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공 한문 논문 목차
한시
백악시단(白嶽詩壇)의 진시 연구(眞詩 硏究) (김형술) |
향랑고사를 수용한 한시의 의미 (전경원) |
한국시화에 나타난 존당파(尊唐派)ㆍ존송파(尊宋派)의 평론연구 (박순철) |
「소경에게 시집간 여자[道康瞽家婦詞]」를 읽고 (임형택) |
현실주의의 발전과 서사한시 (임형택) |
16~17세기 한시사 연구 (이종묵) |
한국한시약사 (민병수) |
당나라 시풍 |
문학
고문이란 무엇인가? (한국민족문화백과사전) |
한문학에 나타난 이속(俚俗)의 수용 양상 (김영주) |
고려시대의 고문의식 (김건곤) |
조선전기 사대부 문학 (임형택) |
여항문학과 서민문학 (임형택) |
이계 홍양호의 의원전에 나타난 인물 형상 (진재교) |
인성교육의 측면에서 본 「양사룡전」의 자료적 가치 (김형술) |
‘진아(盡我)’ 정신으로 본 「양사룡전(梁四龍傳)」의 입전의식 (김형술) |
이기발(李起浡)의 「송경운전 (宋慶雲傳)」과 17세기 전주 재현 (김하라) |
18세기 후반~19세기 전반 조선 지식인의 어문(語文) 인식 경향 (조성산) |
사대부의 한글사용과 그 의의 (김인회) |
소품문과 문체반정 |
소설
한문소설약사 | 한국한문소설약사 (차용주) |
조선의 여협(女俠), 검녀(劒女) (조혜란) |
「의승기(義勝記)」의 주제 의식 (이연순) |
금오신화의 문학사적 위상 | 세상을 향한 끊임없는 고뇌, 금오신화 (심경호) |
조선 후기 한문소설의 발전 (박희병) |
17세기 애정전기소설의 성격과 그 의의 (이상구) |
한문교과
문제중심학습법 연구 (백광호) |
문제중심학습법의 이론과 실천 (백광호ㆍ공민정) |
‘언어생활과 한자’ 평가도구 (이군선ㆍ오주학) |
‘언어생활과 한자’ 적용 (김소명ㆍ송은비) |
‘한문 고전 읽기’ 중 유가 경전⋅제자서 활용에 대한 이론과 적용 모색 (김수경) |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한문놀이터 > 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수경 - ‘한문 고전 읽기’ 중 유가 경전⋅제자서 활용에 대한 이론과 적용 모색 (0) | 2024.04.21 |
---|---|
심경호 - 세상을 향한 끊임없는 고뇌, 『금오신화』② (0) | 2022.10.24 |
심경호 - 세상을 향한 끊임없는 고뇌, 『금오신화』① (0) | 2022.10.24 |
심경호 - 금오신화의 문학사적 위상 (0) | 2022.10.23 |
이연순 - 의승기의 주제의식 고찰 (0) | 2022.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