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鄕原 (2)
건빵이랑 놀자

37. 광자(狂者)와 견자(獧者)를 통해 본 사이비 향원(鄕原)의 모습 萬章問曰: “孔子在陳曰: ‘盍歸乎來! 吾黨之士狂簡, 進取, 不忘其初.’ 孔子在陳, 何思魯之狂士?” 盍, 何不也. 狂簡, 謂志大而略於事. 進取, 謂求望高遠. 不忘其初, 謂不能改其舊也. 此語與『論語』小異. 孟子曰: “孔子, ‘不得中道而與之, 必也狂獧乎! 狂者進取, 獧者有所不爲也.’ 孔子豈不欲中道哉? 不可必得, 故思其次也.” 獧, 音絹. ○ 不得中道, 至有所不爲, 據『論語』亦孔子之言. 然則孔子字下當有曰字. 『論語』道作行, 獧作狷. 有所不爲者, 知恥自好, 不爲不善之人也. ‘孔子豈不欲中道’以下, 孟子言也. “敢問何如斯可謂狂矣?” 萬章問. 曰: “如琴張, 曾晳, 牧皮者, 孔子之所謂狂矣.” 琴張, 名牢, 字子張. 子桑戶死, 琴張臨其喪而歌. 事見『..

13. 사이비 향원(鄕原) 子曰: “鄕原, 德之賊也.” 鄕者, 鄙俗之意. 原, 與愿同. 『荀子』原慤, 注讀作愿是也. 鄕原, 鄕人之愿者也. 蓋其同流合汙以媚於世, 故在鄕人之中, 獨以愿稱. 夫子以其似德非德, 而反亂乎德, 故以爲德之賊而深惡之. 詳見『孟子』末篇. 해석 子曰: “鄕原, 德之賊也.” 공자께서 “향원이야말로 덕의 적이다.”라고 말씀하셨다. 鄕者, 鄙俗之意. 原, 與愿同. 향(鄕)이라는 것은 비속하다는 뜻이다. 원(原)은 삼가다와 동일하다. 『荀子』原慤, 注讀作愿是也. 『순자』의 원각(原慤)이란 단어를 주에서 원(愿)으로 지은 게 이것이다. 鄕原, 鄕人之愿者也. 향원은 마을의 사람이 삼가는 것이다. 蓋其同流合汙以媚於世, 대개 풍속과 함께 하고 더러운 것에 영합하여 세상에 아첨하니 故在鄕人之中, 獨以愿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