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김영주, 한문학에 나타난 이속의 수용 양상 - 3.2.2 한시의 소재로 활용 본문

한문놀이터/논문

김영주, 한문학에 나타난 이속의 수용 양상 - 3.2.2 한시의 소재로 활용

건방진방랑자 2022. 10. 23. 00:01
728x90
반응형

 2. 한시의 소재로 활용

 

성대중(成大中, 1732~1812)은 속언 중에서 절묘한 것들은 가락이 착착 들어맞는다는 김상숙(金相肅, 1717~1792)의 말을 인용하며 蜻蛉蜻蛉, 往彼則死, 來此則生[잠자리야 잠자리야, 저리 가면 죽고 이리 오면 산다]’와 같은 속언은 아무런 이치가 담겨 있지는 않지만 가락에 맞는 협운의 특성을 지닌다고 하였다. 이 외에도 三尺髥, 食令監[수염이 석 자라도 먹어야 영감이다]’, ‘看新月, 坐自夕[새벽달 보자고 저녁부터 기다린다.]’, ‘久坐雀, 必帶鏃[오래 앉은 참새 화살 맞는다.]’ 등의 속언도 운어를 이룬다고 하였다成大中, 靑城雜記4, 醒言. 金坯窩曰, 俚語之妙者, 無不合韻. 蜻蛉蜻蛉, 往彼則死, 來此 則生, 此直無理俚謠, 而亦諧於韻. 如所謂三尺髥食令監, 看新月坐自夕, 久坐雀必帶鏃, 皆成韻語, 似此類者甚多..

 

박세당(朴世堂, 1629~1703)은 여기에서 좀 더 나아가 한시의 소재로 속언을 직접 사용하였다. 그는 연속언(演俗言)이라는 제목으로 4개의 속언과 그에 관한 풀이를 5언 혹은 7언의 한시 형식으로 풀어냈다. 그 가운데 두 수를 제시한다.

 

가마 밑도 검고 솥 밑도 검어[釜底黑鼎底黑]

鼎底雖黑釜未白 솥 밑이 검다지만 가마도 희진 않으니
釜底莫笑鼎底黑 가마 밑아 솥 밑이 검다고 웃지 말거라
由來此醜誰所取 이 더러운 것을 본디 누가 취하였는가
摠爲將軍不負腹 다 장군이 배를 저버리지 않은 격일세

 

 

말 가는데 소도 가니[馬亦行牛亦行]朴世堂, 西溪集, 石泉錄, 演俗言 四首, 51.

牛行雖遲馬行速 소걸음이 느리고 말걸음이 빠르다 한들
馬行百里牛亦得 말이 가는 백리 길을 소도 갈 수 있다네
牛言我後君且先 소가 내 뒤에 갈 테니 자네 앞서 가게
日暮期君店門前 저물녁 여관 문 앞에서 만나세나하네

 

 

위의 부저흑정저흑(釜底黑鼎底黑)’, ‘마역행우역행(馬亦行牛亦行)’열상방언(冽上方言)외에도 여러 속언집에 수록될 정도로 널리 알려진 속언이다. 이 시는 가마가 솥과 마찬가지로 배가 불룩한 것 외에 내세울 것이 없는데도 솥의 밑이 검다고 비웃는 것을 통하여 자신도 내세울 것이 없으면서 남을 비난하는 사람들에 대한 경계의 의미를 내포한다. 특히 전구와 결구에서는 역사 속의 실존 인물의 일화를 활용하여 이러한 경계의 가르침을 사실적으로 묘사하였다. 중국 송나라의 대장군인 당진(黨進)이 어느 날 술과 음식을 배불리 먹은 뒤에 자신의 배를 문지르며 나는 너를 저버리지 않았다.”라고 말하자 주위의 사람들이, “장군은 배를 저버리지 않았지만 이 배는 장군을 저버리고 약간의 지략도 제시한 적이 없습니다.”라고 말한 일화를 활용하여 공연히 다른 것을 거론하여 비난을 자초하는 사람들에게 깊은 경각심을 일깨우고 있다祝穆, 古今事文類聚後集卷20, 腹負將軍..

 

이처럼 널리 알려진 속언을 제목으로 먼저 제시하고 그 의미를 4구의 한시로 풀이한 이 작품은 속언을 소재로 활용하여 그 의미를 한시로 재미있게 풀이하였다는 의의 외에도 기층 대중의 삶에서 만들어진 속언을 상층 지식인의 문학 형식에 결합시키는 독특한 유형을 만들어냈다는 의의도 갖는다.

 

뿐만 아니라 박세당의 속언을 활용한 한시 작품은 권근(權近, 1352~1409)이 큰 비를 소재로 읊은 한시權近, 陽村集9, 癸未正月二十三日大雨, 107. 今年正月異他年, 隔日陰晴雨雪連, 久訝玉 峯浮地上, 忽驚銀箭滿雲邊, 詩懷竟夕難排悶, 病耳通霄耿不眠, 俚諺比方娘手大, 誰將理數問蒼天.에서 속언을 직접 노출하여 효과를 달성한 것과는 차원이 다른 효과를 거두고 있다.

 

 

 

 

인용

목차

1. 문제의 제기

2. 조선조 제가의 속언 인식

3. 속언 활용의 제양상

1. 공식적 언어생활에의 활용

2. 문학 창작의 재료로 활용

1) 함축과 비유, 참신성의 조성

2) 한시의 소재로 활용

3) 해학과 조롱의 수단

4) 변증 재료에의 활용

4. 마무리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