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강의실에 찾아온 유학자들 - 목차 본문

고전/대학&학기&중용

강의실에 찾아온 유학자들 - 목차

건방진방랑자 2022. 3. 8. 10:03
728x90
반응형

강의실에 찾아온 유학자들 목차

 

 

책을 시작하며

 

프롤로그

1. 창시자가 아닌 인간으로

2. 화려하게 되살아난 공자

3. 13명의 유학자들로 살펴본 가능성과 한계

 

 

공자(孔子): 인의 이념과 예의 실천

좌절한 정치가

유학사상의 창시자로

군자와 소인의 조화로운 정치질서

군자는 바람, 소인은 풀과 같다

인자(仁者)의 이상과 인자가 되는 방법: 극기복례(克己復禮)

인자(仁者)의 이상과 인자가 되는 방법: ()

공자에 이르러 바뀐 군자의 의미

인은 목숨을 걸고서라도 지켜야 한다

()와 인() 중 어느 것이 더 중요할까

더 읽을 것들

 

 

맹자(孟子): 측은지심의 발견으로 유학의 수양론을 만들다

공자 사상을 지키려는 소명의식

자신의 본성을 확충하면 누구나 성인이 될 수 있다

측은지심이 골고루 흘러가게 해주면 된다

성선설을 지키기 위해 고자(告子)와 논쟁하다

물이 아래로 내려가는 성향과 인간의 본성

수양이 이루어진 사람만이 통치자가 될 수 있다

폭군은 당연히 죽여야 한다

맹자, 후세에 영광을 얻다

더 읽을 것들

 

 

순자(荀子): 욕망의 발견과 유학의 정치화

제자백가를 통솔했던 위대한 유학자, 순자

자연 질서와 인간 문명을 구별하다

인간중심적, 이성중심적 사유

순자가 성악설을 주장했던 이유

국가의 공권력과 규범의 강제력을 받아들이다

()를 새롭게 정당화하다

예식의 집단심리학적 특성

저주받은 유학자의 운명

더 읽을 것들

 

 

장재(張載)와 정호(程顥)ㆍ정이(程頤) 형제: 우주가족의 구상과 성인에 대한 열망

새로운 유학을 꿈꾼 세 명의 유학자

()의 형이상학으로 우주가족을 꿈꾸다

장재의 형이상학적 감수성이 낳은 신유학의 서막

만물을 자신과 한몸처럼 보아야 한다

어떤 사태든 내 몸 안의 일처럼

24살 젊은 유학자의 답안에 태학 교수가 놀란 까닭

본성과 감정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다

신유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다

더 읽을 것들

 

 

주희(朱熹): 하나의 달과 천개의 강에 비치는 수많은 달빛

꼬마 형이상학자

()와 기()

불교를 비판하며 신유학의 정초를 세우다

천 개의 강에 달이 비치다

내면에서 달빛을 찾으려는 노력

외면에서 달빛을 찾으려는 노력

인심(人心)과 도심(道心)

인간의 마음은 전쟁터와 같다

내 마음이 외부 사물의 이치와 같다

월인천강의 비유가 가진 난점

더 읽을 것들

 

 

왕수인(王守仁): 세계는 마음 바깥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7일 동안 대나무를 탐구한 젊은 유학자

마음과 무관한 사물은 없다

보지 않을 때 꽃은 어떻게 존재하는가

구체적인 어떤 것을 향해가는 마음

마음과 무관한 사물과 이()는 존재하지 않는다

네 구절로 압축되는 왕수인의 가르침

자신의 내면을 집요하게 검열하다

호방한 정신과 섬세한 정신 사이에서

더 읽을 것들

 

 

이황(李滉)과 이이(李珥): 주자학을 심화시킨 철학적 논쟁들

유학자로 살아가는 이황의 방법

유학자로 살아가는 이이의 방법

이황에게 날아든 한 통의 서신

절도에 맞게 드러난 감정이 사단이다

이황, 윤리적 감정과 현실적 감정의 차이를 사유하다

서신 왕래에도 애초의 입장을 유지하다

주희의 이기론을 그대로 따른 이이

드러난 측은지심은 모두 기에 속한다

기대승을 편들며 이황을 비판한 이이

이황과 이이의 후배들, 인간과 동물의 본성은 같다

이황과 이이의 후배들, 인간과 동물의 본성은 같지 않다

더 읽을 것들

 

 

이토 진사이(伊藤仁齋): 타자의 발견을 통해 공자를 되살리다

의사의 길을 거부하고 유학자가 된 소년

주희의 경() 공부를 비판하다

주희의 명경지수(明鏡止水)를 비판하다

맹자의 본성론을 다시 숙고하다

맹자의 성선설을 다시 숙고하다

공자의 충서를 새롭게 해석하다

충서에서 타자의 논리를 찾아내다

이토 진사이의 선견지명

더 읽을 것들

 

 

오규 소라이(荻生徂徠): 측은지심의 발견으로 유학의 수양론을 만들다

유학의 기원으로 올라간 유학자

노력하면 성인이 될 수 있다는 주희의 주장

인간의 개별성에 대한 긍정

신유학의 수양론을 해체하다

내면에 갇히게 될 위험한 수양론 비판

()란 고대 선왕이 창안한 것

각자의 덕이 있다

오규 소라이는 공자까지도 넘어섰을까

자신의 기질에 걸맞게 살아야 한다

정신적 스승 진사이를 비판하다

더 읽을 것들

 

 

정약용(丁若鏞): 새로운 유학 체계를 꿈꾼 마지막 대가

경세학의 집대성자

경학의 집대성자

반주자학자, 탈주자학자

주희의 인심도심설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다

본성 개념을 새롭게 정의하다

선을 알고 선을 실천하려는 윤리적 욕망

형이상학적 유학을 넘어 실천적 유학으로

인의예지는 구체적인 행동으로 드러난다

이토 진사이의 견해를 따르다

유학자들의 본성론과 신부의 자유의지론

선을 결정하고 구성하는 자유의지를 천명한 리치

자유의지의 도입

유학의 마음 이론을 새롭게 체계화하다

더 읽을 것들

 

 

에필로그

1. 작은 단점 때문에 포기해선 이해를 안 된다

2. 예절이란 타인과의 적절한 관계를 확보하는 데서 빛이 난다

3. 가족의 논리

4. 동정심의 논리와 논어를 읽어야 할 시간

 

 

 

 

 

 

인용

지도

논어, 맹자, 순자

주희, 이황, 이이, 정약용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