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親士 (7)
건빵이랑 놀자

이옥봉(李玉峰, ?~?)은 조선중기의 여류시인으로 옥봉(玉峰)은 그의 호(號)다. 옥봉은 옥천군수(沃川郡守) 이봉(李逢)의 서녀(庶女)로 태어나 조원(趙瑗)의 소실(小室)이 되었다. 임진왜란(壬辰倭亂) 직전 35세를 전후하여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의 시는 대부분 산일(散逸)되었으나 조원(趙瑗)의 현손(玄孫)인 조정만(趙正萬)이 편한 『가림세고(嘉林世稿)』 편말(編末)에 수록되어 있는 「옥봉집(玉峰集)」에 32수가 전하고 있다. 『가림세고(嘉林世稿)』는 조원(趙瑗)ㆍ조희일(趙希逸)ㆍ조석형(趙錫馨) 등 삼대(三代)의 시문 3권과 옥봉의 시로 편차되어 있다. 허균(許筠)은 옥봉의 시를 맑고 굳세며(淸健ㆍ淸壯) 여성의 화장기가 없어 가작이 많다고 평가하였으며 신흠(申欽)과 홍만종(洪萬宗)도 옥봉이 시문에 ..
친사(親士) 제일(第一) 1. 入國而不存其士, 則亡國矣. 見賢而不急, 則緩其君矣. 非賢無急, 非士無與慮國, 緩賢忘士, 而能以其國存者, 未曾有也. 昔者文公出走而正天下, 桓公去國而霸諸俟, 越王句踐遇吳王之醜, 而尙攝中國之賢君, 三子之能達名成功於天下也, 皆於其國抑而大醜也. 太上無敗, 其次敗而有以成, 此之謂用民. 2. 吾聞之曰: “非無安居也, 我無安心也. 非無足財也, 我無足心也.” 是故君子自難而易彼, 衆人自易而難彼. 君子進不敗其志, 內究其情, 雖雜庸民, 終無怨心, 彼有自信者也. 是故爲其所難者, 必得其所欲焉, 未聞爲其所欲, 而免其所惡者也. 3. 是故偪臣傷君, 諂下傷上, 君必有弗弗之臣, 上必有詻詻之下. 分議者延延, 而支苟者詻詻, 焉可以長生保國. 臣下重其爵位而不言, 近臣則喑, 遠臣則噤, 怨結於民心, 諂諛在側, 善議障塞..
5. 良弓難張, 然可以及高入深, 良馬難乘, 然可以任重致遠, 良才難令, 然可以致君見尊. 是故江河不惡小谷之滿己也, 故能大. 聖人者, 事無辭也, 物無違也, 故能爲天下器. 是故江河之水, 非一水之源也, 干鎰之裘, 非一狐之白也. 夫惡有同方取不取同而已者乎? 蓋非兼王之道也. 是故天地不昭昭, 大水不潦潦, 大火不燎燎, 大德不堯堯者, 乃千人之長也. 其直如矢, 其平如砥, 不足以覆萬物. 是故谿陝者速涸, 逝淺者速竭, 墝埆者其地不育, 王者淳澤不出宮中, 則不能流國矣.
4. 今有五錐, 此其銛, 銛者必先挫, 有五刀, 此其錯, 錯者必先靡. 是以甘井近竭, 招木近伐, 靈龜近灼, 神蛇近暴. 是故比干之殪其抗也, 孟賁之殺其勇也, 西施之沈其美也, 吳起之裂其事也. 故彼人者, 寡不死其所長, 故曰: 太盛難守也. 故雖有賢君, 不愛無功之臣, 雖有慈父, 不愛無益之子. 是故不勝其任而處其位, 非此位之人也, 不勝其爵而處其祿, 非此祿之主也.
3. 是故偪臣傷君, 諂下傷上, 君必有弗弗之臣, 上必有詻詻之下. 分議者延延, 而支苟者詻詻, 焉可以長生保國. 臣下重其爵位而不言, 近臣則喑, 遠臣則噤, 怨結於民心, 諂諛在側, 善議障塞, 則國危矣. 桀紂不以其無天下之士邪? 殺其身而喪天下. 故曰: 歸國寶, 不若獻賢而進士.
2. 吾聞之曰: “非無安居也, 我無安心也. 非無足財也, 我無足心也.” 是故君子自難而易彼, 衆人自易而難彼. 君子進不敗其志, 內究其情, 雖雜庸民, 終無怨心, 彼有自信者也. 是故爲其所難者, 必得其所欲焉, 未聞爲其所欲, 而免其所惡者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