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執一 (5)
건빵이랑 놀자
8. 집일(執一)○八曰 1. 통치자는 一을 잡아야 만물의 바른 표준이 된다 天地陰陽不革, 而成萬物不同. 目不失其明, 而見白黑之殊; 耳不失其聽, 而聞淸濁之聲. 王者執一, 而爲萬物正. 軍必有將, 所以一之也; 國必有君, 所以一之也; 天下必有天子, 所以一之也; 天子必執一, 所以摶之也. 一則治, 兩則亂. 今御驪馬者, 使四人人操一策, 則不可以出於門閭者, 不一也. 2. 나라를 다스리는 근본은 수신에 있다 楚王問爲國於詹子. 詹子對曰: “何聞爲身, 不聞爲國.” 詹子豈以國可無爲哉? 以爲爲國之本在於爲身. 身爲而家爲, 家爲而國爲, 國爲而天下爲. 故曰以身爲家, 以家爲國, 以國爲天下. 此四者, 異位同本. 故聖人之事, 廣之則極宇宙窮日月, 約之則無出乎身者也. 慈親不能傳於子, 忠臣不能入於君, 唯有其材者爲近之. 3. 田騈以道術說齊. 齊..
4. 吳起謂商文曰, 事君果有命矣夫!商文曰, 何謂也? 吳起曰, 治四境之內, 成馴敎, 變習俗, 使君臣有義, 父子有序, 子與我孰賢? 商文曰, 吾不若子. 曰, 今日置質爲臣, 其主安重, 今日釋璽辭官, 其主安輕, 子與我孰賢? 商文曰, 吾不若子. 曰, 士馬成列, 馬與人敵, 人在馬前, 援桴一鼓, 使三軍之士, 樂死若生, 子與我孰賢? 商文曰, 吾不若子. 吳起曰, 三者, 子皆不吾若也, 位則在吾上, 命也夫事君!商文曰, 善. 子問我, 我亦問子. 世變主少, 羣臣相疑, 黔首不定, 屬之子乎? 屬之我乎? 吳起黙然不對, 少選曰, 與子. 商文曰, 是吾所以加於子之上已. 吳起見其所以長, 而不見其所以短, 知其所以賢, 而不知其所以不肖. 故勝於西河, 而困於王錯, 傾造大難, 身不得死焉. 夫吳勝於齊, 而不勝於越, 齊勝於宋, 而不勝於燕, 故凡能全國完身..
3. 田騈以道術說齊. 齊王應之曰, 寡人所有者齊國也, 願聞齊國之政. 田騈對曰, 臣之言, 無政而可以得政. 譬之若林木, 無材而可以得材. 願王之自取齊國之政也. 騈猶淺言之也, 博言之, 豈獨齊國之政哉? 變化應來而皆有章, 因性任物而莫不宜當, 彭祖以壽, 三代以昌, 五帝以昭, 神農以鴻.
2. 나라를 다스리는 근본은 수신에 있다 楚王問爲國於詹子. 詹子對曰: “何聞爲身, 不聞爲國.” 詹子豈以國可無爲哉? 以爲爲國之本在於爲身. 身爲而家爲, 家爲而國爲, 國爲而天下爲. 故曰以身爲家, 以家爲國, 以國爲天下. 此四者, 異位同本. 故聖人之事, 廣之則極宇宙窮日月, 約之則無出乎身者也. 慈親不能傳於子, 忠臣不能入於君, 唯有其材者爲近之. 해석 楚王問爲國於詹子. 초나라 왕이 나라를 다스리는 것에 대해 초나라 현인인 詹何에게 물었다. 詹子對曰: “何聞爲身, 不聞爲國.” 첨자가 “저는 몸을 다스린다는 건 들어봤어도 나라를 다스린다는 건 듣지 못했습니다.”라고 대답했다. 詹子豈以國可無爲哉? 첨자가 어찌 나라 다스리는 것을 무위로 할 수 있다고 여겼겠는가? 以爲爲國之本在於爲身. 나라를 다스리는 근본은 몸을 다스리는 데..
1. 통치자는 一을 잡아야 만물의 바른 표준이 된다 天地陰陽不革, 而成萬物不同. 目不失其明, 而見白黑之殊; 耳不失其聽, 而聞淸濁之聲. 王者執一, 而爲萬物正. 軍必有將, 所以一之也; 國必有君, 所以一之也; 天下必有天子, 所以一之也; 天子必執一, 所以摶之也. 一則治, 兩則亂. 今御驪馬者, 使四人人操一策, 則不可以出於門閭者, 不一也. ▲ 킹덤 시즌2의 5화 장면. 조학주 일당을 축출하기 위해 세자 이창을 중심으로 하나가 되어 궁으로 간다. 해석 天地陰陽不革, 而成萬物不同. 천지음양의 이치는 바뀌지 않지만 만물이 만들어지는 건 동일하지가 않다. 目不失其明, 而見白黑之殊; 눈이 밝음을 잃지 않으니 흰색과 검은색의 다름을 보고 耳不失其聽, 而聞淸濁之聲. 귀가 들음을 잃지 않으니 청아하고 둔탁한 소리를 듣는다. 王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