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의 반역
봄비에 솟아오르는 연두잎 같은 노인이 되라
❝어른과 아이는 객체화된 개체들의 모습이 아니라 나라는 존재(Self)의 측면들이다. 나 속에 내재하는 아키타입들인 것이다. 어른이란 노자가 말하는 죽음의 무리며 화이트헤드가 말하는 하향(下向)이다. 아이란 삶의 무리며 상향(上向)이다. 아이가 어른을 따를수록 죽음의 무리는 죽음을 향해 질주하며, 어른이 아이를 따를수록 삶의 무리가 생명을 향해 상향의 길을 더듬는다. 천국이란 아이가 어른으로 성장하는 길에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어른이 아이로 역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세계다. 천국은 가치의 전도이며 시간의 반역이다.❞
제4장
1예수께서 가라사대, “나이 먹은 어른이 칠일 갓난 작은 아이에게 삶의 자리에 관해 묻는 것을 주저치 아니한다면, 그 사람은 생명의 길을 걸을 것이다.
2첫찌의 많은 자들이 꼴찌가 될 것이요,
3또 하나된 자가 될 것이니라.”
1Jesus said, “The man old in days will not hesitate to ask a small child seven days old about the place of life, and that person will live.
2For many of the first will be last,
3and will become a single one.”
20세기 철학자 중에서 거의 유일하게 형이상학적 우주론의 체계를 구축한 화이트헤드(A. N. Whitehead, 1861~1947)가 쓴 명저, 『이성의 기능(The Function of Reason)』을 펼치면 그 서장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나온다: “역사는 사건의 과정 속에서 두 개의 주간(主幹)이 되는 경향을 노출시킨다. 그 한 경향은 물질적 성질을 가진 것들의 매우 완만한 해체 속에서 구현되고 있다. 눈에 뜨이지 않는 필연성 속에서 그 물리적인 것들에게는 에너지의 저하현상이 있다. 그 활동의 근원들이 역사의 흐름 속에서 아래로 아래로 하향(下向, downward) 하고 있다. 그들의 물질 자체가 소모되어가고 있는 것이다. 또 하나의 다른 경향은 매년 봄마다 반복되고 있는 자연의 싹틈에서 구현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생물학적 진화의 상향(上向, upward)적 과정에서 예증되고 있다.”
화이트헤드가 말하는 하향(下向)은 도마복음서에서 말하는 ‘어른’이다. 그리고 상향(上向)은 ‘아이’이다. 나의 몸속에서도 물리적 소모와 부패와 해체의 경향과, 생명적 합성과 쇄신과 구성의 경향은 공존한다. 전자를 엔트로피의 증가라 하고 후자를 엔트로피의 감소라 규정하여도 별 문제가 없을 것이다. 사람이 늙는다는 것은 죽음을 향하여 가는 과정이다. 그러나 죽음을 향한 길에도, 그 길의 역방향인 생명의 상향(上向)이 있다. 도마복음이 ‘자웅동체’를 이야기하고 ‘칠일 갓난 작은 아이’를 이야기하는 것은 모두 이 상향(上向)과 관련이 있다.
▲
(위) 경교비의 최상단 부분에 십자가가 새겨져 있다.
(아래) 경교비의 하단 부분에는 예수가 썼던 아람어계통의 시리아어가 쓰여져 있다. 이 시리아문자는 나중에 몽고 파스파문자의 생성까지 자극시켰다. 그리고 그것이 한글을 만드는 집현전 학자들의 중요한 참고 문자가 되었다.
사람이 늙는다고 하는 것은 시간의 추이와 더불어 제일적(齊一的)으로 늙는 것이 아니요, 항상 하향과 상향이 길항관계에 있으면서 늙어가는 것이다. 하향과 상향의 긴장 속에서, 결국 하향이 상향보다 더 진행되는 만큼 인간은 노화(Aging)하는 것이다. 아이와 어른은 내 몸속에 공존하는 긴장관계이다. 아이가 어른이 되는 길은 죽음을 재촉하는 길이요, 하향이다. 어른이 아이가 되면 될수록 생명적 상향의 가능성이 확대된다.
나이 먹은 어른이 칠일 갓난 작은 아이에게 삶의 자리에 관해 묻는다는 것은, 아이를 객체로 하여 질문을 던진다는 이야기가 아니라, 바로 어른이 아이가 되는 상향(上向), 즉 엔트로피의 증가에 역행하는 ‘생명의 반역’을 성취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 반역의 역전, 일상적 가치의 전도가 곧 ‘천국,’ 곧 ‘나라’인 것이다.
그러기 때문에 ‘아이에게 삶의 자리에 관해 묻는 것을 주저치 아니한다면’이라는 조건절에 대하여 ‘그 사람은 생명의 길을 걸을 것이다’라는 주절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사실 콥트어 본문은 ‘그 사람은 살 것이다(that person will live)’로 되어있다. 그 의미맥락을 살려 여기 ‘그 사람은 생명의 길을 걸을 것이다’로 의역한 것이다. ‘그 사람은 살 것이다’는 물론 ‘그 사람은 죽을 것이다’와 대구를 이루는 표현이다. 갓난 아이에게 삶의 자리에 관해 묻는 것을 주저치 아니하는 사람, 그 사람은 죽지않고 산다는 것이다. 죽음의 길을 걷지 않고 삶의 길을 걷게 된다는 것이다.
사람의 생명은 부드럽고 약하며, 사람의 죽음은 단단하고 강하다. 만물 초목의 경우에도 살아있을 때는 부드럽고 연한데, 죽으면 마르고 딱딱해진다. 그러므로 말하노라. 딱딱하고 강한 것은 죽음의 무리요, 부드럽고 약한 것은 삶의 무리다.
人之生也柔弱, 其死也堅强. 萬物草木之生也柔脆, 其死也枯槁. 故堅强者死之徒, 柔弱者生之徒.
여기서 말하는 ‘죽음의 무리[死之徒]’는 화이트헤드가 말하는 ‘하향’이요, ‘삶의 무리[生之徒]’는 ‘상향’이다. 도마복음에서 ‘생명의 길을 걷는다’는 것은 곧 ‘삶의 무리’에 속하게 된다는 것이다. 늙으면 지혜로울 것 같지만, 부드러움을 잃고 딱딱하게 될 뿐이요, 약함을 잃고 강하게 될 뿐이다. 변혁과 신생(新生)을 거부하고, 기득의 지위와 권세와 명예와 부화(富華)에 집착한다. 늙으면 한결같이 정치적으로도 보수가 되고, ‘빨갱이’를 몰아내야 한다고만 외친다. 자신이 곧, 빨갱이라고 규정되는 가치관의 산물이라는 것을 자각하거나 반성할 추호의 기미도 없다. 그냥 자신의 잣대로 타인을 응징해야 한다고만 외친다. 노자가 말하는 대로 마르고 딱딱해져만 가는 것이다. 고정된 관념의 노예가 되고 마는 것이다. 자신의 일시적 체험 하나로, 그 체험의 전후 역사적 맥락을 전혀 반추하지 않은 채, 그 체험을 하나의 고정된 관념으로 만들고 전설로 만들어 모든 궐후(厥後)의 자기 주변상황에 일관되게 적용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기독교인들의 일상적 가치관에서 가장 염려되는 것은, 이러한 고집불통이요, 자기들이 주관적으로 구성한 일관된 관념의 횡포를 하나님(예수님)의 명령이라고 착각하는 것이다. 예수는 그따위 일관된 관념을 인간에게 강요한 적이 없다. 예수는 우리로 하여금 스스로 추구하고 스스로 발견하도록 촉매 역할만 했을 뿐이다.
여기서 말하는 어른과 아이의 주제는 현재 우리사회의 제문제를 고려해볼 때 너무도 중요한 과제상황을 제기한다. ‘아이’와 ‘어른’이란 나이의 문제가 아니라, 시간을 초월하는 나의 존재의 측면들이다. 아이가 어른을 따를수록 죽음의 무리들이 죽음을 향하여 질주하고, 어른이 아이를 따를수록 삶의 무리들이 생명을 향하여 어려운 상향의 길을 더듬는다. 어린 아이 속에도 고착된 늙은이가 들어 앉아 있을 수 있고, 늙은이 속에도 유연한 청춘의 열기가 가득차 있을 수 있다. 바울은 말한다: “내가 어렸을 때에는 말하는 것이 어린 아이와 같고 깨닫는 것이 어린 아이와 같고 생각하는 것이 어린 아이와 같다가, 장성한 사람이 되어서는 어린 아이의 일을 버렸노라”(고전 13:11). 바울은 여기서 어린 아이를 유치한 사유를 대변하는 부정적인 가치의 상징으로 예시하고 있다.
물론 바울의 논의가 근본적으로 맥락을 달리하고 있기 때문에, 바울과 도마 양자를 곧바로 대비하여 포펌의 대상으로 삼을 수는 없다. 그러나 바울의 발상과 도마의 발상은 다르다. 바울은 보다 권위주의적 기독교를 만드는 데 더 기여한 것이다. 내가 오직 바라는 것은 우리 사회에, 촉촉한 봄비에 솟아오르는 연두잎 새싹 같이 부드러운 노인들의 모습이 많이 눈에 뜨이기를 …. 예수는 당대 율법의 규율 속에 쩔어버린 노인 랍비나 서기관, 제사장, 장로들의 견강(堅强)함에 신물이 난 사람이었을 것이다.
▲ 예수가 무덤 사이에서 나온 사람들의 귀신을 쫓아내어 돼지로 들여보내니, 돼지떼가 비탈로 내리달아 바다로 처박혀 몰사하는 장면이 있다(마 8:28~34). 나는 어려서부터 성경 속의 그곳이 어떻게 생긴 곳일까 궁금해 했다. 마태에는 ‘가다라지방’, 누가ㆍ마가에는 ‘갈릴리 맞은편 거라사인의 땅’(눅 8:26)으로 나온다. 나는 지금 감격 속에 바로 그곳을 걷고 있는 것이다. 내 앞에 보이는 언덕 비탈길이 바로 돼지폐가 우루루 내리달은 곳이다. 희미하게 갈릴리 바다. 최남단이 보이고 내 뒤쪽으로 희미하게 솟은 땅이 골란고원이다. 현재 이곳은 요르단에 속해있으며 움 케이스(Umm Qais, 古名 Gadara)로 불리운다. 이곳은 참으로 아름다운 희랍 로마도시의 전형을 과시하고 있는데 데카폴리스(데가볼리) 중의 하나였다.
인용
'고전 > 성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마복음한글역주, 제5장 - 그노시스와 아포칼립스 (1) | 2023.03.19 |
---|---|
도마복음한글역주, 제4장 - 첫째와 꼴찌 (0) | 2023.03.19 |
도마복음한글역주, 제4장 - 어른과 아이 (0) | 2023.03.19 |
도마복음한글역주, 제4장 - 자웅동체의 시간관 (0) | 2023.03.19 |
도마복음한글역주, 제4장 - 아니마와 아니무스 (0) | 2023.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