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도마복음한글역주, 제9장 - 마가복음과 도마복음 본문

고전/성경

도마복음한글역주, 제9장 - 마가복음과 도마복음

건방진방랑자 2023. 3. 20. 08:37
728x90
반응형

 9

 

 

마가복음과 도마복음

예수의 비유가 과연 천국의 비밀일까?

 

 

씨 뿌리는 자의 비유는 공관복음서의 대표적인 비유이다. 마태·누가의 비유는 마가의 비유를 원자료로 하고 있다. 그런데 마가의 비유보다 더 오리지날한 한 조형이 도마복음의 씨 뿌리는 자의 비유라는 사실이 밝혀져 신학계에 충격을 던져주었다. 예수의 비유에 예수가 직접 주석을 달 수는 없는 것이다.

 

 

9

1예수께서 가라사대, “보라! 씨 뿌리는 자는 나갔다. 한 줌의 씨를 손에 가득 쥐고 그것을 뿌렸다. 2더러는 길가에 떨어지매 새들이 와서 쪼아 먹어 버렸고, 3더러는 바위 위에 떨어지매 땅속에 뿌리를 내리지 못해 이삭을 내지 못했고, 4더러는 가시떨기에 떨어지매 가시가기운을 막았고 벌레가 삼켜버렸다. 5그리고 더러는 좋은 땅에 떨어지매 그것은 좋은 열매를 내었다. 그것은 육십 배, 그리고 백이십 배의 결실이 되었느니라.”

1Jesus said, “Look, the sower went out, took a handful of seeds, and scattered them. 2Some fell on the road, and the birds came and pecked them up. 3Others fell on rock, did not take root in the soil, and did not produce heads of grain. 4Others fell on thorns, and they chocked the seeds and worms devoured them. 5And others fell on good soil, and it brought forth a good crop. It yields sixty per measure and one hundred twenty per measure.”

 

 

감격이다! 도마복음에서 그 유명한, 공관복음서의 대표적인 비유로 꼽히는 씨 뿌리는 자의 비유(The Parable of the Sower)를 발견하게 되는 것은 감격이 아니고 무엇이랴! 씨 뿌리는 자의 비유는 마가(4:3~8), 마태(13:3~8), 누가(8:5~8)에 공통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우리가 공관자료(synoptic materials)라고 부르는 것이다. 마태와 누가에만 공통으로 나타나는 큐복음자료가 아닌 것이다.

 

그런데 마태, 마가, 누가 중에서는 물론 마가자료가 조형(祖型)이다. 그러므로 우리가 비교의 대상으로 삼아야 할 것은 도마와 마가가 된다. 마가복음과 도마복음을 같이 펼쳐놓고 비교해보면 도마복음이 마가복음의 원형이라는 사실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다(도마 마가 마태ㆍ누가), 이것은 나 도올의 사견이 아니라 예수의 비유를 연구하는 모든 신학자들의 공통된 견해이다. 참으로 놀라운 것이다. 마가보다 더 원형에 가까운 예수의 말씀을 도마에서 발견한다는 이 사실! 도마에는 바위 위에 떨어지매라는 구절이 있으나, 마가에는 이 구절이 흙이 얇은 돌밭으로 변형되어 있다. 그러나 누가는 도마의 원문을 그대로 계승하고 있다. 그리고 누가는 마가의 설명부분4:5~6. 흙이 깊지 아니하므로 곧 싹이 나오나 해가 돋은 후에 타져서 뿌리가 없으므로 말랐고을 생략해 버렸는데, 이 설명부분은 도마에도 없다. 이러한 정황으로 보아 누가가 도마의 원형을 더 잘 보존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도마와 마가, 양자를 비교해보면 우선 도마자료에는 예수께서 여러 가지를 비유로 가르치시었다(Jesus taught them many things in parables)’는 설명조의 도입부분이 없다(4:2). 다시 말해서 예수의 말씀이 비유라고 객관화되어 규정되는 개념적 소외가 없다. 곧바로 예수는 말했을 뿐이다. 그것이 비유라고도 규정되지 않는다. 마가는 왜 애초에 이것을 비유라고 규정했을까? 그 해답은 예수의 말씀이 끝난 후에 부가된 설명에서 명백해진다.

 

 

이르시되 하나님 나라의 비밀을 너희에게는 주었으나 외인에게는 모든 것을 비유로 하나니, 이는 저희로 보기는 보아도 알지 못하며 듣기는 들어도 깨닫지 못하게 하여, 돌이켜 죄사함을 얻지 못하게 하려 함이니라. (4:11~12).

 

 

남이 쉽게 알아들어 깨닫지 못하게 하고 죄사함을 얻지 못하게 하는 것이야말로 비유로 말하는 이유라고 하는, 좀 야비하게 들릴 수도 있는 이런 말을 예수 입으로부터 듣는다는 것은 도무지 껄끄럽다. 여기 이미 특수집단의 폐쇄성이 전제되어 있다. 즉 제자집단과 외인집단의 이원성이 확연히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비유는 전자에게는 열려있지만 후자에게는 닫혀있다. 그러므로 특수한 예수의 설명이 필요하게 된다.

 

 

천정의 한 부분인데 클레오파트라의 최후의 순간을 조각해 놓았다. 안토니우스가 옥타비아누스에게 패배당하자 삶을 구걸하지 않고 독사에게 물려 생애를 마감한다. 클레오파트라는 한때 이 땅의 주인이었다.

 

 

예수는 원래 비유로 말하기를 좋아한 사람이었다. 그러나 그는 그것을 비유라고 규정하지 않았다. 왜냐? 그것은 어린아이라도 쉽게 알아들을 수 있는 너무도 명백하고 단순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예수는 알아들으라고 말한 것이지 알아듣지 말라고 비유로 말한 것이 아니다. 예수의 비유는 예수의 많은 로기온자료 중에서도 가장 예수의 생생한 육성을 전하는 오리지날한 자료로서 정평이 있다. 예수의 비유는 어떠한 유대교 전통의 지혜문학이나 어떤 랍비의 교설에 비교해보아도 그 단순명료한 강렬함은 전무후무한 것이다. 예수의 비유는 그 비유를 통하여 딴 말을 하고자 하는 알레고리가 아닌 것이다. 비유의 전승은 우리를 역사적 예수에게로 가깝게 데려간다. 너무도 단순명료하기 때문에 어린아이라도 , 바로 그렇습니다라고 대답할 수밖에 없도록 휘몰아간다.

 

그러나 예수의 사후, 이미 10년 안에 벌써 이 비유들은 어떤 천국의 비밀을 간직한 비의적인 사태로서 신비화되기 시작하였고 교회 내부의 사람들과 외부의 사람들을 이원화시키는 열쇠처럼 추상화되어 갔다. 마가복음의 기술만 해도 이미 완벽하게 기독론적인 해석(Christological interpretation)을 깔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물론 종말론적인 톤(eschatological tone)도 같이 깔려 있다. 마가복음에 수록된 예수 자신의 해설을 들어보자!

 

뿌리는 자는 말씀을 뿌리는 것이다.”(4:14). 씨와 말씀이 개념적으로 대응된다.

 

말씀이 길가에 뿌리웠다는 것은 사탄이 즉시 와서 저희에게 뿌리운 말씀을 빼앗는 것이다.여기에는 이미 교회라는 공동체를 수용한 사람과 그 수용자를 박해하는 사탄(Satan)이 이원적으로 대립되고 있다. 결국 예수의 씨 뿌리는 자의 평화로운 비유가 사탄과의 대결이라는 긴박한 사태로 변질되고 있는 것이다.

 

돌밭에 뿌리웠다는 것은, 그 속에 뿌리가 없어 잠깐 견디다가 말씀을 인하여 환난이나 핍박이 일어나는 때에는 곧 넘어지는 자를 비유한 것이다.이것도 이미 요한계시록에서 말하는 묵시적 경고와 별 차이가 없다. 기독교공동체의 사람들에게는 환난과 핍박이 있게 마련이며, 이 환난과 핍박을 견디지 못하고 뿌리가 뽑히는 자들의 모습이 이러하다는 것이다. 즉 초기교회공동체에 대한 변절이나 배반에 대한 경고가 들어있는 것이다.

 

가시떨기에 뿌리우는 자는 세상의 염려와 재리의 유혹과 기타 욕망이 들어와 말씀이 가리워 결실치 못하는 자다.여기에도 하나님의 의로우심과 인욕(人欲)의 대립관계를 설정하는 바울신학적 해석이 들어와 있다.

 

예수의 비유가 과연 마가가 제시하는 이러한 해설 속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인가? 도마는 해석은 읽는 자들이 스스로 발견하는 것이라 했다(Th.1). 그러나 벌써 마가복음만 해도 예수의 비유의 해석이 마가복음서 기자에 의하여 독자들에게 강요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브레데메시아비밀과는 또 다른 차원의 마가복음의 문제점이다. 요아킴 예레미아스(Joachim Jeremias)는 이러한 문제를 알레고리화(allegorization)’라고 부른다도마복음한글역주3권 제65장 역주에서 상설함, 도마복음서에 일체 이러한 알레고리적 해석이 명기되어 있지 않다는 사실 그 자체가 이미 도마복음서의 오리지날리티를 확보하는 것이다.

 

 

북만주의 흑룡강성은 비옥하다. 흑룡강의 흑룡을 닮았는지는 모르겠으나 대체로 땅이 검다. 북만주 산시(山市)에 있는 백야 김좌진 장군의 순국지를 가는 길에 내가 찍은 사진이다. 김을동 의원이 산시에 김좌진 장군의 유적지를 보존해놓은 모습이 감동적이었다. 한 조선족 여인이 풍요로운 옛 발해 땅에 씨를 뿌리고 있다 (20054월 촬영).

 

 

인용

목차

본문

성경

주제상관도표

기독교성서의 이해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