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어휘사전 - 397. 훌&훤 본문

어휘놀이터/어휘사전

어휘사전 - 397. 훌&훤

건방진방랑자 2020. 6. 5. 13:17
728x90
반응형

397. &

 

 

훌훌(欻欻)

움직이는 모양

 

()

망우초(忘憂草). 원추리는 본디 모친이 거처하는 북당(北堂) 앞 뜰에 심는 것이므로, 모친 건강을 상징한 말이다.

 

훤당(萱堂)

살아 계신 남의 어머니를 말한다. 옛날에 어머니는 북당(北堂)에 거처하는데 그 뜰에 원추리()를 심었으므로 이른 말이다. 시경(詩經)위풍(衛風) 백혜(伯兮)어찌 원추리를 얻어서 북당()에 심어볼까.(焉得諼草 言樹之背)”라 하였는데, ()은 바로 훤() 자와 같다. 그 전()에 배()를 북당(北堂)이라 일컬었으므로 세속에서 모친을 북당이라고도 칭한다.

 

훤배(萱背)

시경(詩經)위풍(衛風) 백혜(伯兮)망우초(忘憂草) 좀 얻어서 북쪽 뒤꼍에 심었으면. 떠난 사람 생각에 내 마음만 병드누나[焉得萱草 言樹之背 願言思伯 使我心痗].”라는 구절에서 나온 것으로, 북당(北堂)이 주부의 거실이라는 점과 연결되어 모친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악부(樂府)의 청상곡(淸商曲) 가운데 오야제(烏夜啼)’라는 금곡(琴曲)이 있는데, 하안(何晏)이 옥()에 갇혔을 때 그의 딸이 밤중에 까마귀 소리를 듣고서 지었다고 한다.

 

훤불조(萱不彫)

어머니의 계신 곳을 훤당(萱堂)이라 하는데 시경(詩經)위풍(衛風) 백혜(伯兮)에서 나온 말이다.

 

훤초(萱草)

사람의 근심 걱정을 잊게 해 준다는 풀 이름으로, 망우초(忘憂草)라고도 한다.

 

훤초(萱草)

원추리. 옛날에 어머니는 북당(北堂)에 거처하는데 그 뜰에는 원추리를 심었으므로, 전하여 남의 모친을 훤당(萱堂)이라고 부른 데서 온 말이다.

 

훤초원(萱草怨)

훤초(萱草)는 사람의 시름을 잊게 한다는 애완초(愛玩草)인데, 사람이 이미 세상의 번뇌를 해탈한 때문에 훤초도 필요치 않다는 뜻이다.

 

훤총대영춘(萱叢對靈椿)

어머니를 훤당(萱堂)이라 하고 아버지를 춘부(椿府)라 한다.

 

훤훤(嚾嚾)

떠들썩한 모양

 

 

인용

목차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어휘놀이터 > 어휘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휘사전 - 399. 휘  (0) 2020.06.05
어휘사전 - 398. 훼  (0) 2020.06.05
어휘사전 - 396. 훈  (0) 2020.06.05
어휘사전 - 395. 후  (0) 2020.06.05
어휘사전 - 394. 효  (0) 2020.06.05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