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포숙아 (3)
건빵이랑 놀자
2. 춘추 최초의 패자 제환공과 그의 모사 관중 ① 치열한 왕위 쟁탈 1. 희공(僖公)에겐 제아(諸兒)ㆍ규(糾)ㆍ소백(小白)의 세 아들이 있어, 그가 사망하자 제아(諸兒)가 제양공(齊襄公)으로 즉위함. 2. 제양공의 폭정으로 해를 당할까 두려워 규는 관중(管仲)을 데리고 노(魯)로, 소백(小白)은 포숙아를 데리고 거(莒)로 망명함. 3. 사촌동생 무지(無知)가 반란에 성공하여 제양공(齊襄公)을 죽이고 왕이 되나 어리버리하여 살해당함. 4. 신하들이 소백을 후계자로 삼고 초빙하려 하자, 관중에 매복해 있다가 화살을 쏘아 소백을 맞춤. 그러나 혁대에 맞아 목숨을 건짐. 5. 소백(小白)은 왕이 되고 자신을 죽이려한 규(糾)는 유배 보낸 후 죽였고 관중(管仲)도 죽이려 했으나 포숙아(鮑叔牙)의 만류로 재상으로..
6.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5점) (가) 『訓民正音』 ㉠國之語音 異乎中國 ㉡與文字 不相流通 故 愚民 有所欲言 而終不得伸其情者 多矣. (나) 『史記』 吾始困時 嘗與鮑叔 賈分財利 多自㉢與 ㉣鮑叔 不以我爲貪 知我貧也. 6-1. 밑줄 친 ㉠의 ‘文의 形式’을 쓰고, 그 특징을 설명하시오. (2점) 6-2. 밑줄 친 ㉡과 ㉢의 ‘與’의 쓰임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1점) 6-3. 밑줄 친 ㉣을 우리말로 풀이하고, 문장구조를 분석하시오. (2점) 인용 목차 97학년도 전체 채점기준표와 답안
관중이 죽기 전에 했어야 할 일관중론(管仲論) 소순(蘇洵) 解說. 적당하게 어진 이를 등용하지 않는 현실을 비판하다 責其不薦賢. 東萊云: “此文句句的當, 前亦可學, 後不可致.”○ 迂齋曰: “諸論中, 唯此論, 最純正. 開闔抑揚, 妙, 責管仲最深切.” 1. 관중 때문에 제나라는 망했다 관중과 제나라의 성쇠(盛衰)管仲相威公, 覇諸侯攘夷狄, 終其身齊國富强, 諸侯不敢叛. 管仲死, 竪刁ㆍ易牙ㆍ開方用, 威公薨於亂, 五公子爭立, 其禍蔓延, 訖簡公齊無寧歲. 제나라가 망한 이유는 관중 때문이다夫功之成, 非成於成之日, 蓋必有所由起, 禍之作不作於作之日, 亦必有所由兆, 則齊之治也, 吾不曰管仲而曰鮑叔, 及其亂也, 吾不曰, 竪刁ㆍ易牙ㆍ開方而曰管仲. 何則? 竪刁ㆍ易牙ㆍ開方三子, 彼固亂人國者, 顧其用之者, 威公也. 夫有舜而後, 知放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