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이종인 (3)
건빵이랑 놀자
7. 다이빙벨: 언론 속 다이빙벨과 이종인 우여곡절 끝에 다이빙벨이 투입되었다. “기존작업에 방해되고 기 설치된 바지선과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투입할 수 없다고 하던 말이 무색할 정도로 아무런 문제없이 5분 만에 투입은 완료되었다. 언론의 반응을 통해 본 다이빙벨 그런데 이상하게도 다이빙벨을 내렸을 때, 벨 안에 에어포켓이 형성되지 않고 계속 물이 차오르는 것이다. 그래서 하는 수 없이 투입한지 20분 만에 다시 꺼내야만 했다. 문제를 확인해 보니, 공기케이블이 훼손되어 있었다. 고의적으로 누가 훼손한 것인지, 투입 도중에 훼손된 것인지 알 수는 없지만, 투입된 지 20분 만에 문제가 발생하자 언론은 기다렸다는 듯이 실패했다는 기사(다이빙벨, 실효성 논란? “투입 20분 만에 고장” ‘절망’..
6. 다이빙벨: 다이빙벨은 실패해야만 했다 우여곡절 끝에 ‘다이빙벨’이 투입된다는 기사와 보도가 대대적으로 흘러나왔다. 사람들은 당연히 투입하기로 결정된 다음날(26일)에 투입되어, 확연한 구조성과가 있을 것이라 기대했다. ▲ 돌베개출판사의 '돌베개 책과 독립영화의 만남'은 도발적이다. 그래서 맘에 든다. 논란의 중심에 선 『다이빙벨』과 문화로서의 출판을 하는 돌베개의 만남 하지만 하루 이틀이 지나도 여전히 구조소식은 들리지 않았고, 이에 주요언론들은 ‘이종인 다이빙벨 실패 “죄송하다”..“유가족들 상처는 어쩌고?” (조선일보, 5월 2일)’, ‘“다이빙벨 만능” 혹세무민한 방송, 지금은 왜 말이 없나 (동아일보, 5월 3일)’, ‘수중 23m 내려갔지만 .. 실패로 끝난 다이빙벨 (중앙일보, 5월 2일..
5. 다이빙벨: 세월호 사건 속 다이빙벨의 의미 대통령과 총리, 관계부처 장관들이 현장을 찾아 구조작업을 격려했고, 실의에 빠져 있는 유가족을 위로했다. 매일 밤 메인뉴스로 세월호 관련보도가 흘러나와, 금방이라도 뒤집힌 배를 건져 올릴 수 있을 것 같은 착각이 들 정도로 난리법석을 피우고 있었다. ▲ 언론의 보도 행태를 비판하는 그림. 세월호에서도 언론왜곡은 그대로 드러났다. 세월호에서 다이빙벨의 의미 하지만 설레발이었을 뿐이었다. 사고발생 210일 만인 2014년 11월 11일에 실종자 9명을 끝내 찾지 못한 채 수색이 종료되기에 이른 것이다. 세월호의 구조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알기 위해서는 ‘다이빙벨’이란 키워드를 관통해야 한다. 다이빙벨은 ‘JTBC 뉴스 9’에 해난구조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