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이항복 (5)
건빵이랑 놀자
수초, 인수와 함께 강가 집에 있었는데 여러 날 동안 배를 물색했지만 구하질 못하자 수초는 매우 울적해했었다. 탄식하며 말했다. “어떻게 하면 몸이 큰 배가 되어 바람을 타고서 풍랑을 깨뜨릴 수 있을까?” 그래서 내가 장난삼아 이 시를 지었다. 여수초인수동재강사 수일색주부득 수초심울울 탄왈 안득신위거함 승풍파랑 여희이작차(與守初ㆍ仁叟同在江舍, 數日索舟不得, 守初甚欝欝. 歎曰: “安得身爲巨艦, 乘風破浪.” 余戲而作此) 이항복(李恒福) 渡口招招不見舟 一旬長嘯倚江樓 身如可化黃龍舳 願向滄溟日夜浮 常願身爲萬斛舟 中間寬處起柁樓 時來濟盡東南客 日暮無言穩泛浮 『白沙先生集』 卷之一 해석 渡口招招不見舟 도구초초불견주 나루터에서 불러도 불러도 배는 보이질 않아 一旬長嘯倚江樓 일순장소의강루 열흘 동안 길게 한숨 쉬며 강가 누..
홍만종의 조선인재발굴단, 이항복편 『소화시평』 권하 13번은 이항복이 어렸을 때부터 시를 지을 수 있는 재능이 뛰어났기 때문에 그에 대한 평판이 자자했다는 것과 그럼에도 그 또한 노는 인간(호모 루덴스)이었다는 것을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다. 옛날부터 최근까지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프로그램 중에 ‘영재발굴단’이란 이름의 프로그램이 있는데, 이 프로는 말 그대로 ‘영재를 발굴한다’는 취지로 프로그램이 제작되어 많은 영재들이 배출되었다. 그런데 이 프로를 볼 때 단순히 보면 안 되는 이유가 ‘영재란 무엇인가?’라는 기준 자체에 있다. 즉, 영재라는 기준 자체는 방송이 정한 ‘기업 비밀’에 해당되며, 그건 이 사회가 생각하는 ‘영재란 이런 거야’라는 기준에 부합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그 말을 바꿔 말하면 영..
13. 이항복의 재기 넘치는 시 李白沙恒福八歲時, 參贊公命以劍琴作騈句. 白沙應聲曰: “劍有丈夫氣, 琴藏千古音.” 聞者知其將大成. 少時在江上, 數日索舟不得, 甚鬱鬱, 戱作一絶曰: “常願身爲萬斛舟, 中間寬處起柁樓. 時來濟盡東南客, 日暮無心穩泛遊.” 可見濟川氣像. 昔鄭湖陰論文翼公文曰: “世不以文章稱叔父者, 掩以功德也.”云. 吾於漢陰ㆍ白沙亦云. 해석 李白沙恒福八歲時, 백사 이항복은 8살 때에 參贊公命以劍琴作騈句. 참찬공이 검(劍)과 금(琴)으로 대구를 지으라고 시켰다. 白沙應聲曰: “劍有丈夫氣, 琴藏千古音.” 백사가 즉시 지었으니, 다음과 같다. 劍有丈夫氣 琴藏千古音 검에는 장부의 기운이 있고 거문고엔 천고의 음이 담겨 있네. 聞者知其將大成. 듣는 사람이 그가 장차 크게 성공할 거라는 걸 알았다. 少時在江上, ..
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총 5점)二十. 先人들의 氣象학습목표 ㉠ 선인들의 사상을 이해한다.㉡ ‘終’의 다양한 의미를 한다. 林白湖悌 氣豪不拘檢 病將死 諸子悲號 林曰 四海諸國 未有不稱帝者 獨我邦 終古不能 生於若此陋邦 其死何足惜 命勿哭 又嘗戲言 若使吾値五代六朝 亦當爲輪遞天子. 『星湖僿說』 4-1. 이 글은 林悌와 관련된 逸話이다. 교사 丙이 林悌의 발언을 통해서 학생들에게 고취시킬 수 있는 가치의식은 무엇인지 간략히 서술하시오. (2점) 4-2. 교사 丙은 ㉡의 학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終’의 기본 뜻과 문장 내에서의 뜻을 비교하고, 본문의 해당 구절을 해석해 주었다. 교사 丙이 지도한 내용을 쓰시오. (문장 해석이 필요하면, 반드시 우리말 어법에 맞게 종결형 어미의 문장으로 완성할 것..
이항복李恒福: 1556(명종 11)~1618(광해군 10)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자상(子常), 호는 필운(弼雲)·백사(白沙)·동강(東岡). 1. 오성부원군(鰲城府院君)에 봉군되어 이항복이나 백사보다는 오성대감으로 널리 알려졌다. 특히 죽마고우인 한음 이덕형(李德馨)과의 기지와 작희(作戱)에 얽힌 많은 이야기로 ‘오성과 한음’으로 더욱 잘 알려진 인물임. 2. 9세 때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 슬하에서 자람. 3. 1571년(선조 4) 어머니를 여의고, 삼년상을 마친 뒤 성균관에 들어가 학문에 힘써 1575년 진사 초시에 오르고 1580년(선조 13) 알성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승문원부정자가 됨. 4. 1617년 인목대비김씨(仁穆大妃金氏)가 서궁(西宮, 경운궁으로 곧 덕수궁)에 유폐되고, 이어 폐위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