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사막 (5)
건빵이랑 놀자
카자흐스탄 여행기 목차 여는 글 카자흐스탄 여행과 공감능력 1주차(알마티 한국어교육원) 13.06.14(금) 경계를 넘어서다비행기를 타고 알마티로알마티의 한국어 교육원 13.06.15(토) 정신승리란?도로 인프라와 서구중심주의긴장의 미학 13.06.16(일) 카자흐스탄의 택시고려인, 존경받는 민족이 되다카자흐스탄의 음식 13.06.17(월) 6월에 함박눈을 맞다알마티의 콕토베맛있는 걸 왜 먹질 못하니 13.06.18(화) 수수하게 밋밋하게전통과의 연결점인 유르타알마티 시내 돌아보기 13.06.19(수) - 아스타나로의 기차여행 알마티에서 아스타나로21시간을 달리는 기차 13.06.20(목) - 아스타나 둘러보기 새 수도에 그린 꿈바이테렉과 카자흐스탄의 꿈자본의 중심지로 우뚝 서다한국문화원을 둘러보다이슬람..
45. 카자흐스탄, 사막여행: 멀리서만 봐선 안 되는 이유 대자연의 위용에 한껏 압도됐다. 인간의 손길이 닿을 수 없어 ‘국립공원’이란 이름으로 유지되고 방치되는 곳, 그렇기 때문에 이곳은 진심으론 인간 외의 생물들에겐 낙원 같은 곳이었고 태초의 풍광을 고스란히 간직한 곳이었다. 에게. 겨우 이거야 국립공원 입구에서 바르한이라는 사막까지 한 시간정도만 달리면 나온다고 한다. 그 말을 듣고 우리는 조금만 더 달리면 고비사막이나 사하라사막 같은 장엄하고도 절로 압도하게 되는 비주얼을 직접 목도하게 될 거란 기대를 잔뜩 하며 유심히 지켜보게 됐다. 그런데 한 시간이 넘게 달렸는데도 천연자연이 풍경만 눈앞에 펼쳐져 있을 뿐 모래의 흔적조차 보이지 않더라. 아마 우리가 산에 오를 때마다 “얼마나 더 가야 정상이예..
44. 그대여, 자연과 감응할 수 있나? 신고를 마친 후엔 관리인 한 명이 우리 차에 동승했다. 우리를 안내함과 동시에 감시하기 위해서다. 조금 더 달리면, 쇠줄로 자동차가 들어가지 못하도록 막아놨다. 그곳을 관리하는 사람이 나와 우리의 신원을 확인하고 나서야 자동차가 들어갈 수 있도록 쇠줄을 풀어준다. 바로 거기서부터 알틴에멜 국립공원이 시작되는 것이다. ▲ 광활하다. 지평선이 저 멀리. 자연을 위한 공원 ‘왜 이렇게까지 철저하게 관리를 하는 것일까?’라는 의문이 자연스레 들었다. 그건 꼭 뭔가 엄청난 것이 있어서 이렇게 관리해야만 한다는 느낌을 주기에 충분했기 때문이다. 비포장 길을 달리고 또 달린다. 차는 수시로 덜커덩거리며 광활한 벌판 속으로 들어간다. 그곳의 광경은 절대 그곳이 아니면 볼 수 없..
43. 카자흐스탄의 사막 찾아가는 길 오늘은 새벽부터 바빴다. 원랜 1박 2일로 예정되었던 여행이 당일치기로 바뀌면서 시간이 빠듯해졌기 때문이다. 그래서 새벽 5시 45분에 모이기로 했다. 나는 4시 30분에 일어나, 아침밥 대용으로 군대에서 먹었던 뽀글이 라면을 먹었다. 연중이가 진라면을 줬기 때문에 가능한 얘기다. 카자흐스탄에서 한국 라면으로 뽀글이를 해먹고 있으니, 꼭 한국에 돌아온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고나 할까. 이른 아침이지만 그 시간만큼은 오로지 나를 위한 시간처럼 달콤했다. 카자흐스탄에 올 때만해도 세 번의 캠프(알마티에서 1번, 탈디쿠르간에서 2번)가 계획되어 있었다. 그래서 캠프를 대비할 겸, 모기약을 많이 사온 것이다. 하지만 이러저러한 이유들로 계획이 변경되어 한 번도 하지 않게 되..
26. 알마티에서 탈디쿠르간으로 알마티에서 1주일동안 있었다. 낯설던 곳이 익숙해지는 데에 많은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어느 순간엔 아침에 자고 일어나면, 알마티의 알 수 없는 언어들과 멀찍이 보이는 만년설이 늘 보아오고 들어오던 일상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그만큼 일주일이란 시간은 짧지만 강렬했다. 하지만 이젠 익숙한 곳을 떠나 새로운 곳으로 가야 한다. 거기서는 또 다른 인연이 있고 다른 환경이 있다. 어떠한 일이 일어날지 기대와 걱정을 하며 아침에 눈을 떴다. 알마티에서 탈디쿠르간까지는 무려 266㎞라 된다. 서울에서 광주까지의 거리와 엇비슷하다. 하지만 도로 사정이 좋지 않으니 4~5시간이 걸린다고 한다. 대장정이 될 것임을 어렴풋이 알 수 있었다. 아침 7시에 출발해야 하기에 6시에 일어나 부산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