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형(呂刑)
呂侯爲天子司寇어늘 穆王이 命訓刑하여 以詰四方한대 史錄爲篇하니 今文古文皆有하니라
○ 按此篇은 專訓贖刑하니 蓋本舜典金作贖刑之語나 今詳此書컨대 實則不然이라 蓋舜典所謂贖者는 官府學校之刑爾요 若五刑則固未嘗贖也라 五刑之寬은 惟處以流하고 鞭扑之寬이라야 方許其贖이어늘 今穆王贖法은 雖大辟이라도 亦與其贖免矣라 漢張敞이 以討羌에 兵食不繼라하여 建爲入穀贖罪之法하니 初亦未嘗及夫殺人及盜之罪로되 而蕭望之等이 猶以爲如此면 則富者得生하고 貧者獨死하니 恐開利路하여 以傷治化라하니 曾謂唐虞之世에 而有是贖法哉아 穆王이 巡遊無度하여 財匱民勞하고 至其末年하여는 無以爲計일새 乃爲此一切權宜之術하여 以斂民財하니 夫子錄之는 蓋亦示戒라 然其一篇之書 哀矜惻怛하여 猶可以想見三代忠厚之遺意云爾라 又按書傳引此에 多稱甫刑이라하고 史記에 作甫侯言於王하여 作修刑辟이라하니 呂後爲甫歟인저
인용
제1장(第一章)
惟呂를 命하시니 王이 享國百年에 耄荒하여 度(탁)作刑하여 以詰四方하시다
惟呂命은 與惟說命으로 語意同하니 先此하여 以見訓刑이 爲呂侯之言也라 耄는 老而昏亂之稱이요 荒은 忽也라 孟子曰 從獸無厭을 謂之荒이라하시니라 穆王이 享國百年에 車轍馬跡이 遍于天下라 故로 史氏以耄荒二字로 發之하니 亦以見贖刑이 爲穆王耄荒所訓耳라 蘇氏曰 荒은 大也니 大度作刑은 猶禹曰予荒度土功이니 荒當屬下句라하니 亦通이라 然耄亦貶之之辭也라
인용
제2장(第二章)
王曰 若古에 有訓하니 蚩尤惟始作亂한대 延及于平民하여 罔不寇賊하여 鴟義姦宄하며 奪攘矯虔하니라
言鴻荒之世에 渾厚敦厖이러니 蚩尤始開暴亂之端하여 驅扇熏炙에 延及平民하여 無不爲寇爲賊이라 鴟義者는 以鴟張跋扈爲義요 矯虔者는 矯詐虔劉也라
인용
제3장(第三章)
苗民이 弗用靈하여 制以刑이요 惟作五虐之刑曰法이라하여 殺戮無辜하니 爰始淫爲劓刵椓黥하여 越玆麗(리)刑하고(하여) 幷制하여 罔差有辭하니라
苗民이 承蚩尤之暴하여 不用善而制以刑하고 惟作五虐之刑하여 名之曰法이라하여 以殺戮無罪라 於是에 始過爲劓鼻刵耳椓竅黥面之法하여 於麗法者에 必刑之하고 幷制無罪하여 不復以曲直之辭로 爲差別하고 皆刑之也라
인용
제4장(第四章)
民興胥漸하여 泯泯棼棼하여 罔中于信이요 以覆詛盟하니 虐威庶戮이 方告無辜于上한대 上帝監民하시니 罔有馨香德이요 刑發聞이 惟腥이러라
泯泯은 昏也요 棼棼은 亂也라 民相漸染하여 爲昏爲亂하여 無復誠信하고 相與反覆詛盟而已라 虐政作威하여 衆被戮者 方各告無罪於天한대 天視苗民하니 無有馨香德이요 而刑戮發聞이 莫非腥穢라 呂氏曰 形於聲嗟는 窮之反也요 動於氣臭는 惡之熟也라 馨香은 陽也요 腥穢는 陰也라 故로 德爲馨香이요 而刑發腥穢也라
인용
제5장(第五章)
皇帝哀矜庶戮之不辜하사 報虐以威하사 遏絶苗民하여 無世在下하시니라
皇帝는 舜也라 以書攷之컨대 治苗民과 命伯夷, 禹, 稷, 皐陶는 皆舜之事라 報苗之虐호되 以我之威라 絶은 滅也니 謂竄與分北(背)之類니 遏絶之하여 使無繼世在下國이라
인용
제6장(第六章)
乃命重黎하사 絶地天通하사 罔有降格케하신대 群后之逮在下 明明棐常하여 鰥寡無蓋하니라
重은 少昊之後요 黎는 高陽之後니 重은 卽羲요 黎는 卽和也라 呂氏曰 治世엔 公道昭明하여 爲善得福하고 爲惡得禍하여 民曉然知其所由하여 則不求之渺茫冥昧之間이러니 當三苗昏虐하여는 民之得罪者 莫知其端하여 無所控訴하여 相與聽於神하여 祭非其鬼하여 天地人神之典이 雜揉瀆亂하니 此는 妖誕之所以興이요 人心之所以不正也라 在舜에 當務之急이 莫先於正人心일새 首命重黎하여 修明祀典하사 天子然後에 祭天地하고 諸侯然後에 祭山川하여 高卑上下各有分限하여 絶地天之通하고 嚴幽明之分하여 焄蒿妖誕之說이 擧皆屛息한대 群后及在下之群臣이 皆精白一心하여 輔助常道하니 民卒善而得福하고 惡而得禍하여 雖鰥寡之微라도 亦無有蓋蔽而不得自伸者也라
○ 按國語曰 少皥氏之衰에 九黎亂德하니 民神雜揉하여 家爲巫史하고 民瀆齊盟하여 禍災荐臻이러니 顓頊이 受之하여 乃命南正重司天하여 以屬神하고 北正黎司地하여 以屬民하여 使無相侵瀆이러니 其後에 三苗復九黎之德이어늘 堯復育重黎之後하니 不忘舊者하여 使復典之라하니라
인용
제7장(第七章)
皇帝淸問下民하시니 鰥寡有辭于苗어늘 德威하신대 惟畏하고 德明하신대 惟明하니라
淸問은 虛心而問也라 有辭는 聲苗之過也라 苗以虐爲威하고 以察爲明이어늘 帝反其道하사 以德威而天下無不畏하고 以德明而天下無不明也라
인용
제8장(第八章)
乃命三后하사 恤功于民하시니 伯夷는 降典하여 折(絶)民惟刑하고 禹平水土하여 主名山川하고 稷降播種하여 農殖嘉穀하니 三后成功하여 惟殷于民하니라
恤功은 致憂民之功也라 典은 禮也라 伯夷降天地人之三禮하여 以折民之邪妄이라 蘇氏曰 失禮則入刑하니 禮刑이 一物也라 伯夷降典하여 以正民心하고 禹平水土하여 以定民居하고 稷降播種하여 以厚民生하니 三后成功하여 而致民之殷盛富庶也라 吳氏曰 二典에 不載有兩刑官하니 蓋傳聞之謬也라 愚意皐陶未爲刑官之時에 豈伯夷實兼之歟아 下文에 又言伯夷播刑之迪이라하니 不應如此謬誤니라
인용
제9장(第九章)
士制百姓于刑之中하여 以敎祗德하니라
命皐陶爲士하여 制百姓于刑辟之中하니 所以檢其心而敎以祗德也라
○ 吳氏曰 皐陶不與三后之列하여 遂使後世로 以刑官爲輕이라 後漢楊賜 拜廷尉에 自以代非法家라하여 言曰 三后成功하여 惟殷于民이어늘 皐陶不與라하니 蓋吝之也라 是는 後世非獨人臣以刑官爲輕이요 人君亦以爲輕矣라 觀舜之稱皐陶曰 刑期于無刑하여 民協于中이 時乃功이라하시고 又曰 俾予從欲以治하여 四方風動이 惟乃之休라하시니 其所繫 乃如此하니 是可輕哉아 呂氏曰 呂刑一篇은 以刑爲主라 故로 歷敍本末하고 而歸之於皐陶之刑하니 勢不得與伯夷禹稷雜稱이니 言固有賓主也니라
인용
제10장(第十章)
穆穆在上하며 明明在下하여 灼于四方하여 罔不惟德之勤하니 故乃明于刑之中하여 率乂于民하여 棐彛하니라
穆穆者는 和敬之容也요 明明者는 精白之容也라 灼于四方者는 穆穆明明하여 輝光發越而四達也라 君臣之德이 昭明如是라 故로 民皆觀感動盪하여 爲善而不能自已也라 如是而猶有未化者라 故로 士師明于刑之中하여 使無過不及之差하여 率乂于民하여 輔其常性하니 所謂刑罰之精華也라
인용
제11장(第十一章)
典獄은 非訖于威라 惟訖于富니 敬忌하여 罔有擇言在身하여 惟克天德이라사 自作元命하여 配享在下하리라
訖은 盡也라 威는 權勢也요 富는 賄賂也라 當時典獄之官은 非惟得盡法於權勢之家라 亦惟得盡法於賄賂之人이니 言不爲威屈하고 不爲利誘也라 敬忌之至하여 無有擇言在身하면 大公至正하여 純乎天德하여 無毫髮不可擧以示人者하리니 天德在我하면 則大命自我作하여 而配享在下矣라 在下者는 對天之辭니 蓋推典獄用刑之極功하여 而至於與天爲一者 如此니라
인용
제12장(第十二章)
王曰 嗟四方司政典獄아 非爾惟作天牧가 今爾는 何監고 非時伯夷播刑之迪가 其今爾何懲고 惟時苗民이 匪察于獄之麗(리)하며 罔擇吉人하여 觀于五刑之中이요 惟時庶威奪貨로 斷制五刑하여 以亂無辜한대 上帝不蠲하사 降咎于苗하시니 苗民이 無辭于罰하여 乃絶厥世하니라
司政典獄은 漢孔氏曰 諸侯也니 爲諸侯主刑獄而言이라 非爾諸侯 爲天牧養斯民乎아 爲天牧民이면 則今爾何所監懲고 所當監者 非伯夷乎아 所當懲者 非有苗乎아 伯夷布刑하여 以啓迪斯民하니 捨皐陶而言伯夷者는 探本之論也라 麗는 附也라 苗民이 不察於獄辭之所麗하고 又不擇吉人하여 俾觀于五刑之中이요 惟是貴者 以威亂政하고 富者以貨奪法하여 斷制五刑하여 亂虐無罪한대 上帝不蠲貸而降罰于苗하시니 苗民이 無所辭其罰하여 而遂殄滅之也라
인용
제13장(第十三章)
王曰 嗚呼라 念之哉어다 伯父와 伯兄과 仲叔과 季弟와 幼子와 童孫아 皆聽朕言하라 庶有格命하니라 今爾罔不由慰日勤하나니 爾罔或戒不勤하라 天齊于民이라 俾我一日이시니 非終惟終이 在人하니 爾尙敬逆天命하여 以奉我一人하여 雖畏(威)나 勿畏하며 雖休나 勿休하여 惟敬五刑하여 以成三德하면 一人有慶하며 兆民賴之하여 其寧惟永하리라
此는 告同姓諸侯也라 格은 至也라 參錯訊鞠하여 極天下之勞者 莫若獄이니 苟有毫髮怠心이면 則民有不得其死者矣라 罔不由慰日勤者는 爾所用以自慰者 無不以日勤이라 故로 職擧而刑當也라 爾罔或戒不勤者는 刑罰之用은 一成而不可變者也니 苟頃刻之不勤이면 則刑罰失中하여 雖深戒之나 而已施者亦無及矣라 戒固善心也나 而用刑을 豈可以或戒也哉아 且刑獄은 非所恃以爲治也니 天以是整齊亂民하여 使我爲一日之用而已라 非終은 卽康誥大罪非終之謂니 言過之當宥者요 惟終은 卽康誥小罪惟終之謂니 言故之當辟者라 非終惟終이 皆非我得輕重이요 惟在夫人所犯耳니 爾當敬逆天命하여 以承我一人이라 畏威는 古通用이니 威는 辟之也요 休는 宥之也라 我雖以爲辟이라도 爾惟勿辟하며 我雖以爲宥라도 爾惟勿宥하고 惟敬乎五刑之用하여 以成剛柔正直之德이면 則君慶於上하고 民賴於下하여 而安寧之福이 其永久而不替矣리라
인용
제14장(第十四章)
王曰 吁라 來하라 有邦有土아 告爾祥刑하노라 在今爾安百姓인댄 何擇고 非人가 何敬고 非刑가 何度(탁)고 非及가
有民社者 皆在所告也라 夫刑은 凶器也어늘 而謂之祥者는 刑期無刑하여 民協于中이면 其祥莫大焉이라 及은 逮也라 漢世에 詔獄所逮 有至數萬人者하니 審度其所當逮者而後에 可逮之也라 曰何, 曰非는 問答以發其意하여 以明三者之決不可不盡心也라
인용
제15장(第十五章)
兩造요 具備어든 師聽五辭호리니 五辭에 簡孚어든 正于五刑하며 五刑에 不簡이어든 正于五罰하며 五罰에 不服이어든 正于五過하라
兩造者는 兩爭者皆至也니 周官에 以兩造聽民訟하니라 具備者는 詞證皆在也라 師는 衆也라 五辭는 麗於五刑之辭也라 簡은 核其實也요 孚는 無可疑也라 正은 質也니 五辭簡核而可信이라야 乃質于五刑也라 不簡者는 辭與刑이 參差(치)不應이니 刑之疑者也라 罰은 贖也니 疑於刑則質于罰也라 不服者는 辭與罰이 又不應也니 罰之疑者也라 過는 誤也니 疑於罰이면 則質于過而宥免之也라
인용
제16장(第十六章)
五過之疵는 惟官과 惟反과 惟內와 惟貨와 惟來니 其罪惟均하니 其審克之하라
疵는 病也라 官은 威勢也요 反은 報德怨也요 內는 女謁也요 貨는 賄賂也요 來는 干請也라 惟此五者之病으로 以出入人罪면 則以人之所犯으로 坐之也라 審克者는 察之詳而盡其能也니 下文에 屢言하여 以見其丁寧忠厚之志라 疵於刑罰에 亦然이로되 但言於五過者는 擧輕以見重也라
인용
제17장(第十七章)
五刑之疑 有赦하고 五罰之疑 有赦하니 其審克之하라 簡孚有衆이어든 惟貌有稽니 無簡이어든 不聽하여 具嚴天威하라
刑疑有赦는 正于五罰也요 罰疑有赦는 正于五過也라 簡核情實하여 可信者衆이면 亦惟考察其容貌니 周禮所謂色聽이 是也라 然聽獄은 以簡核爲本이니 苟無情實이면 在所不聽이라 上帝臨汝하시니 不敢有毫髮之不盡也라
인용
제18장(第十八章)
墨辟疑赦는 其罰이 百鍰이니 閱實其罪하라 劓辟疑赦는 其罰이 惟倍니 閱實其罪하라 剕辟疑赦는 其罰이 倍差니 閱實其罪하라 宮辟疑赦는 其罰이 六百鍰이니 閱實其罪하라 大辟疑赦는 其罰이 千鍰이니 閱實其罪하라 墨罰之屬이 千이요 劓罰之屬이 千이요 剕罰之屬이 五百이요 宮罰之屬이 三百이요 大辟之罰이 其屬이 二百이니 五刑之屬이 三千이니 上下比罪하여 無僭亂辭하며 勿用不行이요 惟察惟法하여 其審克之하라
墨은 刻顙而涅之也요 劓는 割鼻也요 剕는 刖足也라 宮은 淫刑也니 男子는 割勢하고 婦人은 幽閉라 大辟은 死刑也라 六兩曰鍰이라 閱은 視也라 倍는 二百鍰也라 倍差는 倍而又差니 五百鍰也라 屬은 類也라 三千은 總計之也라 周禮에 司刑所掌은 五刑之屬이 二千五百이니 刑雖增舊나 然輕罪는 比舊爲多요 而重罪는 比舊爲減也라 比는 附也니 罪無正律이면 則以上下刑하여 而比附其罪也라 無僭亂辭勿用不行은 未詳이라 或曰 亂辭는 辭之不可聽者요 不行은 舊有是法而今不行者니 戒其無差誤於僭亂之辭하고 勿用今所不行之法이요 惟詳明法意而審克之也라
○ 今按皐陶所謂罪疑惟輕者는 降一等而罪之耳어늘 今五刑疑赦而直罰之以金하니 是는 大辟, 宮, 剕, 劓, 墨이 皆不復降等用矣라 蘇氏謂 五刑疑를 各入罰不降은 當因古制라하나 非也라 舜之贖刑은 官府學校鞭扑之刑耳라 夫刑莫輕於鞭扑이니 入於鞭扑之刑하고 而又情法이 猶有可議者면 則是無法以治之라 故로 使之贖하니 特不欲遽釋之也어늘 而穆王之所謂贖은 雖大辟이라도 亦贖也하니 舜豈有是制哉리오 詳見篇題하니라
인용
제19장(第十九章)
上刑이라도 適輕이어든 下服하며 下刑이라도 適重이어든 上服하라 輕重諸罰이 有權하며 刑罰이 世輕世重하나니 惟齊非齊나 有倫有要하니라
事在上刑이라도 而情適輕이면 則服下刑이니 舜之宥過無大와 康誥所謂大罪非終者 是也라 事在下刑이라도 而情適重이면 則服上刑이니 舜之刑故無小와 康誥所謂小罪非眚者 是也라 若(謂)[諸]罰之輕重이 亦皆有權焉하니 權者는 進退推移하여 以求其輕重之宜也라 刑罰世輕世重者는 周官에 刑新國에 用輕典하고 刑亂國에 用重典하고 刑平國에 用中典이라하니 隨世而爲輕重者也라 輕重諸罰有權者는 權一人之輕重也요 刑罰世輕世重者는 權一世之輕重也라 惟齊非齊者는 法之權也요 有倫有要者는 法之經也라 言刑罰이 雖惟權變是適하여 而齊之以不齊焉이나 至其倫要所在하여는 蓋有截然而不可紊者矣니 此兩句는 總結上意라
인용
제20장(第二十章)
罰懲이 非死나 人極于病하나니 非佞이 折獄이라 惟良이 折獄이라사 罔非在中하리라 察辭于差하여 非從惟從하며 哀敬折獄하며 明啓刑書하여 胥占이라사 咸庶中正하리니 其刑其罰을 其審克之하여사 獄成而孚하며 輸而孚하리니 其刑을 上備호되 有幷兩刑하라
罰以懲過는 雖非致人於死나 然民重出贖하니 亦甚病矣라 佞은 口才也라 非口才辯給之人이 可以折獄이요 惟溫良長者로 視民如傷者 能折獄이라야 而無不在中也니 此는 言聽獄者當擇其人也라 察辭于差者는 辭非情實이면 終必有差니 聽獄之要는 必於其差而察之라 非從惟從者는 察辭에 不可偏主니 猶曰不然而然이니 所以審輕重而取中也라 哀敬折獄者는 惻怛敬畏하여 以求其情也요 明啓刑書胥占者는 言詳明法律하여 而與衆占度(탁)也요 咸庶中正者는 皆庶幾其無過忒也니 於是에 刑之罰之호되 又當審克之也라 此는 言聽獄者 當盡其心也니 若是면 則獄成於下而民信之하고 獄輸於上而君信之라 其刑上備有幷兩刑者는 言上其斷獄之書에 當備情節이니 一人而犯兩事면 罪雖從重이나 亦幷兩刑而上之也라 此는 言쵌獄者 當備其辭也라
인용
제21장(第二十一章)
王曰 嗚呼라 敬之哉어다 官伯族姓아 朕言多懼하노라 朕敬于刑하노니 有德이라사 惟刑이니라 今天이 相民이시니 作配在下어다 明淸于單辭하라 民之亂은 罔不中聽獄之兩辭니 無或私家于獄之兩辭하라 獄貨는 非寶라 惟府辜功하여 報以庶尤하나니 永畏는 惟罰이니라 非天이 不中이라 惟人이 在命하니 天罰이 不極이면 庶民이 罔有令政이 在于天下하리라
此는 總告之也라 官은 典獄之官也요 伯은 諸侯也요 族은 同族이요 姓은 異姓也라 朕之於刑에 言且多懼하니 況用之乎아 朕敬于刑者는 畏之至也요 有德惟刑은 厚之至也라 今天이 以刑으로 相治斯民하시니 汝實任責하여 作配在下 可也라 明淸以下는 敬刑之事也라 獄辭는 有單有兩하니 單辭者는 無證之辭也니 聽之爲尤難이라 明者는 無一毫之蔽요 淸者는 無一點之汚라 曰明曰淸은 誠敬篤至하고 表裏洞徹하여 無少私曲이니 然後에 能察其情也라 亂은 治也라 獄貨는 鬻獄而得貨也라 府는 聚也라 辜功은 猶云罪狀也라 報以庶尤者는 降之百殃也라 非天不中惟人在命者는 非天이 不以中道待人이라 惟人이 自取其殃禍之命爾라 此章은 文有未詳者하니 姑缺之하노라
인용
제22장(第二十二章)
王曰 嗚呼라 嗣孫아 今往은 何監고 非德于民之中가 尙明聽之哉어다 哲人이 惟刑하여 無疆之辭는 屬于五極하여 咸中이라 有慶이니 受王嘉師는 監于玆祥刑이어다
此는 詔來世也라 嗣孫은 嗣世子孫也라 言今往은 何所監視오 非用刑成德하여 而能全民所受之中者乎아 下文哲人은 卽所當監者라 五極은 五刑也라 明哲之人이 用刑而有無窮之譽는 蓋由五刑이 咸得其中이니 所以有慶也라 嘉는 善이요 師는 衆也라 諸侯受天子良民善衆이면 當監視于此祥刑이니 申言以結之也라
인용
'고전 > 서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경, 주서, 고명 - 6 (0) | 2020.06.29 |
---|---|
서경, 주서, 고명 - 7 (0) | 2020.06.29 |
서경, 주서, 문후지명 - 전문 (0) | 2020.06.29 |
서경, 주서, 비서 - 전문 (0) | 2020.06.29 |
서경, 주서, 진서 - 전문 (0) | 2020.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