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철학 삶을 만나다, 제3부 삶을 위한 철학적 성찰 - 2장 즐거운 주체로 살아가기, 노예의 길에서 주인의 길로② 본문

카테고리 없음

철학 삶을 만나다, 제3부 삶을 위한 철학적 성찰 - 2장 즐거운 주체로 살아가기, 노예의 길에서 주인의 길로②

건방진방랑자 2021. 6. 29. 19:36
728x90
반응형

노예의 길에서 주인의 길로

 

 

생식에 관한 이와 같은 유학자들의 식물학적 상상력은, 후손들의 성씨가 당연히 남성의 것을 따라야만 한다는 쪽으로 진행 되었습니다. 그러나 유학자들의 이런 식물학적 상상력은 과연 정당한 것일까요? 여러분은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합니까? 우리는 초등학교 시절부터 생물이 어떻게 새로운 개체를 낳는 지 배우고 있습니다. 사람의 경우를 생각해봅시다. 우리 인간의 염색체 수는 46개입니다. 남성의 정자와 여성의 난자는 각각 이 숫자의 절반인 23개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습니다. 결국 정자와 난자가 결합하면서 하나의 완전한 수정체가 만들어집니다. 이렇게 새로 태어난 수정체는 23+23, 46개의 염색체를 갖추게 됩니다. 그리고 이 수정체가 자궁 속에서 자라서 마침내 새로운 개체로 이 세계에 탄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더구나 우리는 생식 과정에서 중요한 사실을 하나 더 알게 됩니다. 수정이 이루어질 때 수억 마리의 정자들은 하나의 난자에게 간택되기 위해 무한 경쟁에 돌입하고, 그중 한 마리만이 난자에 의해 선택된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결국 생식 과정에서 남성과 여성이 동등할 뿐만 아니라, 어느 측면에서 보면 여성이 생물학적으로 더 우월한 역할을 맡고 있다는 점을 말해줍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기초적인 과학 상식에 비추어 보아도 유학자들이 지지하는 가부장제의 식물학적 상상력은 어떤 근거도 없는 허구적 주장에 지나지 않습니다. 가부장제를 생물학적 측면에서까지 주장하려는 사람은 자신의 주장을 정당화하기 위해 이런 기초적인 과학 상식부터 부정해야 하겠지요. 그러나 누가 이것을 부정할 수 있겠습니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허구적 관념을 신봉했던 전통 유학 사회에서 가장 암울했던 사람들은 역시 여성 자신이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조선 시대 여성에게는 자신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여자라는 이유만으로 반드시 따라야 했던 철칙이 있었습니다. 그것이 바로 2장에서도 살펴본 삼종지도입니다. 이 삼종지도의 논리는 오늘날 호주제(戶主制)라는 제도 속에 살아 있습니다. 여성은 자신의 손자라고 하더라도, 그리고 그 손자가 아직 정도 떼지 못한 갓난아이라 하더라도 그 손자가 바로 남성이라는 단 하나의 이유만으로 그를 집의 주인[戶主]’으로 관념상 떠받들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이것은 이 손자의 형 그리고 아버지, 나아가 심지어 할아버지까지도 모두 생존하지 않는 경우일 것입니다. 삼종지도란 말 그대로 조선 시대 여성이면 누구나 예외 없이 반드시 걸어가야만 하는 길[]이었습니다. 그리고 죽을 때까지 이 길을 따라간 여성에게 조선 시대는 열녀(烈女)’라는 호칭과 더불어 열녀문을 하사했고, 동시에 그 가문이나 마을에 세금 감면 등의 경제적 혜택까지 부여했다고 합니다. 반면 이 길을 벗어나면 어느 여성도 정숙한 여성에게 주어지는 그럴듯한 대우를 받을 수 없었습니다.

 

우리가 간과해서는 안 되는 것은, 삼종지도가 여성의 뜻과는 무관하게 모든 여성 일반에게 가해진 강압적인 윤리 원칙이라는 점입니다. 다시 말해 삼종지도는 여성의 뜻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유학적 가부장제에 입각하여 남성에 의해 철저히 강제되었다는 것이지요. 어렸을 때부터 골수에 사무치도록 이 관념에 대해 교육받으며 자란 여성에게 삼종지도는 마치 제2의 천성, 프로이트의 표현을 빌리자면 초자아(superego)와 같은 것이 될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래서 가부장제가 부당하다며 거부하려 했던 그 당시 여성에게는 마치 자아가 파괴되는 듯한 위험이 느껴질 수밖에 없었을 겁니다. 자아의 비극적인 분열 현상이지요. 조선 시대를 포함한 전근대사회의 특징은 기본적으로 개인의 인격을 부차적인 것으로 간주하는 데 있습니다. 전근대사회에서는 개인 본인이 선택할 수 없었던 조건에 의해 그의 삶이 결정되었습니다. 이 때문에 전근대사회에서 정말 중요했던 것은 운 좋게 양반의 집안에서 태어났는지, 아니면 불행히도 백정의 집안에 태어났는지, 혹은 운 좋게 남성으로 태어났는지, 아니면 불행히도 여성으로 태어났는지의 여부였던 것입니다. 오늘날 전근대사회의 좋은 점을 칭송하는 사람이라도 그 자신이 백정의 집안에서, 그것도 비천한 여성으로 태어났다면 살게 되었을 고통스런 삶에 대해서는 쉽게 입을 열지 못합니다. 전근대사회는 얼핏 보면 마치 동방예의지국이었던 것처럼 보일지 몰라도, 진정으로 윤리적인 사회였다고는 말할 수는 없는 조건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한 개인의 자유로운 인격과 판단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그 사회는 오히려 윤리와 담을 쌓고 있는 사회일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잘 길들여진 애완견이 사람이 부과한 규칙을 제대로 준수한다고 해서, 우리가 그 개를 윤리적인 개라고 부를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의 문제입니다. 어떤 인격적 반성이나 자율적 선택을 수반하지 않고 이루어지는 인간의 예절이나 윤리는, 결국 애완견의 타율적 윤리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지요.

 

이 같은 맥락을 염두에 둔다면, 200532일 우리나라에서 호주제가 법률적으로 철폐된 것은 기념비적 사건이라고 할 수 있을 겁니다. 이제 법적으로나마 여성이 타율적이지 않을 수 있는 기초적 토대가 마련되었기 때문이고, 또한 조선 시대 500년을 내려오던 유학적 가부장제가 그 뿌리에서부터 흔들렸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여성이 하나의 인격으로서 자신의 삶을 자율적으로 영위해가지 못한다면, 호주제 폐지는 아무런 힘도 갖지 못하는 하나의 해프닝으로 끝나버릴 수 있습니다. 불행히도 우리 사회 도처에는 그리고 여성 자신의 내면 깊은 곳에는 아직도 너무나 많은 유학적 가부장제의 흔적들이 남아 있습니다. 이제 여성은 제도에서 보장하는 법률적 주체가 될 뿐만 아니라, 자신 스스로도 내면 깊은 곳으로부터 철저하게 주체로서 설 수 있어야만 합니다.

 

 

 

인용

목차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