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조정래 (7)
건빵이랑 놀자

아리랑을 쓰게 된 작가의 말 (2000.4.19. 김제청소년 수련관 강연회 발췌) 1. 아리랑이라 제목을 지은 이유 『아리랑』을 짓게 된 계기 우리의 정감과 함께 한 이리랑 2. 1904년부터 우리의 땅을 마구 사들인 일본인들 우리의 쌀이 군량미로 1904년에 이미 실제적인 한일합방이 되었다 3. 욕의 본향이 전라도가 된 이유 전라도와 욕 판소리는 욕의 승화 우리의 욕이 일본에선 현실? 4. 일본인 거주민들보다 2배나 많았던 친일파 토지조사 사업은 빌미 일본 정착민보다 많은 친일파와 식민통치 연장 5. 민족 공통의 역사를 반쪽만 가르치는 현실에 경종을 울리다 전체를 보게 하려 의도된 소설 역사교사ㆍ교수 비판과 역사복원의 소명 6. 해방(解放)이 아닌 사변(事變) 소설 끝부분에 다룬 이야기의 전말 전군도로..

1. 아리랑이라 제목을 지은 이유 『아리랑』을 쓰기 위해 김제를 처음 온 게 지금부터 11년쯤 됩니다. 그때 『태백산맥』을 써놓고 단 하루도 쉴 새 없이 바로 『아리랑』의 취재를 시작했었습니다. 왜냐하면, 제가 『아리랑』을 쓸려고 계획했던 것이 1980년 그러니까 『태백산맥』을 쓸 생각을 하면서 함께 작정을 했고 그때 이미 아리랑이라는 제목을 정해놨었습니다. 『아리랑』을 짓게 된 계기 왜 그랬냐하면, ‘작가로서 이 땅에 태어났는데 나는 어떠한 작품을 가지고 내 작가 생애를 살아갈 것이며, 이 시대에 태어난 작가로써 사명을 다할 수 있을 것인가?라는 질문에서 이 땅이라고 하는 의미는 우리 민족처럼 근대사 100년을 사는데 파란만장하고 핍박과 설움과 억압 속에서 산 민족이 없다. 그렇다면은 이런 땅에서 소설..

김제평야와 KTX에 알알이 박힌 역사 비는 조금씩 오는 둥 마는 둥 했는데, 바람도 별로 불지 않는다. 우의는 통풍이 잘 되지 않을뿐더러, 보온 효과까지 있으니 한결 더 덥게 눅눅하며 찝찝하게 느껴지더라. 월요일에 빗길 여행 때 느껴지는 상쾌함과는 완전히 거리가 먼 그런 기분이었다. 김제평야와 『아리랑』 아무래도 비가 내리기도 전부터 너무 빨리 대처를 했더니, 그게 나에겐 비수가 되었다고밖에 볼 수 없다. 그렇다고 우의를 벗기에도 하늘은 잔뜩 찌푸려 있었기에 망설여졌다. 그래도 머지않아 비가 오겠거니 하는 마음으로 덥더라도 그냥 입고 걸어가기로 했다. 정읍에서 김제로 가는 길은 지방도 701을 타고 가다가 국도 30번으로, 다시 29번을 타고 들어가는 루트를 택했다. 오늘 루트엔 김제평야를 가로질러 가는..
기존 욕망에 따를 때 세상은 썩는다 『허수아비 춤』을 읽으며 기상천외한 현실을 느낄 수 있었다. 대기업, 그것도 총수 중심의 썩을 대로 썩은 이야기였기 때문이다. 그건 영화 같이 허무한 이야기이면서도 삶을 고스란히 드러내는 진실이기도 했다. 『강남몽』을 읽으며 구조의 한계를 직감하다 『강남몽』은 그와 같은 의미에서 더욱 깊이 와 닿았던 소설이다. 오히려 정직하려고 하면, 원칙을 지키려고 하면 더 낙오하고 패배자가 될 수밖에 없는 구조를 거침없이 드러낸다. 그 이야기를 읽고 있노라니 우울해졌다. 바르게 살면 낙오자가 되고 사회에서 매장당하게 된다. 아무리 그렇다 할지라도 기회에 편승하고 온갖 끈들을 끌어대기 위해 분주하며 남을 등쳐먹을지라도 성공할 수 있다면 그렇게 살아야 하는 걸까? 그게 정말 행복인 걸..
목차 1. 갑작스레 벌교에 가다 도보여행 그리고 1년 후 벌교에 가기까지 전라선을 따라 가며 일본이 남긴 아픔을 곱씹다 순천, 편안한 분위기가 나던 도시 2. 벌교를 거닐면, 소설은 현실이 된다 태백산맥의 인물들이 활약한 벌교역과 시장 벌교에서 태백산맥의 발자취를 따라 가다 실재하는 염상구의 무대, 청년단 사무실을 발견하다 벌교를 볼 수 있던, 김사용 영감의 고택 일제의 그늘이 담긴, 소화다리 소화네 집과 정하섭의 집을 보다 3. 문학관을 둘러보면, 태백산맥은 현실이 된다 태백산맥의 이적성 시비와 고뇌의 시간 태백산맥 문학관의 숨겨진 건축미 문학관에서 본 10권의 소설을 쓸 수 있는 비결 벌교엔 『태백산맥』이 살아 숨쉰다 인용 여행기
3. 문학관을 둘러보면, 태백산맥은 현실이 된다 문학관 전면 벽에 쓰인 ‘문학은 인간의 인간다운 삶을 위하여 인간에게 기여해야 한다.’라는 조정래 씨의 글귀가 눈길을 끈다. 그에게 있어 문학이 어떤 것인지 이 한 마디 말로 잘 알 수 있다. 누군가에게 문학은 여가이거나 돈벌이 수단일 테다. 하지만 조정래 씨는 거기서 더 한 걸음 나아가 어떤 사명감까지 지니고 있었던 것이다. 바로 이런 정신이 있었기 때문에 정치 세력의 회유와 압박에도 굴하지 않고 마무리 지을 수 있었던 거겠지. 태백산맥엔 이적성 시비가 잇달았다. 그래서 『아리랑』ㆍ『한강』을 쓸 때 집필하는 시간보다 검찰에서 증언하는 시간이 더 많을 정도였다고 한다. ▲ 문학관에 쓰여 있는 글귀가 눈길을 끈다. 태백산맥의 이적성 시비와 고뇌의 시간 그런 ..
2. 벌교를 거닐면, 소설은 현실이 된다 순천에서 벌교까지는 기차로 22분 걸린다. 바로 옆 동네라고 해도 어색하지 않다. 지도상으로 봤을 땐 큰 도시인 줄만 알았다. 그런데 막상 진트재를 지나 중도방죽의 철다리를 지나면서 벌교를 둘러보니 아주 작고 아담한 곳이더라. 왜 큰 도시로 생각하고 있었던 걸까? 그건 아마도 소설에선 보성에 소속된 읍이면서도 오히려 보성보다 더 번화한 곳이라 이야기했기 때문이지 않을까 싶다. ▲ 벌교역은 아담해서 좋다. 태백산맥의 인물들이 활약한 벌교역과 시장 이제 본격적으로 벌교를 돌아다녀 본다. 벌교는 ‘꼬막’으로 유명하고 전라도에서 욕이 쎈 곳으로 유명하다. 하지만 나에겐 그저 『태백산맥』의 무대이면서, 이념전쟁이 치열하게 펼쳐졌던 장소로 남아 있다. 벌교역은 예전의 그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