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4. 도굴꾼 유학자
儒以『詩』ㆍ『禮』發冢.
大儒臚傳曰: “東方作矣, 事之何若?” 小儒曰: “未解裙襦, 口中有珠. 『詩』固有之曰: ‘靑靑之麥, 生於陵陂. 生不布施, 死何含珠爲?’”
接其鬢, 擫其顪, 儒以金椎控其頤, 徐別其頰, 無傷口中珠.
해석
儒以『詩』ㆍ『禮』發冢.
유학자란 『시경(詩經)』과 『예기(禮記)』로 무덤을 파헤치는 이들이다.
大儒臚傳曰: “東方作矣, 事之何若?”
망을 보던 대유(大儒)는 “해가 밝아오니 일이 어떠하냐?”라고 전한다[臚傳].
小儒曰: “未解裙襦, 口中有珠. 『詩』固有之曰: ‘靑靑之麥, 生於陵陂. 生不布施, 死何含珠爲?’”
무덤에 들어간 소유(小儒)들이 “치마와 저고리를 풀지 못했는데 입 속엔 구슬이 있어요. 『시경』에 다음 구절이 있지 않소.
靑靑之麥 生於陵陂 | 푸르디 푸른 보리가 언덕에 사네. |
生不布施 | 살아서 보시하진 않고선 |
死何含珠爲 | 죽어선 어찌 구슬을 머금고 있나? |
接其鬢, 擫其顪, 儒以金椎控其頤, 徐別其頰, 無傷口中珠.
시체의 머리를 잡고 뺨을 누리며 소유(小儒)가 쇠망치로 턱을 치니 천천히 볼이 나누어져 입 안의 구슬이 손상되지 않았다.
인용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고전 > 장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자 외물 - 6. (0) | 2019.05.15 |
---|---|
장자 외물 - 5. (0) | 2019.05.15 |
장자 외물 - 3. (0) | 2019.05.15 |
장자 외물 - 1. (0) | 2019.05.15 |
장자 칙양 - 11. (0) | 2019.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