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파극담(靑坡劇談) 목차
이육(李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작자의 문집인 『청파이선생문집(靑坡李先生文集)』 제2권에 수록되어 있다. 이륙(李陸)의 아들 영(岭)이 1512년(중종 7)에 처음 편찬하여 그의 후손 노선(魯善)이 1853년(철종 4)에 보완하여 중간한 것으로 되어 있다. 제2권 내용의 일부는 ‘청파극담’이라는 책명으로 『대동야승(大東野乘)』에 수록되어 있기도 하나, 문집에 있는 것과 꼭 일치하지는 않는다. 문집에는 제2권의 내용이 극담으로 예감(睿鑒)·기실(記實)·척이(摭異)·도량(度量)·정렬(貞烈)·총명(聰明)·명험(明驗)·점험(占驗)·조복(朝服)·의상(衣裳)·음식(飮食)·의방(醫方)·기용(技用)·기술(技術)·골계(滑稽) 등 15종으로 분류되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대동야승』에는 기이(記異)·기관(奇觀)·도량·골계·이학(俚謔)·고려품대(高麗品帶) 등으로 분류되어 있을 따름이다. 「기실」에서는 이암(李嵒)·공부(孔俯)·하륜(河崙)·효령대군(孝寧大君)·양녕대군(讓寧大君)·허조(許稠)·최윤덕(崔潤德)·세조, 그 밖의 여러 유명 인물에 얽힌 일화를 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척이」도 대체로 이와 비슷하여 안유(安裕)·김덕생(金德生)·최운해(崔雲海)·유효통(兪孝通)·정창손(鄭昌孫) 등의 이야기와 이들과 관계된 야사를 다루고 있다. 「도량」에서는 유관(柳寬)·황희(黃喜)·맹사성(孟思誠)·정갑손(鄭甲孫) 등 인물에 얽힌 이야기를 다루고 있으며, 「정렬」에서는 당시 유명했던 열녀들에 관한 행적을 수록하고 있다. 「조복」에서는 고려 시대와 조선 초기의 관복을 설명하며, 「의상」에서는 목면·베·마의 유래와 사용자에 대하여 기록하고 있다. 한편, 「골계」에서는 김효성(金孝誠)·영순군(永順君), 그 밖의 다른 인물들과 관련된 소화(笑話)를 담고 있다. 주로 유명 인물에 얽힌 이야기가 많다는 점에서 야사로서의 가치가 있으며, 또한 「조복」·「의상」 등의 내용은 민속학이나 복식의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
인용
'산문놀이터 > 조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연집습유, 어록 - (0) | 2019.12.21 |
---|---|
김창흡 - 김수재전(金秀才傳) (0) | 2019.12.21 |
박은 - 망실고령신씨행장亡室高靈申氏行狀 (0) | 2019.12.15 |
하수일 - 가설 증정자순稼說 贈鄭子循 (0) | 2019.12.14 |
이기 - 송와잡설松窩雜說 (0) | 2019.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