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횡무진 동양사 목차
남경태
연표
선사 ~ 위만조선 | 삼국건국 ~ 신라통일 |
남북국 | 고려 |
조선 건국~연산군 | 중종~임란 발발 |
임란~정조 | 순조~조선 말기 |
대한제국~현대사 |
책 머리에
2009년 통속적인 역사책에 싫증을 느낀 독자에게
2014년 지은이의 향기가 나는 종횡무진 시리즈가 되기를 바라며
프롤로그: 동양의 태어남과 자람, 그리고 뒤섞임
1부 태어남
제1장 중국이 있기까지
신화와 역사의 경계
구름 속의 왕조를
중화 세계의 영원한 고향
기나긴 분열의 시대
최초의 통일을 향해
동양 사상의 뿌리(유가, 도가, 묵가, 법가)
2장 인도가 있기까지
굴러온 돌의 승리
인도와 종교
정치적 공백이 이룬 통일
3장 일본이 있기까지
금속의 빛을 던져준 야요이 문화
빛은 서방에서
왜에서 일본으로(쇼토쿠 태자)
2부 자람
4장 세상의 중심이었던 중국
1. 중화의 축
죽 쒸서 개 준 통일(진시황, 만리장성)
촌놈이 세운 대제국(한나라, 군국제)
한 무제의 두 번째 건국
흉노 정벌의 도미노(둔전제, 균수법, 한4군)
화려한 겉과 곪아가는 속(왕망)
외척과 환괸의 악순환(광무제)
또 다시 분열의 시대로
2. 분열 속의 발전
『삼국지』의 막후에는(구품중정제, 병호제)
고대의 강남 개발(팔왕의 난, 5호16국)
따로 또 같이
문화의 르네상스(죽림칠현)
3. 안방의 세계 제국
반복되는 역사(수문제, 수양제, 과거제, 운하)
중화 세계의 중심으로(당태종, 당고종)
해프닝으로 끝난 복고주의(측천무후)
정점에서 시작된 퇴조(당현종, 안록산의 난, 조용조, 부병제)
쓰러지는 세계 제국(황소의 난)
4. 중원과 북방의 대결
군사정권이 세운 문민정부(송태조, 과거제)
꽃피운 문화의 시대(송태조, 근체시, 백록동 서원)
문민정부의 아킬레스건(송태종, 전연의 맹약)
개혁의 실패는 당쟁을 부른다(왕안석)
새로운 남북조시대?(정강의 변)
5장 분열이 자연스러운 인도
1. 짧은 통일과 긴 분열
법에 의한 정복
인도판 춘추전국시대
2. 고대 인도의 르네상스
중앙집권을 대신한 군주들
가장 인도적인 제국
3. 이슬람과 힌두가 만났을 때
정체를 가져온 태평성대
이슬람이 지배한 힌두
4. 최초이자 최후의 제국
다양한 매력의 지배자
최초의 중앙집권 제국
유능한 군주들이 일군 전성기
6장 군국주의로 치닫는 일본
1. 무한 내전의 출발
모방의 한계
귀족이 주도한 율령제
순수 무장의 집권
모방을 버리고 독자 노선으로
2. 무인들의 세상이 열리다
권좌에 오른 무사들
자유경쟁을 통해 독점으로
시련과 극복
곪아가는 바쿠후 체제
3. 통일과 분열, 분열과 통일
그래도 답은 바쿠후
하극상의 시대
떠오르는 별, 노부나가
3부 섞임
7장 중국의 화려한 시작과 비참한 종말
1. 역사상 가장 강했던 제국
슈퍼스타의 등장
불세출의 정복 군주(칭기즈칸)
몽골이 서쪽으로 간 까닭은(오고타이)
중국식으로 살자(쿠빌라이, 원세조)
동서 문화의 교류
깨어나라, 한인들아!
2. 전통과 결별한 한족 왕조
황제가 된 거지(주원장)
영락제의 세계화(자금성, 남방원정)
환관의 전성시대(왕진, 유근, 위충현)
사람 잡는 은납제
조공인가, 무역인가
기회는 죽고 당쟁은 살고(동림당)
우물 안의 제국
3. 최후의 전성기
급변하는 만주(누르하치, 홍타이지)
해법은 또다시 한화 정책(강희제, 성세자생인정)
아이디어맨 옹정제(양렴은제, 황태자밀건법, 지정은제)
현대의 중국 영토가 형성되다(건륭제)
장수의 비결(팔기제)
안정 속의 쇠락
4. 중국으로 몰려오는 하이에나들
전쟁 아닌 전쟁(동인도회사, 아편전쟁)
지상에서 이루지 못한 천국(난징조약, 2차 아편전쟁, 톈진조약, 태평천국운동)
자구책Ⅰ(양무운동, 청일전쟁, 시모노세키 조약, 무술변법)
자구책Ⅱ(의화단, 위안스카이)
마지막 황제 푸이(과거제 폐지, 신해혁명)
5. 새 나라로 가는 길
험난한 공화정(북양군벌, 위안스카이 독재)
전혀 새로운 정치 세력(5ㆍ4운동)
한 지붕 두 가족(대장정)
안이 먼저냐, 바깥이 먼저냐(만주사변, 시안사건)
합작의 성과와 한계(7ㆍ7사변, 중일전쟁, 난징대학살)
사회주의 공화국의 탄생(태평양전쟁, 정전협상, 중화인민공화국)
중국식 사회주의의 문제(대약진운동)
8장 외부에서 온 인도의 통일
1. 분열된 조국과 통일된 식민지
남의 집에서 벌인 힘겨루기
나라를 내주고 얻은 통일
최후의 보루가 무너지다
식민지적 발전
2. 간디와 인도독립
민족의식에 눈뜨다
독립과 동시에 분열로
인도에서 종교란
9장 도발로 수미일관한 일본
1. 내전을 국제전으로
하극상의 절정(도요토미 히데요시)
대외로 연장된 하극상(임진왜란, 정유재란)
2. 작은 천하와 작은 제국
최후의 승자가 된 2인자(도쿠가와 이에야스, 세키가하라 전투)
마지막 내전
바쿠후를 보완한 바쿠한
쇄국을 통한 안정
3. 번영을 낳은 쇄국, 유신을 낳은 개항
일본의 시민사회
닫힌 문을 두드리는 열강
타의에 의한 복귀
바쿠후의 몰락
일본의 머리에 서양의 손발(메이지유신, 이토 히로부미)
4. 제국주의의 길
대외 진출은 늘 침략으로(요시다 쇼인, 수호통상조약, 강화도조약)
유신의 결론은 군국주의(흠정헌법)
300년 만의 재도전(청일전쟁, 동학농민운동, 강화도조약)
제국주의의 명패를 달다(영일동맹, 러일전쟁)
5. 동양식 제국주의의 결론
‘군부’라는 개념
중국을 먹어야 일본이 산다
군국주의의 말로
정치와 경제의 부조화
에필로그: 문명의 뒤섞임, 차이와 통합을 아우르는 시대로
인용
'역사&절기 > 세계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역사 - 1. 고대시대 (0) | 2021.12.08 |
---|---|
중국사 - 개관(槪觀) (0) | 2021.11.23 |
종횡무진 동양사 - 에필로그 (0) | 2021.06.04 |
종횡무진 동양사 - 3부 섞임, 9장 도발로 수미일관한 일본 (0) | 2021.06.04 |
종횡무진 동양사 - 3부 섞임, 8장 외부에서 온 인도의 통일 (0) | 2021.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