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한국시화에 나타난 존당파ㆍ존송파의 평론연구 - 목차 본문

카테고리 없음

한국시화에 나타난 존당파ㆍ존송파의 평론연구 - 목차

건방진방랑자 2022. 10. 23. 12:09
728x90
반응형

한국시화(韓國詩話)에 나타난 존당파(尊唐派)ㆍ존송파(尊宋派)의 평론연구(評論硏究)

- 李白, 杜甫, 蘇軾, 黃庭堅 評論中心으로 -

 

박 순 철

 

―――――――― 「 목차(目次) 」 ――――――――

1. 시화라는 명칭의 등장과 흐름

 

2. 한국시화(韓國詩話)의 당송시(唐宋詩)에 대한 총론(總論)

1) 홍경우~홍만종까지의 흐름

2) 김창협, 천기와 성정이란 잣대로 시를 비평하다

3) 당시를 극찬한 이수광

4) 송시를 만당풍보다 높게 친 이의현

 

3. 존당파(尊唐派) 개별(個別) 시인(詩人)에 대한 평론(評論)

1) 이백(李白)보다 두보(杜甫)를 더 우위에 둔 남용익과 김만중의 평론(評論)

2) 이백(李白)보다 두보(杜甫)를 더 우위에 둔 이식의 평론(評論)

3) 이수광, 두보 시를 낮추어 평가하다

4) 이수광, 두보시를 강서시와 비교하다

5) 이수광, 이백와 황정견의 시를 비교하다

6) 이수광, 송풍(宋風)의 모방과 산문화를 비판하다

 

4. 존송파(尊宋派)의 개별(個別) 시인(詩人)에 대한 평론(評論)

1) 이인로와 권응인의 존송파(尊宋派)에 대한 평론(評論)

2) 김창협의 존송파(尊宋派)의 기본 위에 성당풍(盛唐風)을 갖추라 말하다

3) 최자, 보한집에서 존송(尊宋)의 가치를 드러내다

4) 이의현, 존송파(尊宋派)임에도 두보를 시의 정맥으로 보다

 

5. 결론

――――――――――――――――――――――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