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증삼 (2)
건빵이랑 놀자
노둔함의 저력 『소화시평』 권하 84번의 주인공은 백곡 김득신이다. 김득신하면 「글을 읽은 횟수를 기록하다[讀數記]」란 글을 지은 사람으로 알려져 있고, 이 글에도 나타나다시피 진득하게, 어찌 보면 매우 바보처럼 앉아 하나의 글을 여러 번 읽는 대명사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그를 표현할 때 ‘노둔하다[魯]’는 표현은 빠지질 않는다. 실제로 84번에도 ‘천부적 자질이 매우 노둔했다[才稟甚魯]’고 홍만종도 서술하고 있을 정도이니 말이다. 하지만 홍만종은 노둔함이야말로 학자로서 최고의 자질이란 사실을 직시하고 있다. 그래서 결론적으로 ‘노둔하기 때문에 예리해졌다[由鈍而銳]’는 평가를 하고 있는 것이다. 이쯤 되면 사람들은 황당해할 것이다. 노둔함과 예리함은 완전히 반대되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그건 마치 ‘소리..
공자의 제자들 안연(顔淵)자(字): 자연(子淵) / 이름: 회(回)성격: 내성적임, 치밀함, 여성적임. 출처: 爲政 9 / 雍也 2ㆍ5ㆍ9 / 述而 10 / 子罕 19 / 先進 3ㆍ18 / 顔淵 1 자로(子路)성: 중(仲) / 이름: 유(由)성격: 불같은 성격, 용맹이 뛰어남, 실천력이 뛰어남 출처: 爲政 17 / 公冶長 6ㆍ7ㆍ13ㆍ25 / 雍也 12ㆍ26 / 述而 10 / 先進 14ㆍ17ㆍ25 / 陽貨 23 / 子路 1 자공(子貢)성: 단목(端木) / 이름: 사(賜)성격: 말재주가 뛰어남, 외교적 화술에 능함, 거부로 정치적 실무에 능함(실무적)출처: 學而 15 / 八佾 17 / 先進 18 / 子張 20ㆍ21ㆍ22ㆍ23ㆍ24ㆍ25 염구(冉求)자(字): 자유(子有)ㆍ염유(冉有) 성격: 소극적ㆍ소심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