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년 만의 재도전③
외국군이 들이닥친다는 소식을 들은 동학 농민군의 지도자 전봉준은 서둘러 6월 10일에 조선 정부와 화의를 맺고 전주성에서 철수했다. 조선 정부도 그제야 사태의 위중함을 깨닫고 두 나라 군대의 철병을 요청했다. 그러나 그 정도로 끝낼 거라면 애초에 군대를 보내지도 않았다. ‘진압 대상’이 사라지자 일본은 숨긴 의도를 드러냈다. 두 달 가까이 동학 잔당을 없앤다며 부산을 떨던 일본군은 7월 하순에 느닷없이 조선의 왕궁에 침입해 민씨 정권을 제거하고 대원군을 다시 옹립했다. 이 때문에 오히려 동학 농민군은 재차 봉기에 나섰으니, 일본군은 반란 진압을 구실로 왔다가 반란을 더욱 키운 셈이었다.
일본으로서는 이미 겉으로 내보인 발톱을 도로 감출 수 없는 입장이었다. 대원군을 옹립한 지 이틀 만에 일본의 해군과 육군은 황해상에 있는 청의 함대와 아산에 주둔 중인 청의 육군을 기습했다. 이리하여 청일전쟁【우리는 청일전쟁이라고 부르지만 일본에서는 일청전쟁이라고 부른다. 뒤에 나오는 러일전쟁 역시 일본에서는 일러전쟁이라고 부른다. 전쟁의 명칭에마저 자국의 이름을 앞세우는 일본의 의도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모르겠으나, 영어명은 각각 Sino-Japanese War(청일전쟁)와 Russo-Japanese War(러일전쟁)다. 전쟁의 명칭에서는 침략국을 앞에 쓴다는 주장도 있지만, 일관되게 지켜지는 원칙은 없다】이 발발했는데, 으레 그렇듯이 일본은 선제공격을 가하고 사흘 뒤에야 정식 선전포고를 했다.
임진왜란 이후 300년 만에 일본과 중국은 다시 대회전을 벌이게 되었다. 임진왜란이 일본의 패배였다면 이번은 설욕전이 될 테고, 그때가 무승부였다면 이번은 결승전이 될 터이다. 안타까운 것은 이번에도 전장이 조선이라는 점이다.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 없다.”라는 말처럼 전쟁은 싱겁게 끝나 버렸다. 이홍장이 각별히 공을 들인 청의 육군과 해군은 일본의 기민한 공격 앞에 제대로 힘 한 번 써보지 못하고 무너졌다. 개전 후 두 달이 채 못 되어 일본군은 평양에서 청의 주력군을 격파하고 청군을 조선에서 완전히 몰아냈으며, 황해의 해전에서도 청의 주력 함대를 궤멸시켰다. 곧바로 랴오둥에 상륙한 일본군이 뤼순(旅順)을 접수하고 산둥 반도까지 밀고 내려가자 청은 결국 항복하고 말았다. 300년 전에는 10년 가까이나 전쟁을 벌이고도 이기지 못했지만, 이순신이 없는 이번 전쟁에서 일본은 불과 6개월 만에 완승을 거두었다.
1895년 청은 시모노세키에서 또 하나의 불평등조약을 맺었다. 이번에는 서구 열강이 아니라 일본이 조약의 상대였다. 반면 일본은 강화도조약으로 조선을 제압한 데 이어 청마저 굴복시켜 서구 제국주의에 못지않은 ‘동양 제국주의’로 떠올랐다.
조약에서는 그동안 서구 열강이 중국과 체결한 각종 불평등조약의 내용들이 망라되고 모방되었다. 청은 일본에 랴오둥 반도와 대만 등을 할양했고, 막대한 배상금을 물어야 했다(일본이 받은 배상금은 3억 엔이었는데, 일본의 실제 전쟁 비용은 전부 합쳐 2억 47만 엔이었다). 물론 최혜국 대우 조항도 있었다. 특기할 만한 것은 ‘조선이 완전한 독립국임’을 승인한다는 내용이 조약의 1항으로 채택되었다는 점이다. 1919년 독립선언서의 첫 대목을 연상시키는 이 조항이 삽입됨으로써 일본은 조선을 완전한 식민지로 만들기 위한 일차 포석을 마쳤다.
▲ 청일전쟁 일본 측의 그림에 묘사된 청일전쟁. 전쟁을 사전에 철저히 준비한 일본은 부패하고 무능한 청나라에 압도적으로 승리했다.
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