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공모전 (5)
건빵이랑 놀자
목차 1. 준비: 창조적 착각이 만든 글쓰기의 역사 착각이 만든 변화, 환경이 만든 변화 무려 8년 만에 다시 독후감 대회에 도전장을 내밀다 첫 스타트가 그래도 좋다 2. 준비: 메뚜기 작전으로 초고를 완성하기 빈 강의실을 찾아라 순조롭던 세 번째 공모전 독후감 3. 결과: 도전과 힘찬 발걸음 ‘고요한 밤이 눈’과 새로운 인연을 맺다 끌린 이야기인 만큼 그만큼 복잡한 내용이었다 4. 결과: 서는 순간 넘어질까 조심하라 힘들지 않게 써진 원고 당선의 기쁨은커녕 처절한 실패를 맛보다 인용 지도 글쓰기
4. 결과: 서는 순간 넘어질까 조심하라 27일(화) 6시 30분에 처음으로 학교에 다시 올라간다. 전주에 자리 잡고 임고반에 들어왔지만 늦은 시간에 임고반에 올라간 적은 여태껏 없었다. 하지만 지금은 어떻게든 시작은 해야 했기 때문에 노트북을 챙겨들고 올라온 것이다. 그때의 바람은 ‘시작이라도 됐으면’하는 거였다. ▲ 3월 28일. 초고 완성 후 다듬는 모습. 힘들지 않게 써진 원고 다행히도 지금 진리관은 예전과는 달리 강의실이 열려 있는 곳이 많다. 그래서 맘만 먹으면 한 강의실에 틀어 박혀 맘껏 끼적이는 게 가능하다. 여태껏 이런 환경을 그토록 원했었다. 하지만 서울에 있을 땐 도서관에선 타자를 치며 고민할 수 있는 자리가 보이지 않아 어쩔 수 없이 두 번이나 하이몬드 커피숍에서 글을 쓰며 시간을 ..
3. 결과: 도전과 힘찬 발걸음 혼불문학상을 수상한 작품들을 대상으로 독후감 대회를 한다는 얘길 듣고 도전은 시작됐다. 2010년에 김대중 자서전 독후감 대회 이후로 글쓰기를 계속해왔기에 ‘김대중 자서전 대회에선 아쉽게 떨어졌지만 그때 이후로 내실이 더욱 갖춰졌으니 한 번 해볼 만하지 않을까’라는 자신감이 넘쳤다. 더욱이 3월 말까지란 시간은 더욱 맘에 들었다. 3월 7일에 이사하고 15일엔 임고반에 들어왔으니 적응할 시간도 넉넉했고, 적응한 이후에 제 컨디션으로 한 번 책과 찐하게 데이트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 오랜만에 설레게 한 공모전이었다. ‘고요한 밤이 눈’과 새로운 인연을 맺다 이렇게 참가를 결정했지만 이제 고민이 되는 건 어떤 책을 선정해야 하는가 하는 ..
2. 준비: 메뚜기 작전으로 초고를 완성하기 대망의 수요일이 되었다. 이날은 어제의 흐름을 이어받아 거의 완성해야겠다는 생각으로 올라갔다. 그리고 한 편의 글을 두 편으로 나눠야겠다는 생각도 했다. 지금까지 글을 써본 경험으로 얘기해보자면 글을 편으로 나누지 않고 통으로 기억하며 쓸 경우 전반부에 너무나 심혈을 기울인 나머지 후반부에선 급속도로 힘이 빠지고 질이 나빠진다는 걸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도 그럴 듯이 ‘수학의 정석’을 볼 때 그 방대한 분량을 모두 다 제대로 보겠다고 욕심을 내면 정작 집합이 넘어가기 전에 그 의욕은 산산이 무너져 내리게 되는 것과 같다. ▲ 내용이 꽤 복잡하기에 두 번째 읽을 땐 좀 더 정리를 하며 읽었다. 빈 강의실을 찾아라 이른 아침부터 강의실 시간표를 확인하니 다행히..
1. 준비: 창조적 착각이 만든 글쓰기의 역사 글쓰기는 여러 번 말했다시피 중학교 2학년 때부터 자발적으로 일기를 쓰기 시작하면서 도도하게 흐름을 유지해오고 있다. ▲ 15살때부터 31살 때까지 쓴 일기장들. 착각이 만든 변화, 환경이 만든 변화 그러다 심지어 고등학생 땐 ‘난 글 정말 잘 쓰는 사람이다’는 창조적인 착각까지 하기에 이른다. 그걸 착각이라고 분명히 말할 수 있는 이유는 뚜렷한 칭찬을 받았던 적도, 수상 경력(교지에 두 번 나의 글이 실린 정도)이 있던 적도 없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착각으로 꾸준히 일기장에 글을 쓸 수 있었고 그 명맥을 유지해갈 수 있었다. 그러다가 글쓰기가 하나의 거대한 변곡점을 맞이하게 된다. 그건 단재학교란 글쓰기를 중시하는 학교에 근무하게 되면서부터다. 다행히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