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안연 (7)
건빵이랑 놀자
논어(論語) 목차 기타 공자 생애유랑도공자 제자들孔子家語십팔사략 공자기록지봉유설 논어孔子世家仲尼弟子列傳論語集註序說논어한글역주 1. 학이(學而) 12345678910111213141516 2. 위정(爲政)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161718192021222324 3. 팔일(八佾)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 4. 이인(里仁)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 5. 공야장(公冶長)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 6. 옹야(雍也)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
1. 사적 욕망을 극복하여 예를 회복하라 凡二十四章. 顔淵問仁. 仁者, 本心之全德. 子曰: “克己復禮爲仁. 克, 勝也. 己, 謂身之私欲也. 復, 反也. 禮者, 天理之節文也. 爲仁者, 所以全其心之德也. 蓋心之全德, 莫非天理, 而亦不能不壞於人欲. 故爲仁者必有以勝私欲而復於禮, 則事皆天理, 而本心之德復全於我矣. 一日克己復禮, 天下歸仁焉. 爲仁由己, 而由人乎哉?” 歸, 猶與也. 又言一日克己復禮, 則天下之人皆與其仁, 極言其效之甚速而至大也. 又言爲仁由己而非他人所能預, 又見其機之在我而無難也. 日日克之, 不以爲難, 則私欲淨盡, 天理流行, 而仁不可勝用矣. 程子曰: “非禮處便是私意. 旣是私意, 如何得仁? 須是克盡己私, 皆歸於禮, 方始是仁.” 又曰: “克己復禮, 則事事皆仁, 故曰天下歸仁.” 謝氏曰: “克己, 須從性偏難克處, ..
공자의 제자들 안연(顔淵)자(字): 자연(子淵) / 이름: 회(回)성격: 내성적임, 치밀함, 여성적임. 출처: 爲政 9 / 雍也 2ㆍ5ㆍ9 / 述而 10 / 子罕 19 / 先進 3ㆍ18 / 顔淵 1 자로(子路)성: 중(仲) / 이름: 유(由)성격: 불같은 성격, 용맹이 뛰어남, 실천력이 뛰어남 출처: 爲政 17 / 公冶長 6ㆍ7ㆍ13ㆍ25 / 雍也 12ㆍ26 / 述而 10 / 先進 14ㆍ17ㆍ25 / 陽貨 23 / 子路 1 자공(子貢)성: 단목(端木) / 이름: 사(賜)성격: 말재주가 뛰어남, 외교적 화술에 능함, 거부로 정치적 실무에 능함(실무적)출처: 學而 15 / 八佾 17 / 先進 18 / 子張 20ㆍ21ㆍ22ㆍ23ㆍ24ㆍ25 염구(冉求)자(字): 자유(子有)ㆍ염유(冉有) 성격: 소극적ㆍ소심함, ..
이왕주를 만나다 목차 1. 교사 연수를 기대하며 KTX를 타며, 가짜 경험에 대해 깨닫다 약속시간까지 시간이 남다 2. 대담: 실패의 의미와 본질 들여다 보기의 의미 현재를 살라 실패의 경험이 사람을 한 단계 비약 시킨다 테크네 τ.εχνη (techne)는 본질을 들여다보는 것 3. 대담: 소통하기와 안회의 삶 소통을 한다는 것은 서로의 자리가 옮겨 간다는 것 Education(교육)이란 지니고 태어난 완벽한 것을 끄집어내는 것 선생이 하는 일은 고민하도록 만드는 것 안회는 자신의 기쁨을 위해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치열한 삶을 살았다 4. 교사 연수 후기 말을 해야 한다는 부담 달라질 2012년 교육과정, 그리고 나의 자리매김 인용 만남
4. 교사 연수 후기 ‘우리 만남은 우연이 아니야~♬ 그것은 우리의 바람이었오~♩’ 서로의 바람과 바람이 만나 얼굴 가득 미소가 지어졌다. 웃을 수 있기에 만남이 즐겁고, 그렇기에 더욱 이야기를 하고 싶어진다. 그래서 만남은 ‘맛남’일 수밖에 없다. 삶을 맛깔나게 하는 만남은 우릴 살찌우기 때문이다. 말을 해야 한다는 부담 하지만 이 대화에서 나는 거의 말을 하지 않고 듣고 있었다. 교수님의 이야기에 공감했으며 교수님에 대해 알지 못하는 것이 많기 때문에 오히려 궁금한 것도 딱히 없어서였다. 과연 난 말이 없는 사람인가? 이 순간 떠오른 장면이 하나 있다. 언젠가 완산도서관 뒷길을 아랑 누나, 고은누나, 진규, 나 이렇게 넷이서 걸어가고 있었는데 그 때 난 한 마디 말도 하지 못했다. 그런 내 모습에 대..
3. 대담: 소통하기와 안회의 삶 소통이란 서로의 자리가 옮겨 간다는 것 techne(본질을 들여다본다)는 당연히 소통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사람과의 만남이야말로 ‘테크네의 장’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나의 관념으로 상대를 틀지어서는 소통을 할 수가 없다. 애초부터 나의 맘을 비우고 서로가 다른 생각이나 위치에 있음을 느끼며 이야기를 통해 조금씩 접점을 찾아갈 수밖에 없다. 그래서 이왕주 선생님은 “상대로부터 이야기를 들으면 나의 위치가 조금 옮겨집니다. 그건 어떤 식으로든 나의 변화를 수반하는 것이죠. 그 상태에서 나 또한 상대방에게 이야기를 던집니다. 그러면 상대방 또한 어떤 감각적인 위치가 옮겨질 수밖에 없는 것이죠. 그렇게 이야기를 주고받으며 서로의 위치가 옮겨지고 옮겨지다 서로 가까운 거리..
2. 대담: 실패의 의미와 본질 들여다 보기의 의미 2012년 1월 10~11일까지 부산에서 판타스틱한 교사연수가 있었다. 밤늦도록 진행된 이왕주 선생님과의 대화는 이번 연수의 하이라이트라고 할 수 있다. 그럼 지금부터 그 때 어떤 이야기들이 오고 갔는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부산대 윤리교육과 이왕주 선생님의 연구실로 찾아간 시간은 5시다. 준규쌤, 승태쌤, 송쌤, 초이쌤, 제비꽃, 박동섭 교수님 그리고 건빵, 이렇게 7명이 찾아갔다. 어색한 인사를 주고받고 이야기가 시작되었다. 그런데 채 몇 마디 오고가지 않았는데, 어느덧 우리 사이엔 친근감이 싹트기 시작했다. 그래서 부산대 부근의 횟집에서 이야기 한마당이 펼쳐졌고, 그것으로도 어찌나 아쉽던지 해운대(대학교 이름이 아닙니다^^;;) 호프집으로 자리를 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