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경중(輕重) (6)
건빵이랑 놀자
관자(管子) 목차 특징 제(齊)나라 관중(管仲)의 이름을 따서 편명을 지었다. 원본은 86편이지만 10편은 일실(逸失)된 채 현재 76편만이 전한다. 제나라의 법가(法家)를 위주로 하여 기타 여러 학파의 학술사상 논문을 모았다. 구성과 내용 내용이 잡다하여 법가·도가(道家)·명가(名家)의 사상과 천문(天文)·역수(曆數)·지리·경제·농업 등의 과학 지식을 포함한다. 그 중 심술(心術)·백심(白心)·내업(內業) 등은 기(氣)와 관련이 있는 도가 학설을 싣고 있으며, 수지(水地)편에서는 물이 만물의 근원이라는 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목민(牧民)·권수(權修)·형세(刑勢)·칠법(七法) 등은 관중이 남긴 말이나 사상을 기록했다. 1. 목민(牧民): 관자 정치사상의 진수를 보여준다. 이 편은 국송(國頌), 사유(四維..
5. 以家爲鄕, 鄕不可爲也; 以鄕爲國, 國不可爲也; 以國爲天下, 天下不可爲也. 以家爲家, 以鄕爲鄕, 以國爲國, 以天下爲天下. 毋曰不同生, 遠者不聽; 毋曰不同鄕, 遠者不行; 毋曰不同國, 遠者不從. 如地如天, 何私何親; 如月如日, 唯君之節. 御民之轡, 在上之所貴; 道民之門, 在上之所先; 召民之路, 在上之所好惡. 故君求之, 則臣得之; 君嗜之, 則臣食之; 君好之, 則臣服之; 君惡之, 則臣匿之. 毋蔽汝惡, 毋異汝度, 賢者將不汝助. 言室滿室, 言堂滿堂, 是謂聖王. 城郭溝渠不足以固守, 兵甲强力不足以應敵, 博地多財不足以有衆, 惟有道者能備患于未形也, 故禍不萌. 天下不患無臣, 患無君以使之; 天下不患無財, 患無人以分之. 故知時者可立以爲長, 無私者可置以爲政, 審于時而察于用, 而能備官者, 可奉以爲君也. 緩者後于事, 吝于財者失所..
4. 錯國于不傾之地, 積于不涸之倉, 藏于不竭之府, 下令于流水之原, 使民于不爭之官, 明必死之路, 開必得之門, 不爲不可成, 不求不可得, 不處不可久, 不行不可覆. 錯國于不傾之地者, 授有德也; 積于不涸之倉者, 務五穀也; 藏于不竭之府者, 養桑麻育六畜也; 下令于流水之原者, 令順民心也; 使民于不爭之官者, 使各爲其所長也; 明必死之路者, 嚴刑罰也; 開必得之門者, 信慶賞也; 不爲不可成者, 量民力也; 不求不可得者, 不强民以其所惡也; 不處不可久者, 不偸取一世也; 不行不可復者, 不欺其民也. 故授有德, 則國安; 務五穀, 則食足; 養桑麻, 育六畜, 則民富; 令順民心, 則威令行; 使民各爲其所長, 則用備; 嚴刑罰, 則民遠邪; 信慶賞, 則民輕難; 量民力, 則事無不成; 不强民以其所惡, 則詐僞不生; 不偸取一世, 則民無怨心; 不欺其民, 則下..
3. 政之所興, 在順民心; 政之所廢, 在逆民心. 民惡憂勞, 我佚樂之, 民惡貧賤, 我富貴之; 民惡危墜, 我存安之; 民惡滅絶, 我生育之. 能佚樂之, 則民爲之憂勞; 能富貴之, 則民爲之貧賤; 能存安之, 則民爲之危墜; 能生育之, 則民爲之滅絶. 故刑罰不足以畏其意, 殺戮不足以服其心. 故刑罰繁而意不恐, 則令不行矣; 殺戮衆而心不服, 則上位危矣. 故從其四欲, 則遠者自親; 行其四惡, 則近者叛之. 故知予之爲取者, 政之寶也. 右『四順』
2. 國有四維, 一維絶則傾, 二維絶則危, 三維絶則覆, 四維絶則滅. 傾可正也, 危可安也, 覆可起也. 滅不可復錯也. 何謂四維? 一曰禮二曰義, 三曰廉, 四曰恥. 禮不踰節, 義不自進, 廉不蔽惡, 恥不從枉. 故不踰節, 則上位安; 不自進, 則民無巧詐; 不蔽惡; 則行自全; 不從枉, 則邪事不生. 右『四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