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한국시화에 나타난 존당파ㆍ존송파의 평론연구 - 5. 결론 본문

카테고리 없음

한국시화에 나타난 존당파ㆍ존송파의 평론연구 - 5. 결론

건방진방랑자 2022. 10. 23. 12:02
728x90
반응형

5. 결론

 

 

한국시화에 기록된 중국문인과 시에 관련된 내용은 양과 질적인 면에서 대단한 수준이다. 한국시화에는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중국시와 관련된 총론, 시론, 풍격, 시의, 자구의 오류 등 다양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한국시화에는 거의 동시대의 중국의 유명 시화의 내용을 직접 인용하고 혹은 중국문인의 시나 시구를 들어 비평하였는데 이를 통하여 한국의 문인들이 중국시에 대하여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었고 그 내용을 잘 알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중국시의 주석에 대하여 그 정오(正誤)를 논할 만큼 시 해석에 있어서 대단히 정확하고 치밀하였다.

 

본 논문은 한국시화의 내용 중에서 당시와 송시에 대한 평론을 중심으로 존당과 존송의 내용과 각각의 시대를 대표하는 이백, 두보와 소식, 황정견에 대한 평론을 살펴보았다. 중국에서는 일찍이 명대(明代)에 당시(唐詩)와 송시(宋詩)의 논쟁이 있었고 청대(淸代)에 이르러 본격적으로 종당파와 종송파의 논쟁이 있었다.

 

한국에서는 고려후기와 조선전기까지는 존송시대였고 조선중기부터는 존당시기였다고 할 수 있는데 중국처럼 유파를 형성하지는 못했으나 존당과 존송으로 나눠져 그 평론을 전개하였다.

 

존당파는 당시(唐詩)에 대하여 성정과 흥기, 자연스러움을 높이 평가하였고, 이백의 성정과 두보의 조탁미를 높이 평가하였다. 그리고 이백보다는 두보를 좀 더 높이 평가는 특징을 드러냈다. 반면에 소식 시의 산문화와 황정견의 습작에 대하여는 비평하였다.

 

존송파는 송시의 학문을 바탕으로 한 의론과 용사, 전고의 정확한 활용, 조어(造語)와 련자(鍊字) 등을 높이 평가하고 황정견보다는 소식을 좀 더 높이 평가하였다.

 

존당파와 존송파의 비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존송파의 당시(唐詩)에 대한 관점인데 비록 존송파일지라도 성당의 두보를 최고로 인정한 상태에서 송시의 뛰어남을 인정하고 존송의 입장을 견지하였다는 사실이다. 존송의 입장은 김창협(金昌協)과 이의현(李宜顯)이 말한 것처럼 만당(晩唐)의 시()보다는 송시(宋詩)가 뛰어나고 당시(唐詩) 전체와 비교할 때는 송시가 상대적으로 뛰어난 점이 있다는 것이다. 대체적으로 존당파는 소식과 황정견에 대하여 의론과 전고의 다용을 지적하여 시가 산문화됨으로써 함축미가 줄어들었다고 비평하였고, 존송파는 성당의 시를 대표하는 이백과 두보 중 두보를 더 인정하면서 존당파보다 두보의 조탁과 용사에 대하여 더욱 주목하고 높은 평가를 하였다. 이는 시가 발전상 상보적 발전의 한 형태라고 평가할 수 있다. 당시(唐詩)의 우수성을 수용하면서도 송시(宋詩)의 발전을 도모하는 과정 속에서 송시 발전의 한 규범으로 두보 시를 더욱 주목하여 배움으로써 송시의 특색을 드러내어 존당과 존송이라는 논쟁을 불러일으킬 만큼 시의 새로운 경계를 개척하였다고 볼 수 있다.

 

한국에서의 존당과 존송의 논쟁을 전개하면서 중국의 유명 시화의 내용과 많은 시가 인용되어 분석됨을 볼 때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당시(唐詩)와 송시(宋詩)의 장점에 대한 인식이 한ㆍ중에서 거의 비슷하고 이백과 두보, 소식과 황정견의 장점에 대한 인식도 비슷한 점이 많다. 본 논문이 존당과 존송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그 영향관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다루지 못하였는데 이에 대해서는 다음 기회를 기약하고자 한다.

 

 

 

 

 

 

인용

목차

한문 논문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