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이황 (3)
건빵이랑 놀자
부석사에 있는 의상의 지팡이 나무가 불편한 유학자 殿北上百步許, 有菴, 名以祖殿. 安義相祖師像, 簷內有樹, 名禪扉花. 僧言 “義相去時住錫于此, 言, ‘我去, 此木當復, 須觀其榮枯, 驗我生死.’ 果如其言. 錫化爲樹, 不霑雨露, 花葉開落, 至今千餘年不死”云. 退溪李先生題詩云 ‘擢玉森森倚寺門, 僧言卓錫化靈根. 杖頭自有漕溪水, 不借乾坤雨露恩.’ 肅廟庚子間, 榮川朴執義弘儁, 兒時讀書于是寺, 見此花, 與僧詰其所言之誕妄, 僧以退溪之詩藉重, 且言 “害此樹者, 必死.” 朴執義曰: “退溪之詩, 但述僧言, 非信之也. 我今折此樹, 爾言若是, 當失千金之軀; 爾言若無驗, 當破萬人之惑.” 遂拔所佩刀斫之, 朴執義果無恙, 僧言不驗矣. 然其後, 樹復生, 今成三枝, 其亦異矣. 趙侯德常詩小序曰: “浮石寺北菴之禪扉花, 僧傳是義相禪師手植之杖,..
도산십이곡을 지은 이유도산십이곡발(陶山十二曲跋) 이황(李滉) 세상에 유행하는 노래들은 음란하고 불공하기만 하다右『陶山十二曲』者, 陶山老人之所作也. 老人之作此, 何爲也哉? 吾東方歌曲, 大抵多淫哇不足言. 如翰林別曲之類, 出於文人之口, 而矜豪放蕩, 兼以褻慢戲狎, 尤非君子所宜尙. 惟近世有李鼈六歌者, 世所盛傳, 猶爲彼善於此. 亦惜乎其有玩世不恭之意, 而少溫柔敦厚之實也 도산십이곡이 유행해야 하는 이유老人素不解音律, 而猶知厭聞世俗之樂. 閒居養疾之餘, 凡有感於情性者, 每發於詩. 然今之詩異於古之詩, 可詠而不可歌也. 如欲歌之, 必綴以俚俗之語, 蓋國俗音節, 所不得不然也. 故嘗略倣李歌, 而作爲陶山六曲者二焉, 其一言志, 其二言學. 欲使兒輩朝夕習而歌之, 憑几而聽之, 亦令兒輩自歌而自舞蹈之, 庶幾可以蕩滌鄙吝, 感發融通, 而歌者與聽者,..
이황李滉: 1501년(연산군 7)~1570년(선조 3) 중기 성리학자.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ㆍ도수(陶叟)ㆍ퇴도(退陶)ㆍ청량산인(淸凉山人). 1. 숙부 이우에게 수학하고 특별한 사승관계 없음. 2. 주자의 서간문(書簡文)을 초록한 『주자서절요(朱子書節要)』 20권을 평생을 바쳐 편찬했으며 정주학(程朱學)을 수용하여 독자적으로 발전시켰고 이(理)를 보다 중시하는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정립함. 3. 퇴계의 학문과 사상은 이후에 영남이나 근기(近畿) 지방을 중심으로 계승됨. 4. 『퇴계집(退溪集)』(內集ㆍ別集ㆍ續集), 『자성록(自省錄)』, 『사서석의(四書釋義)』, 『삼경석의(三經釋義)』, 『역학계몽전의(易學啓蒙傳疑)』, 『주자서절요의(朱子書節要記疑)』, 『송계원명리학통록(宋季元明理學通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