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강의실에 찾아온 유학자들, 장재와 정호ㆍ정이 형제 - 본성과 감정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다 본문

고전/대학&학기&중용

강의실에 찾아온 유학자들, 장재와 정호ㆍ정이 형제 - 본성과 감정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다

건방진방랑자 2022. 3. 7. 16:22
728x90
반응형

본성과 감정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다

 

 

, 그럼 정이가 제안한 성인이 되는 방법이 무엇이었는지 한번 살펴보도록 하지요.

 

 

천지가 정기를 쌓아 오행 중에 뛰어난 것을 얻어 사람이 된다. 사람의 근본은 진실하고 고요하다. 본성[]이 아직 감정[]으로 드러나지 않을 때 본성에는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이라고 불리는 다섯 가지 도덕 원리가 갖추어져 있다. 몸체가 생긴 후에는 바깥 사물이 몸과 접촉하니 본성이 마음속에서 움직이게 된다.

天地儲精, 得五行之秀者爲人. 其本也眞而靜, 其未發也. 五性具焉, 曰仁義禮智信. 形旣生矣, 外物觸其形而動其中矣.

천지저정, 득오행지수자위인. 기본야진이정, 기미발야. 오성구언, 왈인의예지신. 형기생의, 외물촉기형이동기중의.

 

마음이 움직이면 칠정(七情)이 거기에서 나오니, 이것을 희로애락애오욕(喜怒哀樂愛惡欲)이라고 말한다. 감정이 지나치게 왕성하여 더욱 세차게 움직이면 본성이 손상된다. 그러므로 배우는 자들은 그 감정을 조절하여 중용에 맞도록 하고, 마음을 바르게 하여 본성을 함양한다.

其中動而七情出焉, 曰喜怒哀樂愛惡欲. 情旣熾而益蕩, 其性鑿矣.

기중동이칠정출언, 왈희노애락애오욕. 정기치이익탕, 기성착의.

 

그러므로 (이런 사람을) 감정을 본성으로 승화시킨다고 말한다. 어리석은 사람은 그것을 어떻게 조절할지를 알지 못해 감정을 제멋대로 하여 사악하고 편벽한 데에 이른다. 본성을 속박하여 잃어버리게 하기 때문에 (이런 사람을) 본성을 감정으로 떨어뜨린다고 말한다. 무릇 배움의 방법이란 마음을 바르게 하고 본성을 함양하는 것일 따름이다. 하남정씨문집8: 1

是故覺者約其情, 使合於中, 正其心, 養其性. 愚者則不知制之, 縱其情而至於邪僻, 梏其性而亡之, 故曰情其性. 凡學之道, 正其心養其性而已.

시고각자약기정, 사합어중, 정기심, 양기성. 우자즉부지제지, 종기정이지어사벽, 곡기성이망지, 고왈정기성. 범학지도, 정기심양기성이이.

 

 

정이가 답안에서 말한 오행(五行)이란 나무[], [], [], [], []을 가리키며, 우주를 이루는 다섯 가지 기본 질료를 의미합니다. 정이는 인간이 만물 가운데 가장 탁월한 이유를 밝히는 것으로 이야기를 시작합니다. 그는 인간이 오행이라는 다섯 가지 기()를 가운데 가장 우수한 것을 받아서 태어났다고 말합니다. 더 나아가 정이는 인간의 마음을 분석하면서 본성과 감정이라는 구조를 도입합니다. 정이는 인간의 본성에는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이라는 다섯 가지 윤리적 덕목이 잠재되어 있다고 말합니다. 이어서 외부 사물과 접촉하게 되면 인간의 본성이 외부로 실현되어 나오는데, 그것을 감정이라고 정의합니다. 그 감정에는 일곱 가지, 칠정(七情)’이 있다고 설명합니다. 그것은 바로 기쁨, 노여움, 슬픔, 즐거움, 사랑, 미움, 욕망을 의미하는 희로애락애오욕(喜怒哀樂愛惡欲)’이지요.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감정이란 기본적으로 본성에서부터 유래한다고 파악한 정이의 관점입니다. 비유하자면 본성은 물이 뿜어져 나오는 수원지와 같고, 감정은 다양한 방향으로 퍼져 흐르는 지류와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만약 수원지에서 나오는 물보다 더 많은 양의 물을 뽑아 쓴다면 어떻게 될까요? 곧 수원지의 물이 마르게 되겠지요. 정이는 이런 논리로 본성과 감정의 관계에 대해 사유하고 있습니다. 감정이 지나치게 작용하면 본성이 메말라버린다는 것이지요. 그렇다면 결국 성인이 되는 배움의 방법은 감정의 지나친 작용을 막아 메마른 본성을 다시 윤택하도록 기르는 일일 것입니다. 마치 지류를 막아 물이 흐르지 않도록 하면 수원지가 다시 맑고 깨끗한 물로 가득 찰 수 있는 것처럼 말이지요. 여기서 잠시 기억해야 할 것은, 본성과 감정에 대한 정이의 논의가 나중에 주희의 심통성정(心統性情)’의 도식으로 정리된다는 점입니다. ‘심통성정은 글자 그대로 마음이 본성과 감정의 두 영역을 포괄한다는 의미이지요.

 

여러분은 정이의 논의에서 그의 형 정호가 추구했던 만물일체물래이순응(物來而順應)’이라는 이념을 확인할 수 있었나요? 아마 그렇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내면 깊숙한 곳에 본성이 완전하게 자리잡고 있다는 생각은, 우주가족을 지향했던 장재나 정호의 정신보다는 오히려 맹자성선설을 떠올리게 합니다. 정이의 형 정호는 외부의 사물을 마치 내 몸의 일부처럼 느껴야 한다고 이야기했지요.

 

그러나 정이는 자신의 감정이 너무 지나치지 않을까를 걱정하고 있습니다. 감정이란 것이 기본적으로 외부 사물에 의해 촉발된다는 점에서 볼 때, 정이의 이런 시각은 외부 사물을 부정적으로 보게 할 우려가 있지요. 이처럼 같은 부모에게서 태어난 형제이지만, 정호와 정이는 분위기가 상당히 다른 유학자였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정호가 외부의 사물로 적극적으로 나아간 반면, 정이는 내면의 본성으로 자꾸 시선을 돌렸으니 말입니다.

 

정호(程顥) 정이(程頤)
物來而順應 正其心養其性
인자는 천지만물을 한 몸으로 여김 본성에서 유래한 감정을 눌러 본성 회복
외부의 사물에 적극적으로 나아감 사물을 부정적으로 보고 본성에 시선 돌림

 

 

 

 

인용

목차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