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성간 (5)
건빵이랑 놀자
고기잡이의 노래어부(漁父) 성간(成侃) 싹쓸이 낚시는 마시라晚何江頭把釣竿 群魚搖破鏡光寒筒中錦鯉分明見 只恐纖綸曳得難 때가 되니 다시 하게 되는 낚시下灘容易上灘難 一舸旋旋泝碧湍爲報長年休放手 及時搖櫓到江關 취기에 이룬 만선의 꿈冷風吹雨過瀟湘 醉夢悠然入渺茫夜半酒醒風又定 滿船依舊月如霜 어둑한 날씨에도 낚시하는 어부慘慘斜風細雨天 漁翁閑占一江煙跳魚撥刺應無數 莫釣槎頭縮頸鯾 달빛 가득 실은 어부의 배數疊靑山數谷烟 紅塵不到白鷗邊 漁翁不是無心者 管領西江月一船 달빛을 찾는 어부棄却蓑衣流竹竿 歸來月在蓼花灣漁家莫向池邊覓 不在煙波眇靄間 『眞逸遺稿』 卷之二 해석 싹쓸이 낚시는 마시라 晚何江頭把釣竿만하강두파조간느즈막 어찌 강 어귀에서 낚시대 잡는가?群魚搖破鏡光寒군어요파경광한뭇 물고기들이 거울빛의 차가운 강을 흔들어 깨는 구나.筒中錦鯉..
57. 호방한 시와 청우(靑牛), 민가의 생기발랄한 악부시 眞逸齋成侃, 嘗在集賢殿, 與同僚遊城南, 分韻賦詩. 侃詩先成, 詩曰: ‘鉛槧年來病不堪, 春風引興到城南. 陽坡草軟細如織, 正是靑春三月三.’ 諸公皆閣筆. 且如「途中」詩: ‘籬落依依半掩扃, 夕陽立馬問前程. 翛然細雨蒼烟外, 時有田翁叱犢行.’ 說景如畵. 許筠云: “東詩無效古者. 獨成和中侃擬顔陶鮑三詩, 深得其法, 諸小絶句得唐樂府體, 賴得此君, 殊免寥寂云. 「囉嗊」詩曰: ‘爲報郞君道, 今年歸不歸. 江頭春草綠, 是妾斷腸時.’ ‘郞如車下轂, 妾似路中塵. 相近仍相遠, 看看不得親.’ ‘綠竹條條勁, 浮萍箇箇輕. 願郞如綠竹, 不願似浮萍.’ 其此詩之謂乎! 해석 眞逸齋成侃, 嘗在集賢殿, 진일재 성간이 일찍이 집현전에 있을 적에 與同僚遊城南, 分韻賦詩. 동료와 함께 성남에 놀..
26. 시의 변안법에 대해 詩人之咏漁父, 例多取其閑味而已. 獨金老峯克己詩: ‘天翁尙不貰漁翁, 故遣江湖少順風. 人世險巇君莫笑, 自家還在急流中.’ 此則言其危險, 乃反案法也. 眞逸齋成侃詩: ‘數疊靑山數谷烟, 紅塵不到白鷗邊. 漁翁不是無心者, 管領西江月一船.’ 此亦與有心於名利者異矣. 屬意雖不同, 寫景遣辭, 各極其妙. 해석 詩人之咏漁父, 例多取其閑味而已. 시인들이 어부를 읊을 때 으레 어부의 한가로운 맛을 음미하기 일쑤였다. 獨金老峯克己詩: ‘天翁尙不貰漁翁, 故遣江湖少順風. 人世險巇君莫笑, 自家還在急流中.’ 유독 노봉 김극기의 「어옹(漁翁)」이라는 시는 그렇지 않았다. 天翁尙不貰漁翁 하느님 여전히 어부에게 너그럽지 않아 故遣江湖少順風 일부러 강호에 순풍을 적게 보내누나. 人世險巇君莫笑 어부여! 인간세 험난타고 비웃..

게으름의 힘 용부전(傭夫傳) 성간(成侃) 慵夫, 不知何許人也. 凡諸謀爲一於慵, 故世呼爲慵夫. 官至散官直長. 家有書五千卷, 而慵不披, 頭痬體疥, 而慵不醫. 在室慵坐, 在途慵行, 茫茫然若木偶人也. 闔室患之, 謁巫而禱之, 卒不能禁也. 勤須子, 學旣成, 慨然有濟人之志, 以其學來攻. 慵夫方以慵之病, 踑踞散髮, 瞠目而坐. 勤須子曰: “自古人也, 莫不以勤而生以慵而敗, 是故, 聖人皆以勤自守. 文王日昗不暇, 禹惜寸陰勤也. 不寧猶是, 風雨也, 霜雪也, 周乎四時, 載育萬物者, 天之勤也. 天可學也, 不可違也, 違天不祥.” 慵夫莞爾而笑曰: “我則敎子, 子何敎於我? 人生百年, 心形俱勞. 晝則營營作役, 朝夕乎奔走, 無不爲也, 夜而假寐, 啽囈而達旦, 復何用哉? 至人不如是也.” 操戈而逐之. 勤須子良久而思之曰: “余知術矣.” 於是, 盛..
성간成侃: 1427(세종 9)~1456(세조2)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화중(和仲), 호는 진일재(眞逸齋). 1. 성임(成任)의 아우이고 성현(成俔)의 형으로, 문벌을 자랑하는 집안에서 태어나 재능을 보였다. 2. 유방선의 문인으로 27세에 급제한 뒤 집현전에 들어가 문명을 떨치다 30세에 요절함. 3. 『진일재집(眞逸齋集)』 어부漁父여옥당학사 유성남與玉堂學士 遊城南도중途中라홍囉嗊채련곡採蓮曲염양사艶陽詞노인행老人行아부행餓婦行궁사사시宮詞四時수양산首陽山용부전傭夫傳 문학통사한시사 인용 안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