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 4부 범람하는 유머 열정의 패러독스, 1장 유머는 나의 생명!, 상갓집 사건과 기상새설 사건 본문

카테고리 없음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 4부 범람하는 유머 열정의 패러독스, 1장 유머는 나의 생명!, 상갓집 사건과 기상새설 사건

건방진방랑자 2021. 7. 10. 13:01
728x90
반응형

상갓집 사건과 기상새설 사건

 

 

먼저 상갓집 해프닝, 연암이 십강자(十扛子)에 이르러 쉬는 사이에 정진사, 변계함 등과 함께 거리를 거닐다가 한 패루(牌樓)에 이르렀다. 그 제도를 상세히 구경하려 할 즈음에 요란스런 음악이 시작된다. 정과 변, 두 사람은 엉겁결에 귀를 막고 도망치고, 연암 역시 귀가 먹을 것 같아서 손을 흔들어 소리를 멈추라 하여도 영 막무가내로 듣지 않는다. 다만 할끔할끔 돌아보기만 하고 그냥 불고 두드리고 한다. 호기심이 동한 연암은 상갓집 제도가 보고 싶어 따라가니, 문 안에서 한 상주가 뛰어나와 연암 앞에 와 울며 대막대를 내던지고 두 번 절하는데, 엎드릴 땐 머리가 땅에 닿도록 조아리고 일어설 땐 발을 구르며 눈물을 비오듯 흘린다. 그러고는 창졸에 변을 당했사오니 어찌해야 좋을지 모르겠사옵니다[].” 하고, 수없이 울부짖는다. 상주 뒤에 5, 6명이 따라 나와 연암을 양쪽에서 부축하고 문 안으로 들어간다. 얼떨결에 문상객이 된 것이다. 하는 수 없이 상주를 위로하고, 음식까지 대접받고 나온다. 돌아와 일행들에게 고하니, 모두들 허리를 잡는다[余爲言俄刻吊喪之禮 皆大笑]. 성경잡지(盛京雜識)에 나오는 이야기다.

 

다음, ‘기상새설(欺霜賽雪)’ 사건, 심양의 시가지를 거닐 때, 한 점포 문설주에 기상새설(欺霜賽雪)’이란 네 글자가 붙어 있는 것이 눈에 띄었다. 연암은 마음속으로 장사치들이 자기네들의 애초에 지닌 마음씨가 깨끗하기는 가을 서릿발 같고, 또한 흰 눈빛보다도 더 밝음을 스스로 나타내기 위함이 아닐까[做個賣買的 自衒其本分心地皎潔 與秋霜一般 乃復壓過他白白的雪色]’하고 생각했다. 그러다 한 전당포에서 필법을 자랑하기 위해 액자로 다는 현판에 欺霜賽雪네 자를 썼는데, 처음 두 자를 쓸 땐 환호하다가 막상 다 쓰고 나니 사람들의 반응이 영 신통치 않다. 토라지는 연암. “하긴, 이런 작은 촌동네에서 장사나 하는 녀석이 심양 사람들 안목을 어찌 따라가겠냐? 무식하고 멍청한 놈이 글자가 좋은지 나쁜지 어떻게 알겠어[小去處做賣買的 惡能及瀋陽諸人 這個麤莽漢 那知書字好否]?”하고, 투덜거리며 가게를 나온다.

 

다음날 달빛이 훤한 밤에 한 점방에 들어간다. 탁자 위에 남은 종이가 있기에 남은 먹을 진하게 묻혀 신추경상(新秋慶賞)’이라 써 갈겼다. 그중 한 사람이 보고 뭇사람들을 소리쳐 부른다. 연암이 쓴 글씨를 보더니 차를 내온다, 담배를 붙여 권한다, 분주하기 짝이 없다. 으쓱해진 연암은 주련(柱聯)을 만들어 칠언시 두 수를 써준다. 와아~ 사람들의 환성소리, 술에 과일대접까지 받은 연암은 갑자기 생각하기를 어제 전당포에서 기상새설넉 자를 썼다가 주인이 돌연 안색이 나빠졌단 말이야. 오늘은 단연코 그 치욕을 씻어야겠다[昨日當舖所書欺霜賽雪四字 舖主怎地不悅 吾當爲前日雪耻也]’하고는 점포에 다는 액자로 기상새설을 써준다. 그러자 주인이 저희 집에선 부인네들 장식품을 매매하옵고 국숫집은 아니옵니다[俺舖專一收賣婦人的首飾 不是麪家].” 한다. 아뿔사! ‘기상새설(欺霜賽雪)’이란 국숫집 간판이었던 것이다. 그 의미도 심지가 밝고 깨끗하다는 것이 아니라, 국숫가루가 서릿발처럼 가늘고 눈보다 희다는 뜻이었던 것. 비로소 실수를 깨달았지만, 연암은 시치미를 뚝 떼고 이렇게 말한다. “나도 모르는 바 아니지만 그저 시험삼아 한번 써본 것이오[我已知道了 聊試閒筆耳].” 성경잡지(盛京雜識)에 나오는 이야기다.

 

이 사건은 잘 짜여진 한 편의 꽁트다. 시간과 공간이 입체적으로 구성되어 있을뿐더러, 그 사이에 연암의 심리적 상태가 다양하게 펼쳐진다. 토라졌다 다시 으쓱대고, 속으로 뜨끔하고, 하지만 또 응큼하게 치고 등등. 자신의 심리변화를 이렇게 세밀하게 재현하는 사람의 심리는 대체 어떤 것일까?

 

 

 

 

인용

목차

열하일기

문체반정

박지원 이력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