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훈(伊訓)
訓은 導也라 太甲嗣位에 伊尹이 作書訓導之어늘 史錄爲篇하니 今文無, 古文有하니라
인용
제1장(第一章)
惟元祀十有二月乙丑에 伊尹이 祠于先王할새 奉嗣王하여 祗見厥祖어늘 侯甸群后咸在하며 百官이 總己하여 以聽冢宰어늘 伊尹이 乃明言烈祖之成德하여 以訓于王하니라
夏曰歲요 商曰祀요 周曰年이니 一也라 元祀者는 太甲卽位之元年이라 十二月者는 商以建丑爲正이라 故로 以十二月爲正也라 乙丑은 日也니 不繫以朔者는 非朔日也라 三代雖正朔不同이나 然皆以寅月起數하니 蓋朝覲會同頒曆授時는 則以正朔行事하고 至於紀月之數하여는 則皆以寅爲首也라 伊는 姓이요 尹은 字也니 伊尹의 名은 摯라 祠者는 告祭於廟也라 先王은 湯也라 冢은 長也라 禮에 有冢子冢婦之名하고 周人亦謂之冢宰하니 古者에 王宅憂어든 祠祭則冢宰攝而告廟하고 又攝而臨群臣이라 太甲이 服仲壬之喪일새 伊尹이 祠于先王에 奉太甲하여 以卽位改元之事로 祗見厥祖하니 則攝而告廟也요 侯服甸服之群后咸在하고 百官이 總己之職하여 以聽冢宰하니 則攝而臨群臣也라 烈은 功也니 商頌曰 衎我烈祖라하니라 太甲이 卽位改元하니 伊尹이 於祠告先王之際에 明言湯之成德하여 以訓太甲하니 此는 史官敍事之始辭也라 或曰 孔氏言湯崩踰月에 太甲卽位라하니 則十二月者는 湯崩之年建子之月也니 豈改正朔而不改月數乎아 曰 此는 孔氏惑於序書之文也라 太甲이 繼仲壬之後하여 服仲壬之喪이어늘 而孔氏曰 湯崩에 奠殯而告라하니 固已誤矣요 至於改正朔而不改月數하여는 則於經史에 尤可攷라 周建子矣로되 而詩言四月維夏, 六月徂暑라하니 則寅月起數를 周未嘗改也요 秦建亥矣로되 而史記에 始皇三十一年十二月에 更名臘曰嘉平이라하니 夫臘은 必建丑月也라 秦以亥正이면 則臘爲三月이어늘 云十二月者는 則寅月起數를 秦未嘗改也라 至三十七年하여 書十月癸丑에 始皇出遊하고 十一月에 行至雲夢이라하고 繼書七月丙寅에 始皇崩하여 九月에 葬酈山이라하니 先書十月十一月하고 而繼書七月九月者는 知其以十月爲正朔이나 而寅月起數를 未嘗改也라 且秦史制書에 謂改年始하여 朝賀를 皆自十月朔이라하니 夫秦은 繼周者也니 若改月數면 則周之十月은 爲建酉月矣니 安在其爲建亥乎아 漢初에 史氏所書는 舊例也라 漢仍秦正이로되 亦書曰 元年冬十月이라하니 則正朔改而月數不改 亦已明矣라 且經曰 元祀十有二月乙丑이라하니 則以十二月로 爲正朔而改元이 何疑乎아 惟其以正朔行事也라 故로 後乎此者復政厥辟도 亦以十二月朔에 奉嗣王하여 歸于亳하니 蓋祠告復政이 皆重事也라 故로 皆以正朔行之라 孔氏不得其說하고 而意湯崩踰月에 太甲卽位하여 奠殯而告라하니 是는 以崩年改元矣라 蘇氏曰 崩年改元은 亂世事也니 不容在伊尹而有之니 不可以不辨이라하니라 又按 孔氏以爲湯崩이라하여늘 吳氏曰 殯有朝夕之奠하니 何爲而致祠며 主喪者는 不離於殯側이니 何待於祗見이리오하니 蓋太甲之爲嗣王은 嗣仲壬而王也라 太甲은 太丁之子니 仲壬은 其叔父也라 嗣叔父而王이로되 而爲之服三年之喪은 爲之後者爲之子也일새라 太甲이 旣卽位於仲壬之柩前하고 方居憂於仲壬之殯側일새 伊尹이 乃至商之祖廟하여 徧祀商之先王하고 而以立太甲告之라 不言太甲祀而言伊尹은 喪三年엔 不祭也라 奉太甲하여 徧見商之先王이로되 而獨言祗見厥祖者는 雖徧見先王이나 而尤致意於湯也니 亦猶周公金縢之冊에 雖徧告三王이나 而獨眷眷於文王也라 湯旣已祔于廟하니 則是此書 初不廢外丙仲壬之事나 但此書本爲伊尹稱湯以訓太甲이라 故로 不及外丙仲壬之事爾라 餘見書序하니라
인용
제2장(第二章)
曰 嗚呼라 古有夏先后 方懋厥德하실새 罔有天災하며 山川鬼神이 亦莫不寧하며 曁鳥獸魚鼈이 咸若하더니 于其子孫이 弗率한대 皇天이 降災하사 假手于我有命하시니 造攻은 自鳴條어늘 朕哉自亳하시니이다
詩曰 殷監不遠하여 在夏后之世라하니 商之所宜監者 莫近於夏라 故로 首以夏事告之也라 率은 循也요 假는 借也라 有命은 有天命者니 謂湯也라 桀이 不率循先王之道라 故로 天降災하사 借手于我成湯以誅之라 夏之先后 方其懋德엔 則天之眷命이 如此러니 及其子孫弗率하여는 而覆亡之禍 又如此하니 太甲이 不知率循成湯之德이면 則夏桀覆亡之禍 亦可監矣라 哉는 始也라 鳴條는 夏所宅也요 亳은 湯所宅也니 言造可攻之釁者는 由桀積惡於鳴條요 而湯德之修는 則始於亳都也라
인용
제3장(第三章)
惟我商王이 布昭聖武하사 代虐以寬하신대 兆民이 允懷하니이다
布昭는 敷著也라 聖武는 猶易所謂神武而不殺者라 湯之德威 敷著于天下하여 代桀之虐以吾之寬이라 故로 天下之民이 信而懷之也라
인용
제4장(第四章)
今王이 嗣厥德인댄 罔不在初하니 立愛惟親하시며 立敬惟長하사 始于家邦하사 終于四海하소서
初는 卽位之初니 言始不可以不謹也라 謹始之道는 孝悌而已니 孝悌者는 人心之所同이니 非必人人敎詔之라 立은 植(치)也니 立愛敬於此에 而形愛敬於彼하니 親吾親하여 以及人之親하고 長吾長하여 以及人之長하여 始于家하여 達于國하고 終而措之天下矣라 孔子曰 立愛를 自親始는 敎民睦也요 立敬을 自長始는 敎民順也라하시니라
인용
제5장(第五章)
嗚呼라 先王이 肇修人紀하사 從諫弗咈하시며 先民을 時若하시며 居上克明하시며 爲下克忠하시며 與人不求備하시며 檢身若不及하사 以至于有萬邦하시니 玆惟艱哉니이다
人紀는 三綱五常이니 孝敬之實也라 上文에 欲太甲立其愛敬이라 故로 此言成湯之所修人紀者하니 如下文所云也라 綱常之理 未嘗泯沒이로되 桀廢棄之러니 而湯始修復之也라 咈은 逆也라 先民은 猶前輩舊德也라 從諫不逆, 先民是順은 非誠於樂善者면 不能也라 居上克明은 言能盡臨下之道요 爲下克忠은 言能盡事上之心이라
○ 呂氏曰 湯之克忠이 最爲難看이라 湯放桀하여 以臣易君하니 豈可爲忠이리오 不知湯之心이 最忠者也라 天命未去하고 人心未離에 事桀之心이 曷嘗斯須替哉리오 與人之善하여 不求其備하고 檢身之誠이 有若不及하니 其處上下人己之間이 又如此라 是以로 德日以盛하고 業日以廣하여 天命歸之하고 人心戴之하여 由七十里而至于有萬邦也니 積累之勤이 玆亦難矣라 伊尹이 前旣言夏失天下之易하고 此又言湯得天下之難하니 太甲이 可不思所以繼之哉아
인용
제6장(第六章)
敷求哲人하사 俾輔于爾後嗣하시니이다
敷는 廣也니 廣求賢哲하여 使輔爾後嗣也라
인용
제7장(第七章)
制官刑하사 儆于有位하사 曰 敢有恒舞于宮하며 酣歌于室하면 時謂巫風이며 敢有殉于貨色하며 恒于遊畋하면 時謂淫風이며 敢有侮聖言하며 逆忠直하며 遠耆德하며 比頑童하면 時謂亂風이니 惟玆三風十愆에 卿士有一于身하면 家必喪하고 邦君이 有一于身하면 國必亡하나니 臣下不匡하면 其刑이 墨이라하사 具訓于蒙士하시니이다
官刑은 官府之刑也라 巫風者는 常歌常舞하여 若巫覡然也라 淫은 過也니 過而無度也라 比는 昵也라 倒置悖理曰亂이니 好人之所惡하고 惡人之所好也라 風은 風化也라 三風은 愆之綱也요 十愆은 風之目也라 卿士諸侯十有其一이면 已喪其家하고 亡其國矣라 墨은 墨刑也니 臣下而不能匡正其君이면 則以墨刑加之라 具는 詳悉也라 童蒙始學之士를 則詳悉以是訓之니 欲其入官而知所以正諫也라 異時에 太甲이 欲敗度하고 縱敗禮하니 伊尹先見其微라 故로 拳拳及此하니라 劉侍講曰 墨은 卽叔向所謂夏書昏墨賊殺이 皐陶之刑이니 貪以敗官爲墨이니라
인용
제8장(第八章)
嗚呼라 嗣王은 祗厥身하사 念哉하소서 聖謨洋洋하여 嘉言이 孔彰하시니 惟上帝는 不常하사 作善이어든 降之百祥하시고 作不善이어든 降之百殃하시나니 爾惟德이어든 罔小어다 萬邦의 惟慶이니이다 爾惟不德이어든 罔大어다 墜厥宗하리이다
歎息言 太甲은 當以三風十愆之訓으로 敬之於身하여 念而勿忘也라 謨는 謂其謀요 言은 謂其訓이라 洋은 大요 孔은 甚也니 言其謀訓大明하여 不可忽也라 不常者는 去就無定也니 爲善則降之百祥하고 爲惡則降之百殃하여 各以類應也라 勿以小善而不爲니 萬邦之慶이 積於小요 勿以小惡而爲之니 厥宗之墜 不在大하니 蓋善必積而後成이요 惡雖小而可懼라 此는 總結上文하고 而又以天命人事禍福으로 申戒之也라
인용
'고전 > 서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경, 상서, 중훼지고 - 전문 (0) | 2020.06.30 |
---|---|
서경, 상서, 탕고 - 전문 (0) | 2020.06.30 |
서경, 상서, 태갑 상 - 전문 (0) | 2020.06.30 |
서경, 상서, 태갑 중 - 전문 (0) | 2020.06.30 |
서경, 상서, 태갑 하 - 전문 (0) | 2020.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