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114장 (2)
건빵이랑 놀자

청명일에 지으며 청명일유작(淸明日有作) 권필(權韠) 淑氣催花信 輕黃着柳絲 人煙寒食後 鳥語晩晴時 老去還多事 春來不賦詩 京華十年夢 惆悵只心知 해석 淑氣催花信 輕黃着柳絲 숙기최화신 경황착류사 맑은 기운이 꽃 소식을 재촉하고 연노랑빛이 버들개지에 붙었네. 人煙寒食後 鳥語晩晴時 인연한식후 조어만청시 한식 뒤에 밥불 연기 나고 늦게 갠 때에 새 지저귀지. 老去還多事 春來不賦詩 노거환다사 춘래불부시 나이 들어 가지만 도리어 일 많아 봄이 왔지만 시를 짓지 못하네. 京華十年夢 惆悵只心知 경화십년몽 추창지심지 서울살이 10년의 꿈은 서글프게도 단지 마음만 아는 구나. 『石洲集』 卷之三 인용 작가 이력 및 작품 소화시평
25.天慶元年, 謝恩使金緣林有文等入宋, 皇帝接遇加等. 金林等還, 上問皇帝起居, 金曰, “帝厚我國, 享禮異常, 然凡事皆極侈異, 可爲寒心.” 後三年癸巳, 使李資諒李永等往朝, 帝御睿謀殿賜宴, 製詩示之, 仍命和進. 資諒賡韻曰, ‘鹿鳴嘉宴會賢良, 仙樂洋洋出洞房. 天上賜花頭上艶, 盤中宣橘袖中香. 黃河再報千年瑞, 綠醑輕浮萬壽觴. 今日陪臣參盛際, 願歌天保永無忘.’ 此詩語涉淺易, 而帝大加稱賞, 以其卽事詳當也. 明日流傳諸鋪店, 書之爲簇掛諸壁. 及資諒等辭, 帝密諭曰, “似聞女眞比壤, 後日來朝, 宜招引數人與偕?” 資諒曰, “夷狄貪婪, 不可通上國.” 宋之廷臣曰, “女眞珍奇雜出, 高麗常貿易. 資諒恐分利他國, 故沮之. 陛下於高麗愛如赤子. 今資諒負德, 陽好言而實詐. 女眞不必藉高麗, 可遣一介招致.” 後果與交通, 卒爲女眞移神器. 宋朝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