문 과목 평가에서 ‘평가 목표’란 평가를 통해 최종적으로 달성해야 할 구체적 도달점이며, 이를 확인하기 위해 선정・조직된 평가의 대상을 ‘평가 내용’으로 볼 수 있다. 평가 목표 설정 및 평가 내용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⑴ 평가 목표는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설정한다.평가 목표는 무엇보다 고등학교 ‘한문 Ⅰ’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 그리고 영역별 내용에 기초하여 설정되어야 한다. 특히, 성격, 목표, 내용 가운데 교사의 선호도에 근거하여 특정 항목에 치중하거나 일부 학습 내용을 강조하는 평가는 지양되어야 한다. ⑵ 평가 목표는 평가 주체와 대상, 평가 내용, 평가 기준, 평가 방법, 평가 시기 등 교수・학습의 구체적 ..
가. 평가 계획 한문 과목 평가에서 ‘평가 계획’은 평가 목적, 평가 목표와 내용, 평가 방법, 평가 시기 그리고 평가 결과의 활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교사가 평가를 시행하기 전에 수립하는 계획이라고 할 수 있다. 평가 계획 수립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⑴ 평가는 학습자의 학습 성취 정도를 타당하고 신뢰성 있게 평가할 수 있도록 평가 계획을 수립한다.한문 과목 평가 계획을 수립할 때에는 일차적으로 고등학교 ‘한문 Ⅰ’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선정, 조직한 교육 내용을 고려하여 학습자의 한문 학습의 과정과 결과를 타당하고 신뢰성 있게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평가의 타당성과 신뢰성은 평가 도구와 관련이 깊지만, 평가 목적, 평가 목표와 내용, 평가 시기 등 평가의..
5. 평가 개정 교육과정의 ‘평가’에서 제시한 내용은 ‘평가 계획’, ‘평가 목표와 내용’, ‘평가 방법’ 그리고 ‘평가 결과의 활용’이다. ‘평가 계획’에서는 고등학교 ‘한문 Ⅰ’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목표의 달성 여부에 중점을 두어 평가하되,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를 기본적으로 익힌 다음, ‘한문’ 영역의 ‘읽기’, ‘이해’, ‘문화’ 그리고 ‘한문 지식’ 영역의 ‘한자’, ‘어휘’, ‘문장’을 유기적으로 통합하여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학습자의 지식, 이해, 적용 능력을 균형 있게 평가할 수 있도록 고려하며, 학습자의 한문 학습 과정을 정확하게 진단하고 평가하기 위해 수행 평가를 적극 활용하고 관찰이나 면담 등과 같은 질적 평가 방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강조하였다. 특히, ..
다. 교수・학습 자료 교수・학습 자료를 선정할 때에 고려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⑴ 교수・학습 자료는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여 학습자 중심의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한문 과목의 교수・학습 자료는 앞에서 제시한 교수・학습 방법에 따라 각종 기자재를 적절히 활용하여, 학습자가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스스로 학습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⑵ 교수・학습 자료는 한문 독해 능력을 기르고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며, 전통문화의 이해와 계승 및 한자 문화권의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선정한다.한문 과목의 교수・학습 자료는 한문의 독해의 능력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을 선정한다.한문의 독해를 통해 한문 기록에 담긴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고,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계승・..
나. 교수・학습 방법 교수・학습 방법을 세울 때에 고려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⑴ 학습자가 쉽고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하되, 다음 사항에 유의하여 교수・학습 방법을 계획한다.㈎ 한문 영역의 ‘읽기’는 다양한 수업 방법을 창의적으로 적용하여 읽고 풀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한문 영역의 ‘이해’는 강의법, 토의 학습법, 역할놀이 학습법 등 다양한 수업 방법을 창의적으로 적용하여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한문 영역의 ‘문화’는 토론 학습, 비교 학습법 등 다양한 수업 방법을 창의적으로 적용하여, 전통문화의 이해와 계승 및 한자 문화권의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한문 지식 영역의 ‘한자’는 부수 중심 지도법, 구조 분석법 등 다양한 수업 방법을 창의적으..
4. 교수・학습 방법 가. 교수・학습 계획 교수・학습 계획은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준비 활동이며, 교수자가 교육 활동에 앞서 갖추어야 할 지적, 기능적인 과제이다. 한문 과목 교수・학습 계획을 세울 때에 고려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⑴ 고등학교 ‘한문 Ⅰ’의 교육 목표를 충실히 반영하여 교수・학습 계획을 수립한다.고등학교 ‘한문 Ⅰ’ 교육과정의 ‘목표’에 제시된 전문과 하위 목표 5개항의 특징과 성격을 분명히 파악하고 이를 교수・학습 계획의 수립에 충실히 반영하여야 한다. ⑵ ‘한문’과 ‘한문 지식’ 영역의 학습이 유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반복 학습이 가능하도록 계획한다.한문 과목 교수・학습 계획을 수립할 때에는 ‘한문’ 영역과 ‘한문 지식’ 영역의 학습이 유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Ⅰ문장(4)] 문장의 수사법을 이해한다. 이 학습 내용은 중학교 한문 [2문장(4)], [3문장(4)]와 연계된다. ‘한문 Ⅰ’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범위의 한자가 활용된 문장의 수사법을 바르게 이해하여 한문을 독해할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어야 한다. 한문에서의 수사법은 문장의 표현과 의사 전달의 효과에 착안하여 문장의 감상을 돕는 것으로 음운 효과를 고려한 압운과 평측, 문체, 그리고 표현 기법 등을 들 수 있다. 한문 문법과 한문 수사법은 시문 작품을 감상하는 데에 있어 상보 상생(相補相生)의 관계라고 할 수 있다. 한문 작품 안에는 한문 문법의 각도로 바라볼 때 불완전하고 어색한 표현이라 생각되는 문장이 한문 수사법의 시각으로 감상할 때는 고도의 예술적 표현인 경우가 많다...
[Ⅰ문장(3)] 문장의 유형을 안다. 이 학습 내용은 중학교 한문 [2문장(3)], [3문장(3)]과 연계된다. ‘한문 Ⅰ’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범위의 한자가 활용된 문장의 유형을 바르게 이해하여 한문을 독해할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어야 한다. 문장의 유형을 서술어(敍述語)의 성질(性質)에 따라 분류하면 판단문(判斷文), 서술문(敍述文), 묘사문(描寫文)으로 나눌 수 있다. ㈎ 판단문사물에 대한 판단이나 설명을 진술하는 문장으로 한 사물의 성질, 특징, 범위 등을 판단하고 설 명한다. 보기子誠齊人也. [그대는 진실로 제나라 사람이다.]夫明堂者, 王者之堂也. [명당이라는 것은 왕자의 당이다.]巡狩者, 巡所守也. [순수라는 것은 지키는 바를 순행하는 것이다.] 人之質, 非木之質也. ..
[Ⅰ문장(1)] 문장의 성분을 안다. 이 학습 내용은 중학교 한문 [1문장(1)], [2문장(1)], [3문장(1)]과 연계된다. ‘한문 Ⅰ’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범위의 한자가 활용된 문장의 성분(成分)과 그 특성을 바르게 이해하여 한문을 독해할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어야 한다. 문장은 하나의 완결된 생각을 나타내는 최소 언어 단위이다. 문장은 몇 개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지는데, 이 구성 요소를 ‘문장의 성분’이라고 한다. 문장의 성분에는 주어(主語), 서술어(敍述語), 빈어(賓語), 보어(補語), 관형어(冠形語), 부사어(副詞語), 독립어(獨立語) 등이 있다. 주어는 문장에서 진술의 대상이 되는 성분이다. 서술어는 문장에서 진술의 내용이 되는 성분이다. 빈어는 문장에서 서술어의..
[Ⅰ어휘⑸] 어휘의 유형을 알고 활용할 수 있다. 이 학습 내용은 중학교 한문 [1어휘⑸], [2어휘⑸], [3어휘⑸]와 연계된다. ‘한문 Ⅰ’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범위의 한자가 활용된 어휘의 유형을 바르게 알고 언어생활과 문장 독해에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어휘(語彙)’는 단어가 모여서 이루어진 집합을 가리키는 말이다. 그러나 때로는 어휘를 이루는 개별 단어들을 ‘어휘’라고 부르기도 한다. 어휘는 의미를 기준으로 다양한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유의어(類義語), 반의어(反義語), 성어(成語) 등이 그것이다. 유의어는 두 가지 이상의 다른 단어가 의미 자질(資質)의 차원이 대체로 같지만 정도(程度)나 상태(狀態)에서 약간의 차이가 나는 단어군(單語群)을 말한다. 반의어는 한 쌍의..
[Ⅰ어휘⑷] 허사의 쓰임을 안다. 이 학습 내용은 중학교 한문 [1어휘⑷], [2어휘⑷], [3어휘⑷]와 연계된다. ‘한문 Ⅰ’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범위의 한자가 활용된 허사의 종류와 특성을 바르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허사(虛辭)’는 어휘적 의미가 없거나 그다지 실재적이지 않고, 실사(實辭)에 붙어서 단지 문법적 의미만을 나타내는 단어를 말한다. 허사는 그 주된 기능이 문장 안에서의 문법적인 기능이므로 기본적으로 문장에서의 쓰임과 관련하여 이해해야 한다.허사에 속하는 품사는 다음과 같다. (1) 개사(介詞) 일반적으로 명사나 대명사 등 명사류(名詞類) 앞에 놓여 그 명사류를 서술어와 연결해 주면서 처소, 대상, 도구, 시간, 원인, 비교 등의 뜻을 나타내는 단어이다. 단독으로..
[Ⅰ어휘⑶] 품사의 종류와 특성을 안다. 이 학습 내용은 중학교 한문 [1어휘⑶], [2어휘⑶], [3어휘⑶]과 연계된다. ‘한문 Ⅰ’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범위의 한자가 활용된 품사의 종류와 특성을 바르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품사(品詞)’는 어휘를 문법적 특성에 따라 분류하여 공통된 성질을 가진 것끼리 모아 놓은 단어들의 갈래를 말한다. 한문의 단어는 문장 안에서의 쓰임에 따라 품사가 바뀌고 의미가 달라지기도 한다. 따라서, 한문의 품사는 단어가 원래 지니고 있는 의미뿐만 아니라 문장에서의 쓰임까지 고려하여 이해해야 한다. 단, 품사를 학습할 때에는 문장의 풀이에 도움이 되는 범위 내에서 개략적으로 이해하게 하고, 문법 자체를 지나치게 강조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품사에는 단..
[Ⅰ어휘⑴] 단어의 종류를 안다. 이 학습 내용은 중학교 한문 [1어휘⑴], [2어휘⑴], [3어휘⑴]과 연계된다. ‘한문 Ⅰ’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범위의 한자가 활용된 단어의 종류를 바르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단어는 문장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이다. 단어는 그 형성 방법에 따라 단순어(單純語)와 복합어(複合語)로 나뉜다. 단순어는 하나의 의미 요소로 이루어진 것이며, 복합어는 두 개 이상의 의미 요소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의미는 실사(實辭)의 의미, 곧 어휘적 의미와 허사(虛辭)의 의미, 곧 문법적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단순어에는 하나의 음절로 이루어진 단음절(單音節) 단순어와 두 개 이상의 음절로 이루어진 다음절(多音節) 단순어가 있다. 복합어에는 실질 의미 ..
[Ⅰ한자⑹] 한자의 형성 과정을 이해한다. 이 학습 내용은 중학교 한문 [1한자⑺], [2한자⑺], [3한자⑺]과 연계된다. ‘한문 Ⅰ’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범위의 한자가 활용된 한자의 형성 과정을 개략적으로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한자는 오랜 세월을 두고 발생・변화・발전해 왔다. 한자는 세계의 주요 문자 가운데 가장 오랫동안 생명을 유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재에도 계속 새로운 글자가 만들어지고 있다. 한자가 발생한 시기는 단정하기가 어렵다. 오늘날 볼 수 있는 것 중에서 가장 오래된 한자는 은(殷)나라 때 갑골(甲骨)이나 청동기(靑銅器)에 새겨 놓은 글자이다. 은나라 한자는 이미 상당한 수준으로 발달한 것이므로 한자가 처음으로 만들어진 시대는 은나라 때보다 훨씬 더 오래 전이..
[Ⅰ한자⑷] 상형・지사자의 짜임을 안다. 이 학습 내용은 중학교 한문 [1한자⑸], [2한자⑸], [3한자⑸]와 연계된다. ‘한문 Ⅰ’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범위의 한자가 활용된 ‘상형자’와 ‘지사자’의 짜임 원리를 익혀 한자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한자는 애초에는 생활 주변에 있는 사물의 모양을 본떠서 만들었다. 그러나 생활의 영역이 확대되고 문화가 발달함에 따라, 수많은 사물과 다양한 생각을 나타내기 위한 많은 수의 글자가 필요하게 되었다. 한자의 짜임은 일정한 구성 원리와 응용 원리에 따라 크게 ‘상형(象形)’, ‘지사(指事)’, ‘회의(會意)’, ‘형성(形聲)’, ‘전주(轉注)’, ‘가차(假借)’ 등 6가지로 나뉘는데 이를 육서(六書)라고 한다. 이 중 ‘상형’・‘..
- 한문 지식 - [Ⅰ한자⑴] 한자의 형(形)・음(音)・의(義)를 안다. 이 학습 내용은 중학교 한문 [1한자⑴], [2한자⑴], [3한자⑴]과 연계된다. ‘한문 Ⅰ’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범위의 한자가 활용된 한자의 모양[形]과 소리[音]와 뜻[義]을 바르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한자는 하나의 글자가 모양[形]・소리[音]・뜻[義]의 세 요소를 동시에 갖추고 있는 문자이다. 곧 한자는 하나의 글자가 단지 어떤 음(音)의 단위만을 나타내는 표음 문자(表音文字)와 달리, 하나의 글자가 어떤 뜻의 단위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그 뜻에 해당하는 소리까지도 아울러 나타내는 표의 문자(表意文字)이다. 따라서, 한자를 학습할 때에는 해당 글자의 모양과 소리와 뜻을 동시에 익혀야 한다. 보기형象俊..
[Ⅰ문화(3)]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기초적 지식을 익힌다. 이 학습 내용은 중학교 한문 [1문화(3)], [2문화(3)], [3문화(3)]과 연계된다. ‘한문 Ⅰ’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범위의 한자가 활용된 한문 학습을 통하여 한자 문화권(漢字文化圈)의 문화에 대한 기초적 지식을 익힐 수 있어야 한다. ‘한자 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기초적 지식’은 한자 문화권의 특수한 역사적・문화적 배경 아래 형성된, 한자 문화권의 문화 상식을 말한다. 한문은 기본적으로 고전어(古典語)이며 또한 문언문(文言文)으로서, 구어(口語)로서의 언어 구사 능력을 중시하는 여타의 외국어와 달리 한자 문화권의 특수한 역사적 문화적 배경을 기반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일반적인 외국어 교과는 가치중립적인 문..
[Ⅰ문화(1)]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고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한다. 이 학습 내용은 중학교 한문 [1문화(1)], [2문화(1)], [3문화(1)]과 연계된다. ‘한문 Ⅰ’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범위의 한자가 활용된 한문 학습을 통하여 선인(先人)들의 삶과 지혜를 바르게 이해하고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할 수 있어야 한다.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한다.’는 것은 한문 학습을 통하여 한문에 담겨 있는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바르게 이해하는 것을 말한다. 한글이 창제되기 이전에 우리의 선인들은 주로 한문으로 문자 생활을 영위하였다. 한글이 창제된 이후에도 오랫동안 한문은 우리 민족의 삶과 역사를 표현하고 기록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우리의 선인..
[Ⅰ이해⑹] 한시의 형식과 특징을 이해한다. 이 학습 내용은 중학교 한문 [3이해⑸]와 연계된다. ‘한문 Ⅰ’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범위의 한자가 활용된 한시의 시체(詩體), 압운법(押韻法), 평측법(平仄法), 대우법(對偶法) 등 한시의 형식과 특징을 바르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⑴ 한시의 시체(詩體) 한시의 시체(詩體)는 크게 고체시(古體詩)와 근체시(近體詩)로 나눌 수 있다. 고체시는 고시(古詩)라고도 하는데, 당(唐)나라 때 근체시가 성립되기 이전부터 지어진 시체로서, 구수(句數), 자수(字數), 운율(韻律) 등에 대한 규칙이 비교적 자유로운 한시를 말한다. 고체시 중에서 한 구(句)의 자수가 5자로 된 것을 오언 고시(五言古詩), 7자로 된 것을 칠언 고시(七言古詩)라고 한..
[Ⅰ이해⑶] 한문 산문의 문체와 특징을 이해한다. 이 학습 내용은 한문 산문의 문체(文體)와 특징을 바르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 설정하였다. 한문의 문체(文體)는 언어의 형식적 특징에 따라 크게 산문(散文), 운문(韻文), 변문(騈文)으로 나눌 수 있다. 산문은 자수(字數)나 운율(韻律) 등의 외형적(外形的) 규범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쓴 문체를 말한다. 운문은 특정한 구(句)의 끝자리를 운(韻)이 같은 글자로 맞추어 압운(押韻)을 한 문체를 말한다. 변문은 운문처럼 압운을 하지는 않지만 산문과 달리 성률(聲律)과 대우(對偶)를 강구하는 문체를 말한다. 단, 고등학교 한문 선택 과목 교육과정에서는 한시(漢詩)에 포함시켜 다루기 곤란한 일부 운문이나 변문 또한 한문 산문의 문체에 포함시켜 다룰 수 있다..
[Ⅰ이해⑴] 한문 단문의 내용과 주제를 이해한다. 이 학습 내용은 중학교 한문 [1이해⑴], [2이해⑴], [3이해⑴]과 연계된다. ‘한문 Ⅰ’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범위의 한자가 활용된 한문 단문의 내용과 주제(主題)를 바르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한문 단문의 내용과 주제를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문 단문 속에서 사용된 단어나 구절의 구체적인 의미, 한문 단문의 구조와 분위기 등 한문 단문의 내용을 그 주제와 관련지어 바르게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여기서 주제는 글이 전달하고자 하는 의도, 글이 나타내고자 하는 중심적인 의미, 내용 중에서도 핵심이 되는 중심 내용을 말한다. 글을 읽으면서 글의 내용을 그 주제와 관련지어 바르게 파악하지 못한다면 그 글의 내용을 깊이 있게 이..
[Ⅰ읽기⑺] 한시를 소리 내어 읽을 수 있다. 이 학습 내용은 중학교 한문 [1읽기⑺], [2읽기⑺], [3읽기⑺]과 연계된다. ‘한문 Ⅰ’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범위의 한자가 활용된 한시를 바르게 발음하여 읽을 수 있어야 한다. 또, 이 내용은 [Ⅰ읽기⑴]을 참고하되, 한시의 특징에 유의하도록 한다. ‘한시(漢詩)’는 한문으로 된 시를 말한다. 한시의 구(句)는 보통 오언시는 두 자, 세 자 단위로 띄어 읽고(○○/○○○), 칠언시는 네 자, 세 자 단위로 띄어 읽지만(○○○○/○○○), 하나의 구를 바르게 발음하여 읽기 위해서는 구를 이루는 단어와 단어 사이의 결합 관계에도 유의하여 읽어야 한다. 가령, 아래 보기 중에서 ‘滿四澤’은 ‘滿 / 四澤’으로, ‘世間何事’는 ‘世間 / ..
[Ⅰ읽기⑷] 한문 산문을 소리 내어 읽을 수 있다. 이 학습 내용은 중학교 한문 [1읽기⑷], [2읽기⑷], [3읽기⑷]와 연계된다. ‘한문 Ⅰ’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범위의 한자가 활용된 한문 산문을 바르게 발음하여 읽을 수 있어야 한다. 또, 이 내용은 [Ⅰ읽기⑴]을 참고하되, 한문 산문의 특징에 유의하도록 한다. ‘한문 산문(散文)’은 자수(字數)나 운율(韻律) 등의 외형적(外形的) 규범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쓴 글로, 압운(押韻)을 하는 글인 운문(韻文)이나 압운을 하지는 않지만 성률(聲律)과 대우(對偶)를 강구하는 변문(騈文)과 상대되는 글을 말한다. 단, 고등학교 한문 선택 과목 교육과정에서는 한시(漢詩)에 포함시켜 다루기 곤란한 일부 운문이나 변문을 산문과의 차별성을 ..
나. 영역별 내용 - 한문 - [Ⅰ읽기⑴] 한문 단문(短文)을 소리 내어 읽을 수 있다. 이 학습 내용은 중학교 한문 [1읽기⑴], [2읽기⑴], [3읽기⑴]과 연계된다. ‘한문 Ⅰ’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범위의 한자가 활용된 한문 단문을 이루는 단어(單語), 구절(句節), 문장(文章)을 바르게 발음하여 읽을 수 있어야 한다. ‘한문(漢文)’은 한자(漢字)로 이루어진 문언체(文言體)의 글을 통칭하여 부르는 말이다. 한문은 구어(口語)로서는 사용되지 않고 문언문(文言文)으로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우리가 접하는 한문은 일반적으로 특정 작품 또는 저술(著述)의 형태로서 존재하는 것들이다. ‘한문 단문(短文)’은 예로부터 널리 전해지거나 알려진 격언(格言), 속담(俗談), 명언(名言)・명구..
3. 내용 가. 내용 체계 내용 체계는 교과의 학문적 특성과 핵심 내용을 간명하게 체계화・구조화하여 제시한 틀로, 교과의 학문적 구조와 교수・학습 내용 및 활동을 요약・강조하는 기능을 한다. 한문 과목의 내용 체계는 한문 과목의 성격과 목표를 구현하기 위한 한문 과목 교육 내용의 선정의 근거로, 영역별 학습 내용의 위계화・계열화에 따른 교육적 정당성 판단과 제시 기준으로, 또한 학습 내용의 상세화 및 진술 방식의 지침으로 기능한다. 고등학교 ‘한문 Ⅰ’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를 제시하면 과 같다. 내용 체계영역내용한 문읽 기단문의 읽기와 풀이산문의 읽기와 풀이한시의 읽기와 풀이이 해단문의 이해와 감상산문의 이해와 감상한시의 이해와 감상문 화전통문화의 이해와 계승한자 문화권의 상호 이해와 교류한 문 지 식한..
Ⅲ. 한문과 선택 과목 교육과정 해설 1. 성 격 가. 한문 과목의 일반적 성격 한문 과목의 일반적 성격은 중학교 ‘한문’, 고등학교 ‘한문 Ⅰ’, ‘한문 Ⅱ’가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을 말한다. 한글이 창제되기 이전에 우리의 선조들은 주로 한자(漢字)・한문(漢文)으로 문자 생활을 영위하였다. 또, 한글이 창제된 이후에도 오랫동안 한문은 우리 민족의 삶과 역사를 표현하고 기록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전근대 시대의 문자 생활에서 한문이 차지하는 이러한 특수한 사정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 베트남 등 한자 문화권의 여러 나라에 공통되는 것이기도 하다. 한문은 구어(口語)로서의 언어 구사 능력을 중시하는 현대의 중국어, 일본어, 영어 등 여타의 외국어와 달리 한자 문화권의 여러 나라에..
Ⅰ. 한문과 선택 중심 교육과정 개정의 배경 교육과정은 국제화를 비롯한 사회 여건의 변화, 교육 이론이나 프로그램의 발전 등의 외적 조건, 그리고 교육 현장의 내적인 필요에 의하여 개정될 여지가 있다. 이러한 내적・외적인 요인에 따라 교육과정을 적절하게 개정하여 사회적・국가적 요구를 다양하게 수렴・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한문 선택 과목 교육과정 개정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먼저, 교육과정을 개정하는 정책이 변화하였다. 교육과정 정책은 그동안의 일시적・전면적인 개정 체제에서 수시 개정 체제로 제도가 보완되었다. 이러한 내용을 담은 ‘교육과정 수시 개정 및 활성화 방안’은 급격한 사회 환경의 변화에 맞추어 교육 내용을 지속적으로 개선하여 국민 각계각층의 교육 과정 개정의 요구를 탄력적・체계..
2022 개정 교육과정한문과 교육과정 목차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별책 17] 교육과정 설계의 개요 1. 성격 및 목표 2.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가. 내용 체계나. 성취기준한자와 어휘한문(중)한문(고)[9한01-01]한자의 모양⋅음⋅뜻을 구별한다.[12한문01-01] 한자의 모양⋅음⋅뜻을 구별한다.[9한01-02]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구별한다.[12한문01-02]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구별한다.[9한01-03]단어의 짜임을 구별한다.[12한문01-03]단어의 짜임을 구별한다. [12한문01-04]실사와 허사를 구별한다.[9한01-04]단어와 성어를 읽고 풀이한다.[12한문01-05]단어와 성어를 읽고 풀이한다.[9한01-05]단어와 성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하여 소통하는 태도를 기른다.[..
- 한문 지식 - 한문 (1) 한자의 형(形)·음(音)·의(義)를 알 수 있다. 한자는 하나의 글자가 모양[形]·소리[音]·뜻[義]의 세 요소를 동시에 갖추고 있는 문자이다. 곧 한자는 하나의 글자가 단지 어떤 음(音)의 단위만을 나타내는 표음문자(表音文字)와 달리, 하나의 글자가 어떤 뜻의 단위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그 뜻에 해당하는 소리까지도 아울러 나타내는 표의문자(表意文字)이다. 따라서 한자를 학습할 때에는 해당 글자의 모양과 소리와 뜻을 동시에 익혀야 한다. (2) 여러 가지 음과 뜻을 가진 한자를 알 수 있다. 한자는 원칙적으로 하나의 글자가 하나의 음을 가진다. 그러나 인류의 문화가 날로 발달하고 사회가 복잡해짐에 따라 이미 있는 한자를 응용하는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어 하나의 한자가 여러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